Textbook 1 2
Textbook 1 2
1단계 생각 펼치기
위험천만한 우주 비행사의 지
구 귀환
알고 있나요?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는 역학적 에너지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들은 어떻게
전환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자유 낙하 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 과정과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설명해 보자.
위험천만한 우주 비행사의 지구 귀환
생각 펼치기
그림 I - 20 지구로 귀환 중인 귀환 캡슐
40 Ⅰ. 역학과 에너지
2. 열과 에너지 41
과정
결과 및 정리
42 Ⅰ. 역학과 에너지
탄성 퍼텐셜 에너지
그림 I - 24는 탄성력과 이동 거리의 그래프이다. 그래프 아랫부분의 면적만큼 탄성 퍼텐셜 에너지가 생긴다.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퍼텐셜 에너지와 역학적 에너지 보
1. 이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용수철 상수가 200`N/m인 용수철에 물체를 매달아
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0`cm만큼 당겨 정지 상태에서 가만히 놓았다. 이 물체의 속력이 가장 빠른 지점에서
의 역학적 에너지는 얼마인가?
2. 열과 에너지 43
짝 토의 실제 롤러코스터에서 처음 떨어지기 직전을 가장 높게 설계하는 까닭
은 무엇일까? 최대 운동 에너지
과정
과정 과정
열 감지 액정 필름
44 Ⅰ. 역학과 에너지
1. 나무토막이 왕복하는 동안 중심점에서 최대로 멀어지는 길이가 어떻게 변하는가? 1. 열 감지 액정 필름의 색이 변하는
까닭을 에너지 전환을 이용하여
2. 마찰면의 재질에 따라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어떻게 변하는가? 역학적 에너지가 변하는 말할 수 있는가?
까닭에 대하여 토의해 보자.
2. 이 실험을 통해서 역학적 에너지
3. 역학적 에너지의 감소와 열에너지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 의 감소와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
다.
퍼텐셜 에너지
운동 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운동 에너지
열에너지
2. 열과 에너지 45
탐구 ➌ 실험 열에 의한 물체의 운동 탐구 능력
결과 및 정리
자기 평가
1. 실험 전에 알루미늄 캔이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해 보자. 그렇게 예측한 까닭은 무엇인가?
1. 알루미늄 캔 내부에서 일어난 변
2. 실험을 통해 알루미늄 캔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 일과 열, 캔의 에너 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지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2. 안전 사항을 준수하며 탐구에 임
3. 열이 일로 전환되는 예를 우리 주변에서 찾아 발표해 보자. 했는가?
46 Ⅰ. 역학과 에너지
그림 I - 27 열이 일로 전환되는 열기관
jk jk
화석 연료의 연소에 계를 이루는 구성 계 외부에
의한 열에너지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 대한 일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열기관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 이해 타워 브리지의 엔진을 조사해 보고 열기관을 이용하여 다리를 들어 올리는 과정을
열과 일, 에너지 전환을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47
탐구 ➍ 실험 기체가 한 일의 양 측정 탐구 능력
준비물 굵은 빨대(지름 12`mm), 뜨거운 물, 비닐 접착기, 물감, 비커, 온도계, 스탠드 1. 뜨거운 물을 사용 할 때, 화
상에 주의한다.
과정
결과 및 정리 물리는 통한다!
1. 뜨거운 물의 처음과 나중의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뜨거운 물에서 방출된 열에너지의 양을 기체가 공급받은 열에너지 Q
계산해 보자. 이 열에너지는 어떤 에너지로 전환되었을까? 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중학교에서 학습한 열량을 생
2. 물감의 위치는 어떻게 변하였는가? 물감의 위치가 변한 까닭은 무엇일까? 각해 보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열량(Q)=비열\질량
3. 물감의 위치 변화를 바탕으로 빨대 속의 공기가 한 일을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지 토의해
\온도의 변화
보고, 그 값을 구해 보자.
(▶ 중 2 과학, 열과 우리 생활)
4. 결과 및 정리 1과 3을 바탕으로 열과 일의 전환을 설명해 보자.
48 Ⅰ. 역학과 에너지
압력
0 0 0
(가) (나)
그림 I - 28 기체가 한 일의 양 닫힌계에서 외부에 해 준 일의 양은 그래프의 밑면적과 같다. 경로에 따라 일의 양이 달라진다.
DE기체 = Q-W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2. 열과 에너지 49
일정 부피 안에 있는 무수히 많은 입자들은
입자들의 에너지를 모두 동일한 속력이 아니라 다양한 속력을 가질 수
계산하기 위해서는 입자들 사이의 있으므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되지. 이런 이상 기체들은 오로지
상호 작용을 무시한 이상적인 입자 탄성 충돌을 통해서 에너지를 교환
(이상 기체)를 가정해야 해. 하면서, 외부 벽에 압력을 가하지.
볼츠만
(Boltzmann, L.,
1844~1900)
맥스웰
베르누이 (Maxwell, J. C.,
(Bernoulli, 1831~1879)
D., 1700~1782)
그림 I - 29 이상 기체에 대한 과학자들의 생각
URT
50 Ⅰ. 역학과 에너지
과정
그림 I - 30 스털링 엔진
1816 년 스코틀랜드의 목사 로버트
스털링(Stirling, R., 1790~1878)
이 고안한 엔진으로 물이 수증기가
되는 과정에서 팽창하는 힘을 이용하
는 증기 기관이 아닌 공기의 팽창을
이용하는 열기관이다. 외연 기관이고,
부피가 크며, 속도를 조절할 수 없다
는 문제로 사라졌다가 최근에 높은
효율과 저소음으로 인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정리
자기 평가
2. 열과 에너지 51
열역학적인 과정은 그림 I - 31과 같이 4가지 과정이 가능 하다. 대기압 상태에 있는 모든 기체는 이러한 등압 과정이
하다. 먼저 외부로의 열의 출입이 없는 단열 과정(Q=0)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일과 열의 출입 때문에
가능하다. 단열 과정에서는 열역학 제 1 법칙에 따라서 기체 기체의 내부 에너지가 변한다.
가 외부에 일하거나 받는 경우에만, 그 기체의 내부 에너지 네 번째는 처음 상태와 나중 상태의 온도 변화가 없는 등
가 변한다. 온 과정(DT=0)이 가능하다. 등온 과정에서는 기체의 내부
두 번째는 부피의 변화가 없는 등적 과정(DV=0)이 가능 에너지 변화가 없으므로,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만
하다. 등적 과정에서는 기체가 외부에 일을 할 수 없으므로, 큼 열로 전환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하거나, 반대로 기체가
외부와의 열의 흡수, 방출을 통해서만 기체의 내부 에너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한 만큼 그 기체는 외부에 일을 해 주
가 변한다. 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가 없다.
세 번째는 압력의 변화가 없는 등압 과정(DP=0)이 가능
그림 I - 31 열역학적인 과정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닫힌계 내부의 이상 기체 입자들이
1. 이해 방 안에 가득한 공기의 온도가 30.0`!C라고 하자. (단, 방 안의 공기는 이상 기체라
가지는 내부 에너지를 설명 할 수 있다.
고 가정한다.)
2. 적용 자동차 엔진은 어떠한 열역학적인 과정을 통해서 일을 하는지 조사해 보고, 스털링
엔진과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자.
52 Ⅰ. 역학과 에너지
그림 I - 32 제트 엔진의 구조
항공기 대부분이 약 200`t~450`t으로 엄청나게 무겁지 서 외부의 공기를 엔진 내부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만, 하늘을 날 수 있게 하는 핵심 부품은 바로 날개 옆에 있 엔진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꾹’의 단계로 압축된다. 충분한
는 제트 엔진이다. 그림 I - 32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트 엔 압축이 이루어지면 ‘꽝!’의 과정을 거친다. 즉 비행기의 연
진은 어떤 원리로 비행기를 띄울 수 있을까? 료와 압축 공기가 만나면서 연소가 일어나 엄청난 추진력이
제트 엔진의 자세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지 만들어지는 것이다. 항공기 엔진은 불을 붙이기는 어렵지만
만, 토드 웨츨(Wetzel, T.)이라는 우주 항공 기술자는 이 한번 불이 붙으면 쉽게 꺼지지 않고 엄청난 양의 열에너지
를 다음과 같이 네 단어로 설명한다. 를 만들어 낸다. 마지막 ‘휙’ 단계에서 연료의 폭발로 만들
어진 고온, 고압, 고밀도의 공기가 터빈을 빠르게 회전시킨
‘쭉, 꾹, 꽝!, 휙’
다. 결국, 모든 제트 엔진 비행기는 이 네 단계를 통해서 하
각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자. 먼저 ‘쭉’의 단계 늘을 날 수 있게 된 것이고, 열을 터빈의 운동 에너지로 전
는 흡입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엔진 앞부분의 흡입구를 통해 환한 것이므로 일종의 열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토의하기
1 최근 제트 엔진의 앞부분에는 그림과 같이 선풍기 날개 같은 팬 블레
이드를 설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팬을 설치한 까닭을 토의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53
외부에 한 일 W
열효율(e) = =
공급한 열 Q
1. 휘발유 1`L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공급한 열에너지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료들이
추가로 필요할까?
2. 인터넷을 이용하여 1에서 생각한 자료를 검색하여, 휘발유 1`L에서 만들어지는 열에너지의
양을 직접 계산해 보자.
3. 자동차가 12`km를 움직이는 동안 한 일을 구해야 한다. 엔진의 출력이 270 마력 인 엔진이
60`km / h의 일정한 속력으로 12`km를 움직이는 동안 외부 저항력(기계 마찰, 공기 저항 등)
이 770`N만큼 작용하였을 때 자동차가 한 일을 계산해 보자. 마력
‘말 한 마리가 짐을 끄는 일률’이다.
4. 3 에서 구한 자동차의 열효율은 얼마일까?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하는 영국과 그
외의 프랑스 등 국가에서 1마력의 크
5. 일반적으로 휘발유를 이용한 자동차의 경우 열효율이 약 25`% 정도이다. 현재 자동차의 연비
기는 약간 다르게 정의된다.
를 구하는 방법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한 뒤, 직접 구한 자동차의 열효율과 차이가 나는
[영국] 1마력(hp) = 745.7`W
까닭은 무엇일지 토의해 보자. [그 외] 1마력(hp) = 735.5`W
54 Ⅰ. 역학과 에너지
T1-T2 T2
ec= =1-
T1 T1
한편 과학자들은 그림 I - 34처럼 열에너지의 흐름에 방향성이 있듯이 모든 열
역학적 과정에서 특정한 방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를 클라우지
우스(Clausius, R., 1822~1888)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열기관의 열효율을 구하여 열기관이
1. 이해 열효율이 20`%인 열기관이 고열원에서 800`J의 열을 공급받았다. 이 열기관이 저
외부로 한 일과 흡수한 열의 크기를
열원으로 방출한 열은 얼마인가?
구할 수 있다.
2. 적용 최근 여름에는 에어컨으로 겨울에는 히터로 사용할 수 있는 냉난방 겸용 장치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 보고, 각각의 경우에 열원에
서 일과 열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55
56 Ⅰ. 역학과 에너지
발표하기
1. 열전 소자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지 열효율 공식을 근거로 설명해 보자.
3. 사람의 체온 이외의 다른 열원을 사용하여 열전 소자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토의한 뒤, 발표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