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nks to visit codestin.com
Credit goes to www.scribd.com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20 views18 pages

Textbook 1 2

Korea High School Physics 1 Textbook Part 2

Uploaded by

Joonmoon Lee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20 views18 pages

Textbook 1 2

Korea High School Physics 1 Textbook Part 2

Uploaded by

Joonmoon Lee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18

2 열과 에너지

1단계 생각 펼치기
위험천만한 우주 비행사의 지
구 귀환

2단계 해결하기 3단계 생각 모으기 4단계 생각 넓히기


역학적 에너지 보존, 1. 개념 확인 입고만 있어도 휴대 전화가
내부 에너지, 열효율 2. 아하! 그렇구나 충전되는 옷

알고 있나요?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는 역학적 에너지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들은 어떻게
전환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자유 낙하 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 과정과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설명해 보자.

신재생 에너지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이러한 에너지가 일로 전환되는


예를 찾아 설명해 보자.

위험천만한 우주 비행사의 지구 귀환
생각 펼치기

우주 정거장에서 수개월 동안의 임무


를 마치고 귀환하는 우주 비행사들은 엄
청난 위험을 감내하면서 지구로 귀환한
다. 그림 I - 20에서 보듯이 귀환 캡슐이
지구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엄청난 열이
발생하여, 지구로 돌아온 귀환 캡슐은
그림 I - 21과 같이 표면이 대부분 새까맣
그림 I - 21 새까맣게 탄 귀환 캡슐 그림 I - 22 지구로 귀환한 우주 비행사
게 탄 것을 볼 수 있다. 지구로 귀환하
는 귀환 캡슐의 경우에 바깥 표면의 온도가 약 2500`!C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내
부의 우주인을 보호하기 위한 특수 소재의 타일이 귀환 캡슐 표면을 감싸고 있
다. 이 때문에 우주 비행사는 그림 I - 22처럼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다. 그렇다
면 이러한 귀환 캡슐이 지구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왜 열이 발생하는지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과 보존을 중심으로 알아보자.

그림 I - 20 지구로 귀환 중인 귀환 캡슐

40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40 2018-08-10 오후 6:08:16


생각해 볼까요?

귀환 캡슐은 매우 작은 크기로 연료 통이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귀환 캡슐이 지구로 돌아


올 수 있는지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을 이용하여 토의해 보자.

귀환 캡슐이 지구로 낙하하는 동안 열이 발생하는 까닭은 무엇인지,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


과 보존의 관점에서 토의해 보자.

귀환 캡슐이 지구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전기 에너지와 같이 우리가


사용 가능한 에너지로 바꿀 수 있을까? 바꿀 수 있다면 활용 방안을, 만약 바꿀 수 없다면
그 까닭을 토의해 보자.

운석이 지구를 향해서 떨어질 때, 귀환 캡슐이 지구로 돌아


오는 것과 같이 빛을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물체의 주
변으로 열이나 일이 빠져나가지 않는다면 물체의 역학적 에
너지는 보존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대부분의 물체
는 지구로 귀환하는 캡슐(그림 I - 20)이나, 지구를 향해 떨어
지는 운석(그림 I - 23)과 같이 외부로 에너지가 빠져나가면
서, 자신의 에너지는 감소하게 된다. 그렇다면 역학적 에너
지 보존 법칙은 일상생활에서 적용되지 않는 것일까? 또한,
외부로 빠져나가는 일이나 열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에너
그림 I - 23 지구를 향해 떨어지는 운석
지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 단원을 공부하면 우리는


나는 이 단원에서

1.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는 경우와 보존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2. 외부와 열과 일을 주고받아 내부 에너지가 변하는 사례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열이 모두 일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을(를) 익히겠다.

2. 열과 에너지 41

금성교과서(물리I).indb 41 2018-08-10 오후 6:08:17


해결하기 1 직선상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
학습 목표 | 직선상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역학
적 에너지가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우주 정거장에서 우주 비행사들이 잠을 잘 때, 우주선의 벽면에 고정되


어 자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주 비행사들이 지구에서처럼 누워서 자는 것
은 불가능하다.

짝 토의 우주 비행사가 자신의 몸을 벽면에 고정하고 자는 까닭은 무엇일까?

역학적 에너지는 중력이나 탄성력에 의한 퍼텐셜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를 합한 것이다. 이 역학적 에너지는 우주 정거장과 같이 특정한 조건에서 보존
물리는 통한다!
된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서는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역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정에서
학적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한 작게 해서 역학적 에너지 전환과 보존에 대해 다음 는 퍼텐셜 에너지를 위치 에
너지라고 부른다.
탐구를 통해 알아보자.
(▶ 중 3 과학, 운동과 에너지)

탐구 ➊ 실험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의 운동 문제 해결력

목표 용수철에 수직으로 매달린 추의 운동을 관찰하여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과 보존을 설명할 수 있다.

준비물 휴대 전화(또는 디지털카메라), 컴퓨터(동영상


분석 프로그램), 스탠드 세트, 추, 자

과정

그림과 같이 스탠드에 지지대를 이용하여 용수철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자를 설치하자.
용수철의 아래쪽 끝에 추를 연결하여, 추가 가만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하자.
용수철이 적당한 길이만큼 늘어나도록 추를 수직 아래로 당겼다 놓았을 때, 추의 동영상 분석 방법에 관해서는 19
쪽을 참조한다.
움직임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약 15 초 정도 동영상으로 촬영해 보자.

결과 및 정리

1. 추가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중간 지점에 있을 때, 추에 어떤 힘들이 어떤 방향


으로 작용하는지 토의해 보자.

2. 추가 움직이는 동안 추의 최고 높이를 기록해 보자. 추가 운동하는 동안 추의 역학적 에너 자기 평가


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토의해 보자. 1. 용수철의 탄성력과 용수철이 늘어
난 길이 사이의 관계를 알고 있는
3. 추가 움직일 때, 동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추의 속력 변화를 통해 시
가?
간에 따른 추의 운동 에너지 변화를 확인해 보자.
2. 이 실험을 통해서 퍼텐셜 에너지
4. 추가 움직일 때, 동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추의 높이 변화를 통해 시 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달
간에 따른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를 확인해 보자. 라졌는가?

42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42 2018-08-10 오후 6:08:21


5. 결과 및 정리 3, 4를 바탕으로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가 움직이는 동안 탄성력이 한 일은 어
떻게 변하는지 토의해 보자.

용수철과 수직으로 연결된 물체는 중력 퍼텐셜 에너지와 탄성 퍼텐셜 에너지, 계(System)


관심의 대상이 되는 우주의 한 부분
그리고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높이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이 경우 물체의 역학 으로, 계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끼리는
상호 작용을 하고 있다. 한편 계를 제외
적 에너지는 물체의 운동 에너지와 중력 퍼텐셜 에너지, 탄성 퍼텐셜 에너지의
한 나머지 부분을 주위(Surround)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라고 한다.

한편 물체가 외부와 물질 교환을 하지 않는 계 를 닫힌계라고 한다. 움직이는


용수철과 연결된 물체는 질량이 일정하고, 외부와의 물질 교환이 없으므로 닫힌
계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닫힌계의 역학적 에너지는 물체가 운동
하는 동안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된다. 만약 물체의 외부로 에너지가 빠져나간다
면, 그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감소할 것이다. 결국,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은
닫힌계에서만 성립한다.

닫힌계에서 역학적 에너지 = 일정

탄성 퍼텐셜 에너지

용수철과 같이 탄성이 있는 물체가 가지는 탄성력은 늘 F=kx 힘


어난 길이에 비례한다. 용수철에 외력을 작용하여 늘이면
늘어난 만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탄성 퍼
텐셜 에너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 2
W= kx
원래의 길이 2
탄성 퍼텐셜 에너지 = 탄성력이 한 일
O x 변위
= 2!kx@ (단, k는 용수철 상수) 그림 I - 24 탄성 퍼텐셜 에너지

그림 I - 24는 탄성력과 이동 거리의 그래프이다. 그래프 아랫부분의 면적만큼 탄성 퍼텐셜 에너지가 생긴다.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퍼텐셜 에너지와 역학적 에너지 보
1. 이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용수철 상수가 200`N/m인 용수철에 물체를 매달아
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0`cm만큼 당겨 정지 상태에서 가만히 놓았다. 이 물체의 속력이 가장 빠른 지점에서
의 역학적 에너지는 얼마인가?

2. 적용 번지 점프를 하는 사람이 낙하하는 동안의 운동 에너지, 중력 퍼텐셜 에너지, 탄성


퍼텐셜 에너지가 어떻게 전환되는지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43

금성교과서(물리I).indb 43 2018-08-10 오후 6:08:21


해결하기 2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항상 보존될까?
학습 목표 |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여 그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롤러코스터들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지점은 롤러코


스터가 처음 떨어지기 직전이다.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면, 최고점의 최대 퍼텐셜 에너지

높이가 모두 같아도 롤러코스터가 계속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짝 토의 실제 롤러코스터에서 처음 떨어지기 직전을 가장 높게 설계하는 까닭
은 무엇일까? 최대 운동 에너지

롤러코스터가 닫힌계라면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어 최고점의 높이가 서로 같


아도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같은 위치까지 올라가는 것은 불가
능하다. 그 까닭을 마찰력이 작용하는 바닥에서 용수철 진자의 움직임을 관찰하
여 확인해 보자.

탐구 ➋ 실험 용수철 진자의 역학적 에너지 변화 탐구 능력

목표 마찰이 있는 면에서의 용수철 진자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역학적 에너지의 감소와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준비물 용수철, 나무토막, 열 감지 액정 필름, 기름종이, 금속판, 아크릴판, 고무판, 스탠드

과정

나무토막에 열 감지 액정 필름을 붙이자.


양쪽 스탠드에 고정된 용수철을 열 감지 액정 필름을 붙인 나무토막과 연결하자.
나무토막을 한쪽으로 천천히 잡아당긴 뒤, 가만히 놓아 보자.
실험대 위에서 나무토막이 움직이는 동안 중심점에서 최대로 멀어지는 거리의 변화
와 나무토막이 중심점을 지나 왔다 갔다 한 횟수를 기록하자.
열 감지 액정 필름의 색의 변화도 확인해 보자.
실험대에 기름종이, 금속판, 아크릴판, 고무판과 같이 다양한 재질의 판을 고정하
여 과정 , 를 반복해 보자.

과정 과정

열 감지 액정 필름

44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44 2018-08-10 오후 6:08:24


결과 및 정리 자기 평가

1. 나무토막이 왕복하는 동안 중심점에서 최대로 멀어지는 길이가 어떻게 변하는가? 1. 열 감지 액정 필름의 색이 변하는
까닭을 에너지 전환을 이용하여
2. 마찰면의 재질에 따라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어떻게 변하는가? 역학적 에너지가 변하는 말할 수 있는가?
까닭에 대하여 토의해 보자.
2. 이 실험을 통해서 역학적 에너지
3. 역학적 에너지의 감소와 열에너지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 의 감소와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
다.

이상적인 롤러코스터의 경우에는 그림 I - 25처럼 중력 퍼텐셜 에너지가 감소


한 만큼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이때의 롤러코스터
는 외부로부터 어떠한 에너지를 주고받지 않았기 때문에 닫힌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닫힌계에서는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

퍼텐셜 에너지
운동 에너지

그림 I - 25 이상적인 롤러코스터(닫힌계)의 역학적 에너지

반면 실제 롤러코스터는 그림 I - 26처럼 레일과의 마찰 때문에 롤러코스터의 열린계


물질과 에너지 모두 외부와 자유롭게
역학적 에너지 중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외부로 빠져나간다. 결국, 롤러코 교환이 일어나는 계를 열린계라고 한
다. 아울러 이러한 열린계는 계와 외
스터는 출발했던 높이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
부 사이에 주고받는 일과 열의 양이
하는 동안 지속해서 외부로 자신의 역학적 에너지가 빠져나가고 있어서 열린계 다르므로, 계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
존되지 않는다.
라고 할 수 있다. 즉, 열린계에서는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다.

퍼텐셜 에너지
운동 에너지
열에너지

그림 I - 26 실제 롤러코스터(열린계)의 역학적 에너지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닫힌계와 열린계의 차이를 역학적
1. 이해 역학적 에너지가 1000`J인 롤러코스터의 역학적 에너지가 도착 지점에서 800`J로
에너지 보존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감소하였다. 이때 외부로 방출된 열에너지의 크기는 얼마인가?
있다.
2. 적용 오른쪽 그림은 바닥과 계속 충돌하는 과정에서 테니스
공의 움직임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한 것이다. 테니스
공은 어떤 계라고 할 수 있을까? 테니스공의 움직임에 따라
역학적 에너지의 전환과 보존을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45

금성교과서(물리I).indb 45 2018-08-10 오후 6:08:26


해결하기 3 열을 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학습 목표 | 열기관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1894년에 만들어진 영국의 타워 브리지(Tower Bridge)는 배가 지나


갈 때 다리가 열리는 도개교로, 1000`t의 다리가 90 초 동안 서서히 들어
올려진다.

짝 토의 전기 에너지가 활발히 사용되지 않던 시대에 어떻게 다리를 들어 올렸을까?

움직이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물체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열에너지


로 전환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점차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줄어든다.
즉, 일이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열에너지를 다시 일로 바꿀 수
는 없을까? 다음의 실험을 통해서 열이 일로 바뀔 수 있는지 알아보자.

탐구 ➌ 실험 열에 의한 물체의 운동 탐구 능력

목표 열을 이용하여 물체를 움직일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5 분 안전

준비물 캔 뚜껑이 남아 있는 빈 알루미늄 캔, 실, 스탠드, 토치 또는 알코올램프 1. 송곳을 사용할 때, 다치지 않


도록 주의한다.
2. 알루미늄 캔 속의 물로 화상
과정 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실
험 후 캔을 직접 손으로 잡지
알루미늄 캔의 옆면의 위쪽 부분에 송곳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캔이 찌그러지지 않
않도록 주의한다.
게 구멍을 6개~8개 대칭적으로 뚫자.
구멍 뚫은 알루미늄 캔을 스탠드와 실을 이용하여 고정하자.

캔 속에 물을 4! 정도 채운 뒤, 캔의 아랫부분을 가스 토치나 알코올램프로 가열하


면서 캔의 움직임을 관찰하자.
과정 과정 과정

결과 및 정리
자기 평가
1. 실험 전에 알루미늄 캔이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해 보자. 그렇게 예측한 까닭은 무엇인가?
1. 알루미늄 캔 내부에서 일어난 변
2. 실험을 통해 알루미늄 캔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 일과 열, 캔의 에너 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지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2. 안전 사항을 준수하며 탐구에 임
3. 열이 일로 전환되는 예를 우리 주변에서 찾아 발표해 보자. 했는가?

46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46 2018-08-10 오후 6:08:28


뜨거워진 주전자의 뚜껑이 들썩거리거나 찌그러진 탁구공이 뜨거운 물속에서
팽창하는 것은 모두 열에너지에 의해서 기체의 부피가 팽창되는 현상이다. 이렇
게 기체가 팽창되는 과정에서 기체는 외부에 밀어내는 일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어떤 계에 열을 가해서 일을 만들어 내는 장치를 열기관이라고 한다.
열기관에서 열이 일로 전환되는 과정은 그림 I - 27과 같다.

그림 I - 27 열이 일로 전환되는 열기관

jk jk
화석 연료의 연소에 계를 이루는 구성 계 외부에
의한 열에너지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 대한 일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물을 끓여 발생한 수증기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을


할 수 있는 증기 기관이 발명되었다. 현재 자동차들도 화석 연료 즉 휘발유, 경유
등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해 일을 할
수 있게 만든 열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1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열기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또 조사한 열기관


에서 일어나는 에너지의 전환 과정을 설명해 보자.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열기관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 이해 타워 브리지의 엔진을 조사해 보고 열기관을 이용하여 다리를 들어 올리는 과정을
열과 일, 에너지 전환을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2. 적용 고대 그리스의 헤론은 신전의 문을 자동으로 여


닫기 위해서 열기관의 원리를 활용하였다. 어떤 원리
로 신전의 문이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지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47

금성교과서(물리I).indb 47 2018-08-10 오후 6:08:29


해결하기 4 열과 일의 양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학습 목표 | 열기관이 외부와 열과 일을 어떻게
주고받는지 설명할 수 있다.

그림은 자동차 엔진을 열화상 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엔진 내부에서 휘


발유가 연소하면서, 엔진 온도가 점점 높아진다.

짝 토의 자동차 엔진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열과 일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앞에서 열을 일로 바꿔 주는 장치인 열기관에서 바뀌는 열과 일은 어떻


게 구할 수 있을까? 빨대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열과 기체가 한 일의
양을 비교해 보자.

탐구 ➍ 실험 기체가 한 일의 양 측정 탐구 능력

목표 빨대를 이용하여 공기가 한 일의 크기를 구하고, 일과 열의 관계를 알 수 있다. 5분 안전

준비물 굵은 빨대(지름 12`mm), 뜨거운 물, 비닐 접착기, 물감, 비커, 온도계, 스탠드 1. 뜨거운 물을 사용 할 때, 화
상에 주의한다.
과정

굵은 빨대의 한쪽 끝에 물감을 푼 물을 조금 넣자.


물감을 살살 불어서, 빨대의 중간쯤 오게 하자.
빨대의 한쪽 끝을 비닐 접착기를 이용하여 밀봉하고, 물감의 처음 위치를 빨대에
표시해 보자.
뜨거운 물이 든 비커에 온도계를 설치하자.
빨대를 뜨거운 물에 2~3분 정도 넣었다가 꺼낸 뒤, 변화된 물감의 위치를 표시하자.
과정 과정

결과 및 정리 물리는 통한다!

1. 뜨거운 물의 처음과 나중의 온도 변화를 바탕으로 뜨거운 물에서 방출된 열에너지의 양을 기체가 공급받은 열에너지 Q
계산해 보자. 이 열에너지는 어떤 에너지로 전환되었을까? 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중학교에서 학습한 열량을 생
2. 물감의 위치는 어떻게 변하였는가? 물감의 위치가 변한 까닭은 무엇일까? 각해 보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열량(Q)=비열\질량
3. 물감의 위치 변화를 바탕으로 빨대 속의 공기가 한 일을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지 토의해
\온도의 변화
보고, 그 값을 구해 보자.
(▶ 중 2 과학, 열과 우리 생활)
4. 결과 및 정리 1과 3을 바탕으로 열과 일의 전환을 설명해 보자.

48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48 2018-08-10 오후 6:08:32


면적

압력

0 0 0
(가) (나)
그림 I - 28 기체가 한 일의 양 닫힌계에서 외부에 해 준 일의 양은 그래프의 밑면적과 같다. 경로에 따라 일의 양이 달라진다.

기체 분자들이 외부로 움직일 수 없는 닫힌계에서 기체 분자들의 총에너지를


물리는 통한다!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열과 일이다. 그림 I - 28의 (가)와 같이 기체의
기체의 압력(P)은 기체가 단
부피 변화가 있을 때, 기체가 외부에 한 일(W)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위 면적당 외부에 작용하는
힘(F)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
W=F K DL=(P K A)DL=P(ADL)=PDV
다. 따라서 단면적 A에 작용
하는 기체의 압력은 다음과
이로부터 닫힌계가 외부에 해 준 일의 양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닫힌계의
같다.
압력-부피 변화 그래프에서 밑면적과 같다. 그림 I - 28의 (나)에서 보듯이 닫힌 P=aF [1`N/m@ = 1`Pa]
계가 외부에 한 일의 양은 열역학적 경로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즉 계가 (▶ 중 1 과학, 기체의 성질)

처음 상태(1)에서 나중 상태(2)로 가는 경로는 한없이 많다. 열에너지 전달 역시


일과 마찬가지로 ‘경로에 따라 달라지는 양’이다.
이와 같이 어떤 닫힌계가 외부에 한 일(W)과, 외부에서 흡수한 열에너지의 크
기(Q)를 통해서 닫힌계를 이루고 있는 기체 입자들의 총에너지 변화(DE기체)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기체 = Q-W

이 식을 열역학 제 1 법칙이라고 하며 열역학 제 1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의 다


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2 열역학 제 1 법칙을 활용한 일상생활의 예를 조사해 보자.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그림과 같이 어떤 이상 기체가 A ! B ! C를 거쳐 A로 다시 열역학 제 1 법칙을 이용하여 닫힌계


에서 기체가 외부에 한 일과 외부로
돌아왔다고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부터 받은 열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1. 이해 A에서 C까지 변하는 동안 기체가 외부에 한 일은 얼마 수 있다.
인가?

2. 적용 A ! B ! C ! A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이 기체 자체


가 가지고 있던 에너지의 변화가 없었다면, 기체가 흡수한 열에너지의 크기는 얼마인가?

2. 열과 에너지 49

금성교과서(물리I).indb 49 2018-08-10 오후 6:08:32


해결하기 5 열기관 내부에서 변하는 에너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학습 목표 | 열기관이 외부와 열과 일을 주고
받아 열기관의 내부 에너지가 변화됨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팽팽하게 분 풍선 내부에는 무수히 많은 기체 입자들이 빠른 속력으


로 움직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열기관 내부 역시 무수히 많은 기체 입자
가 제각각의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다.

짝 토의 무수히 많은 기체 분자들이 각각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닫힌계 속의 무수히 많은 입자가 가지는 에너지의 총합을 그 계의 내부


에너지라고 한다. 이러한 내부 에너지를 정의하기 위해서 여러 과학자가
그림 I - 29와 같은 생각을 하였다.

일정 부피 안에 있는 무수히 많은 입자들은
입자들의 에너지를 모두 동일한 속력이 아니라 다양한 속력을 가질 수
계산하기 위해서는 입자들 사이의 있으므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되지. 이런 이상 기체들은 오로지
상호 작용을 무시한 이상적인 입자 탄성 충돌을 통해서 에너지를 교환
(이상 기체)를 가정해야 해. 하면서, 외부 벽에 압력을 가하지.
볼츠만
(Boltzmann, L.,
1844~1900)
맥스웰
베르누이 (Maxwell, J. C.,
(Bernoulli, 1831~1879)
D., 1700~1782)

그림 I - 29 이상 기체에 대한 과학자들의 생각

어떤 닫힌계의 이상 기체가 가지는 내부 에너지(U)는 기체 입자들 사이의 상


호 작용이 무시된 상태이므로, 각 이상 기체들의 운동 에너지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서 계산해 본 결과, 이상 기체로 이루어진 닫
힌계의 내부 에너지는 온도(T)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URT

따라서 앞에서 살펴보았던 열역학 제 1 법칙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DE기체 = Q-W = DURDT 절대 온도
섭씨 온도(!C)나 화씨 온도(!F)는 물
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기준으로 정한
여기서 온도는 절대 온도(K) 를 사용한다. 이때 0`K은 이상 기체 분자들이 전
온도이고, 절대 온도(K)는 이상 기체
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의 온도로 -273.15`!C에 해당하며 실제 자연계에는 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를 기준으로 정
한 온도이다.
재할 수 없는 이론적인 온도이다.

50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50 2018-08-10 오후 6:08:33


탐구 ➎ 자료 해석 스털링 엔진에서의 내부 에너지 변화 문제 해결력

목표 열기관이 외부와 열과 일을 주고받아 내부 에너지가 변화됨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과정

그림 I - 30과 같은 스털링 엔진은 다음의 4단계로 움직인다. 다음과 같은 작동 과


정을 바탕으로 각 과정을 설명해 보자.

그림 I - 30 스털링 엔진
1816 년 스코틀랜드의 목사 로버트
스털링(Stirling, R., 1790~1878)
이 고안한 엔진으로 물이 수증기가
되는 과정에서 팽창하는 힘을 이용하
는 증기 기관이 아닌 공기의 팽창을
이용하는 열기관이다. 외연 기관이고,
부피가 크며, 속도를 조절할 수 없다
는 문제로 사라졌다가 최근에 높은
효율과 저소음으로 인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각 과정에서 위쪽 공기의 압력(P)-부피(V)의 변화를 그래프로 그려 보고, 각 과


정에서 열과 일의 출입을 통한 내부 에너지 변화를 표에 완성해 보자.

단계 기체가 외부에 한 일 외부에서 공급된 열 내부 에너지 변화


(가) (+,0,-) (+,0,-) ( 증가 , 일정 , 감소 )
(나) (+,0,-) (+,0,-) ( 증가 , 일정 , 감소 )
(다) (+,0,-) (+,0,-) ( 증가 , 일정 , 감소 )
(라) (+,0,-) (+,0,-) ( 증가 , 일정 , 감소 ) 0

정리

1. 각각의 과정을 열역학 제 1 법칙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2. 스털링 엔진 내부 기체의 온도 변화는 어떠한가? 그러한 결과가 나온 까닭을 설명해 보자.
3. 최대한 많은 양의 일을 얻어 내기 위해서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토의해 보자.

자기 평가

1. 열기관이 외부와 열과 일을 주고받아 내부 에너지가 변화됨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열과 에너지 51

금성교과서(물리I).indb 51 2018-08-10 오후 6:08:34


결국, 열기관은 내부의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해 줄 입자들이 필요하다. 이 입 순환 과정
순환 과정이란 계가 처음 상태로 돌
자들이 외부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면 자신들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계의 아오도록 설계한 과정으로, 이때 부
피-압력 그래프로 둘러싸인 면적이
내부 에너지가 증가한다. 이렇게 증가한 내부 에너지를 외부에 일의 형태로 전달
순환 과정 동안 한 일에 해당한다.
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바꿔 주는 장치가 열기관이다. 열기관이 지속해서 작동하
기 위해서는 순환 과정 에 따라서 열기관이 작동해야 한다.

열역학적인 과정은 그림 I - 31과 같이 4가지 과정이 가능 하다. 대기압 상태에 있는 모든 기체는 이러한 등압 과정이
하다. 먼저 외부로의 열의 출입이 없는 단열 과정(Q=0)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일과 열의 출입 때문에
가능하다. 단열 과정에서는 열역학 제 1 법칙에 따라서 기체 기체의 내부 에너지가 변한다.
가 외부에 일하거나 받는 경우에만, 그 기체의 내부 에너지 네 번째는 처음 상태와 나중 상태의 온도 변화가 없는 등
가 변한다. 온 과정(DT=0)이 가능하다. 등온 과정에서는 기체의 내부
두 번째는 부피의 변화가 없는 등적 과정(DV=0)이 가능 에너지 변화가 없으므로,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만
하다. 등적 과정에서는 기체가 외부에 일을 할 수 없으므로, 큼 열로 전환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하거나, 반대로 기체가
외부와의 열의 흡수, 방출을 통해서만 기체의 내부 에너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한 만큼 그 기체는 외부에 일을 해 주
가 변한다. 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가 없다.
세 번째는 압력의 변화가 없는 등압 과정(DP=0)이 가능

그림 I - 31 열역학적인 과정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닫힌계 내부의 이상 기체 입자들이
1. 이해 방 안에 가득한 공기의 온도가 30.0`!C라고 하자. (단, 방 안의 공기는 이상 기체라
가지는 내부 에너지를 설명 할 수 있다.
고 가정한다.)

‌ 안 공기 분자들의 내부 에너지가 두 배가 되는 온도는 몇 !C인가?


①방
②방
‌ 안 공기의 온도가 15.0`!C로 낮아지면, 공기 분자들의 내부 운동 에너지도 절반으
로 줄어드는가? 아니라면 공기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의 평균값이 절반이 되는 온도
는 몇 !C인가?

2. 적용 자동차 엔진은 어떠한 열역학적인 과정을 통해서 일을 하는지 조사해 보고, 스털링
엔진과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자.

52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52 2018-08-10 오후 6:08:34


세상을 바꾸는
물리 비행기의 제트 엔진

그림 I - 32 제트 엔진의 구조

항공기 대부분이 약 200`t~450`t으로 엄청나게 무겁지 서 외부의 공기를 엔진 내부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만, 하늘을 날 수 있게 하는 핵심 부품은 바로 날개 옆에 있 엔진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꾹’의 단계로 압축된다. 충분한
는 제트 엔진이다. 그림 I - 32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트 엔 압축이 이루어지면 ‘꽝!’의 과정을 거친다. 즉 비행기의 연
진은 어떤 원리로 비행기를 띄울 수 있을까? 료와 압축 공기가 만나면서 연소가 일어나 엄청난 추진력이
제트 엔진의 자세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지 만들어지는 것이다. 항공기 엔진은 불을 붙이기는 어렵지만
만, 토드 웨츨(Wetzel, T.)이라는 우주 항공 기술자는 이 한번 불이 붙으면 쉽게 꺼지지 않고 엄청난 양의 열에너지
를 다음과 같이 네 단어로 설명한다. 를 만들어 낸다. 마지막 ‘휙’ 단계에서 연료의 폭발로 만들
어진 고온, 고압, 고밀도의 공기가 터빈을 빠르게 회전시킨
‘쭉, 꾹, 꽝!, 휙’
다. 결국, 모든 제트 엔진 비행기는 이 네 단계를 통해서 하
각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자. 먼저 ‘쭉’의 단계 늘을 날 수 있게 된 것이고, 열을 터빈의 운동 에너지로 전
는 흡입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엔진 앞부분의 흡입구를 통해 환한 것이므로 일종의 열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토의하기
1 최근 제트 엔진의 앞부분에는 그림과 같이 선풍기 날개 같은 팬 블레
이드를 설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팬을 설치한 까닭을 토의해
보자.

2 기존의 선풍기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날개 없는 선풍기’도 제트 엔진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고 한다. ‘날개 없는 선풍기’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자료를 찾아 제트 엔진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53

금성교과서(물리I).indb 53 2018-08-10 오후 6:08:37


해결하기 6 모든 열이 일로 바뀔 수 있을까? 학습 목표 | 열이 모두 일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외부에서 에너지 공급이 없더라도 무한히 움직일 수 있는 영구 기관에


대한 연구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이전부터 현재까지도 시도되고 있다.
오른쪽 그림은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자석으로 가는 자동차이다.

짝 토의 이 장치는 자기력으로 영원히 움직일 수 있을까?

열을 일로 바꿔 주는 열기관은 외부로부터 흡수한 열의 일부만을 일로 전


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열기관의 열효율(e)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외부에 한 일 W
열효율(e) = =
공급한 열 Q

대표적인 열기관인 자동차에 붙어 있는 에너지 소비 효율 라벨을 통해서 자동


차의 열효율을 계산해 보자.

탐구 ➏ 토의 에너지 소비 효율 라벨 을 이용하여 열효율 계산하기 문제 해결력

목표 에너지 소비 효율 라벨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열효율을 계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열기관인 자동차에서 연비 에너지 소비 효율 라벨


1992 년부터 모든 가전제품 및 자동
12`km / L는 ‘휘발유 1`L를 이용해서 자
차의 24 개 품목을 대상으로 에너지
동차가 12`km까지 갈 수 있다.’라는 의
소비 효율 라벨을 해당 품목에 의무
미이다. 이 정보를 통해서 우리는 이 자 적으로 부착하게 되어 있다.
동차의 열효율을 대략 유추할 수 있다.
다음의 과정을 통해서 대략적인 자동차
엔진의 열효율을 계산해 보자.

1. 휘발유 1`L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공급한 열에너지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료들이
추가로 필요할까?

2. 인터넷을 이용하여 1에서 생각한 자료를 검색하여, 휘발유 1`L에서 만들어지는 열에너지의
양을 직접 계산해 보자.
3. 자동차가 12`km를 움직이는 동안 한 일을 구해야 한다. 엔진의 출력이 270 마력 인 엔진이
60`km / h의 일정한 속력으로 12`km를 움직이는 동안 외부 저항력(기계 마찰, 공기 저항 등)
이 770`N만큼 작용하였을 때 자동차가 한 일을 계산해 보자. 마력
‘말 한 마리가 짐을 끄는 일률’이다.
4. 3 에서 구한 자동차의 열효율은 얼마일까?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하는 영국과 그
외의 프랑스 등 국가에서 1마력의 크
5. 일반적으로 휘발유를 이용한 자동차의 경우 열효율이 약 25`% 정도이다. 현재 자동차의 연비
기는 약간 다르게 정의된다.
를 구하는 방법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한 뒤, 직접 구한 자동차의 열효율과 차이가 나는
[영국] 1마력(hp) = 745.7`W
까닭은 무엇일지 토의해 보자. [그 외] 1마력(hp) = 735.5`W

54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54 2018-08-10 오후 6:08:39


그림 I - 33과 같이 열은 고열원 에서 저열 열원
열기관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열에너
원으로 이동하므로, 고열원에서 열기관에 지를 받아오거나 내보낼 수 있는 곳
이 필요하다. 열에너지가 매우 많아
공급한 열에너지가 Q1이고, 열기관이 저열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거나 들어와도
원으로 방출한 열에너지가 Q2라고 하면, 열 온도가 변하지 않는 것을 열원이라고
한다. 열기관은 온도가 다른 두 열원
역학 제 1 법칙에 따라 닫힌계에서 열기관 사이에서 작동하며, 이중 상대적으로
이 외부에 한 일은 이 두 열에너지의 차이 온도가 높은 것을 고열원, 낮은 것을
저열원이라고 한다.
(Q1-Q2)에 해당할 것이다. 따라서 열효율
(e)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그림 I - 33 공급한 열과 한 일의 양
W Q1-Q2 Q2
열효율(e)= = =1- <1
Q1 Q1 Q1

그런데 Q2는 0이 될 수 없으므로 어떠한 열기관의 열효율도 1보다 작을 수밖


에 없다. 결과적으로 열효율이 1인 이상적인 열기관은 제작할 수 없다. 19세기
초 프랑스의 카르노(Carnot, N. L. S., 1796~1832)는 두 열원 사이에서 가장
높은 열효율을 낼 수 있는 이상적인 열기관인 카르노 기관을 제안하였다. 카르노
기관의 열효율(ec)은 고열원의 절대 온도(T1)와 저열원의 절대 온도(T2)에 의해
서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T1-T2 T2
ec= =1-
T1 T1
한편 과학자들은 그림 I - 34처럼 열에너지의 흐름에 방향성이 있듯이 모든 열
역학적 과정에서 특정한 방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를 클라우지
우스(Clausius, R., 1822~1888)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저열원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열원으로 열을 전달하는 과정은 불가능하다. 즉, 열에너


지는 항상 고열원에서 저열원으로 이동한다.

이를 열역학 제 2 법칙이라고 한다.

그림 I - 34 에너지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달된다.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열기관의 열효율을 구하여 열기관이
1. 이해 열효율이 20`%인 열기관이 고열원에서 800`J의 열을 공급받았다. 이 열기관이 저
외부로 한 일과 흡수한 열의 크기를
열원으로 방출한 열은 얼마인가?
구할 수 있다.
2. 적용 최근 여름에는 에어컨으로 겨울에는 히터로 사용할 수 있는 냉난방 겸용 장치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 보고, 각각의 경우에 열원에
서 일과 열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설명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55

금성교과서(물리I).indb 55 2018-08-10 오후 6:08:39


생각 모으기
2 열과 에너지 정리하기 개념 확인 | 아하! 그렇구나

개념 확인 다음은 이 단원을 정리한 것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42~55쪽

1. 물체가 외부와 에너지 교환이 없는 계를 ① (이)라 하고, 만약 외부와 에너지


의 교환이 없다면, 이 계의 역학적 에너지는 ②   된다.

2. 마찰력이 작용하는 경우, 마찰 때문에 한 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린계에서 역학적 에


너지는 ③   한다.

3. 열을 가해서 일을 할 수 있는 장치를 ④ (이)라고 한다. 이 장치에서는 화석 연


료의 연소에 의한 ⑤ 이/가 장치로 이루어진 계의 구성 입자들의 ⑥   
(으)로 전환되어, 계의 외부에 ⑦ 을/를 할 수 있게 된다.

4. 닫힌계의 내부 구성 입자들이 한 일의 양(W)은 ⑧ (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닫힌계가 외부에 한 일(W), 외부에서 흡수한 열에너지의 양(Q), 닫힌계를 이루는
구성 입자들의 총에너지 변화(DE기체) 사이에는 ⑨ 관계가 성립한다.

5. 닫힌계 속의 무수히 많은 입자가 가지는 에너지의 총합을 그 계의 ⑩ (이)라고


하고, 이는 ⑪ 에 비례한다. 열기관이 ⑫   (으)로 구성되면, 이 기관은
지속해서 작동할 수 있다.

6. 어떤 기관에서 이상적인 최대 열효율은 두 열원 사이의 ⑬ 에 의해 결정되


며, ⑭ 이다. 한편 모든 열역학적 과정은 특정한 방향이 존재하는데 이를
⑮ (이)라고 한다.

아하! 그렇구나 위험천만한 우주 비행사의 지구 귀환 40쪽

생각 펼치기 (40~41쪽)를 다시 읽고, 아래 물음에 대해 스스로 답해 보자.

1 지구 귀환 캡슐이나 유성은 닫힌계와 열린계 중 어떤 것에


해당하는지 생각해 보고, 이를 중심으로 역학적 에너지 보
존을 설명해 보자. 에너지 보존 법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계를 어느 범위까지 정해야 하는지 설명해 보자.

2 지구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일로 전환


하기 어려운 까닭을 열역학 제 2 법칙을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56 Ⅰ. 역학과 에너지

금성교과서(물리I).indb 56 2018-08-10 오후 6:08:40


생각 넓히기
2 입고만 있어도 휴대 전화가
충전되는 옷 토의 |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이 되어 버린 휴대 전화, 온종일 휴대 실내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전기 생산량이 커진다.


어느새 일상생활에서는
보면 그림없어서는 안 되는 스마트폰. 온종 반대로 전기에너지를
에너지를 공급하면
공급하여 열을
열로 전환하는
전환하는 것도
것도 가능
전화를 사용하다 I - 35와 같이 배터리가 바닥나는 반대로 전기 가능
일 스마트폰을
난감한 상황에 사용하다 보면이러한
처하게 된다. 배터리가 부족한
문제를 경우 매우
해결하기 위해서난 하다. 옷감에 열전소자를 패치 형태로 붙인 뒤 건전지 등을
하다. 옷감에 열전 소자를 조각 형태로 붙인 뒤 건전지 등을
감해지게 된다.
최근 개발된 이러한
기술이 바로문제를
보조해결하기
배터리다.위해서
그러나최근 개발된
이러한 보 연결하면 열전소자가
연결하면 열전 소자가 따뜻해지거나
따뜻해지거나 시원해진다.
시원해진다. 여름철엔
여름철엔
기술이 바로 보조 배터리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배터리 역
조 배터리 역시 충전에 한계가 있고,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단 온도가 내려가는 시원한 옷을, 겨울철엔 온도가 올라가는
온도가 내려가는 시원한 옷을, 겨울철에는 온도가 올라가는따

점이충전에
있다. 한계가 있고, 휴대성에서 문제점이 있다. 뜻한
따뜻한옷을
옷을 만들만들수수
있다.
있다.
이러한
이러한 문제점을
문제점을 해결하기
해결하기 위한
위한 차세대
차세대 기술로
기술로 주목을
주목을 받 이러한 열전소자를 적절히 배치해서 옷 속에 심어둔다면,
받 그림 I - 37과 같은 열전 소자를 적절히 배치해서 옷 속에
는 것이 체온을 통한 배터리 충전기술이다. 이는 ‘열전소자’
는 것이 체온을 통한 배터리 충전 기술이다. 이는 ‘열전 소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
심어 둔다면, 옷을 입고 있는 휴대폰이 저절로
상태에서 휴대충전되는
전화가 웨어러
저절로
라는 원천 기술을 이용하여 체온을 이용한과발전이 가능하도 블 장치가착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체온을 통한 배터리 충전기
자’라는 원천 기술을 이용하여 그림 I - 36 같이 체온으로 충전되는 가능한 장치가 가능할 것이다.
록 하였다. 열전소자는 앞면과 뒷면의 열 온도 차이를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열전 소자는 앞면과 뒷면의 활용 술은 에너지 전환의 관점에서 살펴보자. 고온일로
고온부에 해당하는 인체를 이용하여 열을 부에전환해
해당하는최
해 전기를
열 온도 생산하는
차이를 소자로
활용해 전기를패치 형태의소자로
생산하는 소자에조각
손을형태의
갖다 인체를
종적인 이용하여 열을형태로
전기 에너지 일로 전환해
전환해 최종적인
주는 열전전기에너지 형
소자는 크게
대면 전력이 바로 생산된다. 손의 체온과 실내 온도의 차이
소자에 손을 갖다 대면 전력이 바로 생산된다. 손의 체온과 태로 전환해주는 열전소자는 큰
본다면 열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의미에서 본다면 열기관이
가 클수록 전기 생산량이 커진다. 라고 할 수 있다.

그림 I - 35 배터리 전원이 부족한 휴대 전화 그림 I - 36 체온에 의해 만들어진 전기 에너지 그림 I - 37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열전 소자

발표하기

1. 열전 소자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지 열효율 공식을 근거로 설명해 보자.

2. 열전 소자를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사례를 더 찾아서 발표해 보자.

3. 사람의 체온 이외의 다른 열원을 사용하여 열전 소자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토의한 뒤, 발표해 보자.

2. 열과 에너지 57

금성교과서(물리I).indb 57 2018-08-10 오후 6:08: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