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nks to visit codestin.com
Credit goes to www.scribd.com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13 views336 pages

Apush 8

Uploaded by

halynnhong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13 views336 pages

Apush 8

Uploaded by

halynnhong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336

Module 8 Overview (1945-1980)

After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grappled with prosperity and unfamiliar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while struggling to live up to its ideals.

Key Concept 8.1: The United States responded to an uncertain and unstable
postwar world by asserting and working to maintain a position of global leadership,
with far-reach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sequences.

Key Concept 8.2: New movements for civil rights and liberal efforts to expand the
role of government generated a range of political and cultural responses.

Key Concept 8.3: Postwar economic and demographic changes had far-reaching
consequences for American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모듈 8 개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분투하는 동시에 번영과


생소한 국제적 책임과 씨름했습니다.

주요 개념 8.1: 미국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하는 글로벌


리더십의 지위를 주장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전후
세계에 대응했습니다.

주요 개념 8.2: 시민권을 위한 새로운 운동과 정부의 역할을 확장하려는 자유주의적


노력은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주요 개념 8.3: 전후 경제 및 인구통계학적 변화는 미국 사회, 정치, 문화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Period 8: 1945-1980

After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grappled with prosperity and unfamiliar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while struggling to live up to its ideals.

Key Concepts

Part 1

1. The United States responded to an uncertain and unstable postwar world by


asserting and working to maintain a position of global leadership, with far-reach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sequences.

2. United States policymakers engaged in a Cold War with the authoritarian Soviet
Union, seeking to limit the growth of Communist military power and ideological
influence, create a free-market global economy, and build an international security
system.

3. Cold War policies led to continued public debates over the power of the federal
government and acceptable means for pursu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goals
while protecting civil liberties.

Part 2

4. New movements for civil rights and liberal efforts to expand the role of government
generated a range of political and cultural responses.

5. Seeking to fulfill Reconstruction-era promises, civil rights activists and political


leaders achieved some legal and political successes in ending segregation, although
progress toward equality was slow.

6. Responding to social conditions and the African American civil rights movement, a
variety of movements emerged that focused on issues of identity, social justice, and
the environment.

7. Liberalism influenced postwar politics and court decisions, but it came under
increasing attack from the left as well as from a resurgent conservative movement.

Part 3

8. Postwar economic and demographic changes had far-reaching consequences for


American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9. Rapid economic and social changes in American society fostered a sense of
optimism in the postwar years.

10. New demographic and social developments, along with anxieties over the Cold
War, changed U.S. culture and led to significant political and moral debates that
sharply divided the nation.

Significant Topics

1. U.S. Foreign Policy after World War II

As postwar tensions dissolved the wartime alliance between Western democracies


and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developed a foreign policy based on
collective security, international aid, and economic institutions that bolstered
non-Communist nations. The Cold War fluctuated between periods of direct and
indirect military confrontation and periods of mutual coexistence (or détente).
Americans debated the merits of a large nuclear arsenal, the military-industrial
complex, and the appropriate power of the executive branch in conducting foreign
and military policy.

2. The Red Scare Americans debated policies and methods designed to expose
suspected Communists within the United States even as both parties supported the
broader strategy of containing communism.

3. Decolonization and the Spread of Nationalism Postwar decolonization and the


emergence of powerful nationalist movements in Asia, Africa, and the Middle East
led both sides in the Cold War to seek allies among new nations, many of which
remained nonaligned.

4. The U.S. and Latin America Cold War competition extended to Latin America,
where the U.S. supported non-Communist regimes with varying levels of
commitment to democracy.

5. War in Southeast Asia — Korea and Vietnam

Concerned by expansionist Communist ideology and Soviet repression, the United


States sought to contain communism through a variety of measures, including major
military engagements in Korea and Vietnam. Although anticommunist foreign policy
faced little domestic opposition in previous years, the Vietnam War inspired sizable
and passionate antiwar protests that became more numerous as the war escalated,
and sometimes led to violence.

6. The U.S. and the Middle East


Ideological, military, and economic concerns shaped U.S. involvement in the Middle
East, with several oil crises in the region eventually sparking attempts at creating a
national energy policy.

7. The Civil Rights Movement

During and after World War II, civil rights activists and leaders, most notably Martin
Luther King Jr., combatted racial discrimination utilizing a variety of strategies,
including legal challenges, direct action, and nonviolent protest tactics. The three
branches of the federal government used measures including desegregation of the
armed services, Brown v. Board of Education, and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o
promote greater racial equality. Continuing resistance slowed efforts at
desegregation, sparking social and political unrest across the nation. Debates
among civil rights activists over the efficacy of nonviolence increased after 1965.

8. The Rights Revolution

Feminist and gay and lesbian activists mobilized behind claims for legal, economic,
and social equality. Latino, American Indian, and Asian American movements
continued to demand social and economic equality and a redress of past injustices.

9. 1960s Liberalism and The War on Poverty

Despite an overall affluence in postwar America, many people raised concerns about
the prevalence and persistence of poverty as a national problem. Liberalism, based
on anticommunism abroad and a firm belief in the efficacy of government power to
achieve social goals at home, reached a high point of political influence by the
mid-1960s. Liberal ideas found expression in Lyndon Johnson’s Great Society, which
attempted to use federal legislation and programs to end racial discrimination,
eliminate poverty, and address other social issues. A series of Supreme Court
decisions expanded civil rights and individual liberties.

10. Post-War Economic Prosperity

A burgeoning private sector, federal spending, the baby boo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helped spur economic growth. As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new technologies rapidly expanded, increasing social mobility encouraged the
migration of the middle class to the suburbs and of many Americans to the South
and West. The Sun Belt region emerged as a significant political and economic
force.

11. Immigration
Immigrants from around the world sought access to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opportunities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after the passage of new
immigration laws in 1965.

12. The Environmental Movem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accidents led to a growing environmental movement


that aimed to use legislative and public efforts to combat pollution and protect natural
resources. The federal government established new environmental programs and
regulations.

13. Post-World War II Culture and Society

Mass culture became increasingly homogeneous in the postwar years, inspiring


challenges to conformity by artists, intellectuals, and rebellious youth. Feminists and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unterculture of the 1960s rejected many of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values of their parents’ generation, introduced
greater informality into U.S. culture, and advocated changes in sexual norms.

14. Attacks on 1960s Liberalism and the Rise of Conservatism

Some groups on the left rejected liberal policies, arguing that political leaders did too
little to transform the racial and economic status quo at home and pursued immoral
policies abroad. Conservatives also challenged liberal laws and court decisions and
perceived moral and cultural decline, seeking to limit the role of the federal
government and enact more assertive foreign policies. The 1970s saw growing
clashes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over social and cultural issues, the
power of the federal government, race, and movements for greater individual rights.
The rapid and substantial growth of evangelical Christian churches and
organizations was accompanied by greater political and social activism on the part of
religious conservatives.

15. The Malaise of the Late 1970s

Public confidence and trust in government’s ability to solv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declined in the 1970s in the wake of economic challenges, political
scandals, and foreign policy crises.

c Alger Hiss

c Alliance for Progress

c American Indian Movement

c baby boom

c Bakke case
c Bay of Pigs invasion

c Beatniks/Beats

c Berlin airlift

c Black Panthers

c Black Power

c brinkmanship

c Brown v. Board of Ed.

c Camp David Accords

c Cesar Chavez

c CIA

c Civil Rights Act of 1964

c Clean Air Act

c containment

c counterculture

c Cuban Missile Crisis

c desegregation of military

c détente

c Dixiecrats

c domino theory

c Earth Day

c Eisenhower Doctrine

c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 Equal Pay Act

c Equal Rights Amendment

c Fair Deal
c fall of China to communism

c Feminine Mystique

c flexible response

c freedom rides

c George Wallace

c GI Bill

c Great Society

c Griswold v. Connecticut

c H-bomb

c HUAC

c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of 1965

c Iran hostage crisis

c iron curtain

c Julius and Ethel Rosenberg

c Kent State Massacre

c Korean War

c Malcolm X

c March on Washington

c Marshall Plan

c Martin Luther King, Jr.

c massive retaliation

c McCarthyism

c Medicare/Medicaid

c Miranda v. Arizona

c My Lai Massacre
c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c Nat’l Security Council

c NATO

c New Right

c Nikita Khrushchev

c Nixon Doctrine

c OPEC

c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c Phyllis Schlafly

c Robert F. Kennedy

c rock and roll

c Roe v. Wade

c Rosa Parks

c SALT I and II

c Selma to Montgomery

c Silent Spring

c sit-ins

c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c southern strategy

c space race

c Sputnik

c Stagflation

c Stonewall riot

c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c 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c Suez crisis

c Sun Belt

c Taft-Hartley Act

c Tet Offensive

c Tonkin Gulf Resolution

c Truman Doctrine

c United Nations

c Vietnam War

c Vietnamization

c Voting Rights Act 1965

c War on Poverty

c War Powers Act

c Warsaw Pact

c Watergate

c white flight

c Woodstock

8기: 1945-1980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분투하는 동시에 번영과


생소한 국제적 책임과 씨름했습니다.

주요 개념

1부
1. 미국은 국내외적으로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하는 글로벌 리더십의 지위를 주장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전후 세계에 대응했습니다.

2.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권위주의적인 소련과 냉전을 벌이고 있으며, 공산주의


군사력과 이념적 영향력의 성장을 제한하고, 자유 시장 세계 경제를 창출하고, 국제
안보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3. 냉전 정책은 연방 정부의 권한과 시민의 자유를 보호하는 동시에 국제 및 국내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허용 가능한 수단에 대한 지속적인 공개 토론으로
이어졌습니다.

2부

4. 시민권을 위한 새로운 운동과 정부의 역할을 확대하려는 자유주의적 노력은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5. 재건 시대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민권 운동가와 정치 지도자들은 인종 차별을


종식시키는 데 법적, 정치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평등을 향한 진전은 더뎠습니다.

6. 사회적 상황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 운동에 대응하여 정체성, 사회 정의,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운동이 등장했습니다.

7. 자유주의는 전후 정치와 법원 결정에 영향을 미쳤지만, 부활한 보수 운동은 물론


좌파로부터 점점 더 많은 공격을 받았습니다.

3부

8. 전후 경제 및 인구학적 변화는 미국 사회, 정치, 문화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9. 미국 사회의 급속한 경제적, 사회적 변화는 전후 몇 년 동안 낙관주의를


키웠습니다.

10. 새로운 인구통계학적, 사회적 발전은 냉전에 대한 불안과 함께 미국 문화를


변화시켰고 국가를 날카롭게 분열시키는 심각한 정치적, 도덕적 논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중요한 주제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외교정책

전후 긴장으로 인해 서구 민주주의 국가와 소련 간의 전시 동맹이 해체되자 미국은


집단 안보, 국제 원조, 비공산 국가를 지원하는 경제 제도에 기초한 외교 정책을
개발했습니다. 냉전은 직·간접적인 군사 대결 시기와 상호 공존(또는 데탕트) 시기
사이를 오갔다. 미국인들은 대규모 핵무기, 군산복합체, 그리고 외교 및 군사 정책을
수행하는 행정부의 적절한 권한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2. Red Scare 미국인들은 미국 내에서 의심되는 공산주의자들을 폭로하기 위해


고안된 정책과 방법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양당은 모두 공산주의를 억제하는 더
광범위한 전략을 지지했습니다.

3. 탈식민지화와 민족주의의 확산 전후 탈식민지화와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지역의


강력한 민족주의 운동의 출현으로 인해 냉전 시대 양측은 새로운 국가들 사이에서
동맹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그 중 많은 국가들은 비동맹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4.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의 냉전 경쟁은 라틴 아메리카까지 확장되었으며, 그곳에서


미국은 민주주의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헌신으로 비공산주의 정권을 지원했습니다.

5. 동남아시아 전쟁 – 한국과 베트남

팽창주의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와 소련의 탄압을 우려한 미국은 한국과 베트남에서


대규모 군사 교전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를 통해 공산주의를 억제하려고 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반공주의 외교 정책은 국내 반대에 거의 직면하지 않았지만, 베트남
전쟁은 전쟁이 격화됨에 따라 점점 더 많아지고 때로는 폭력으로 이어지는 크고
열정적인 반전 시위를 불러일으켰습니다.

6. 미국과 중동

이데올로기적, 군사적, 경제적 우려로 인해 미국은 중동에 개입하게 되었고, 이


지역에서 여러 차례 석유 위기가 발생하면서 결국 국가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려는
시도가 촉발되었습니다.

7. 민권 운동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그 이후에 민권 운동가와 지도자, 특히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는 법적 문제, 직접 행동, 비폭력 항의 전술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인종 차별에 맞서 싸웠습니다. 연방 정부의 세 부서는 인종
차별 철폐,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1964년 민권법 등 인종 차별 철폐를 포함한 조치를
취하여 더 큰 인종 평등을 촉진했습니다. 지속적인 저항으로 인해 인종차별 철폐
노력이 둔화되었고, 전국적으로 사회적, 정치적 불안이 촉발되었습니다. 1965년 이후
비폭력의 효율성에 대한 민권 운동가들의 논쟁이 증가했습니다.

8. 권리 혁명

페미니스트와 게이, 레즈비언 활동가들은 법적, 경제적,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기 위해


동원되었습니다. 라틴계, 아메리칸 인디언, 아시아계 미국인 운동은 계속해서 사회적,
경제적 평등과 과거의 불의의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9. 1960년대 자유주의와 빈곤과의 전쟁
전후 미국의 전반적인 풍요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국가적 문제로서 빈곤이
만연하고 지속된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해외의 반공주의와 국내의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 권력의 유효성에 대한 확고한 믿음에 기초한 자유주의는 1960년대
중반에 정치적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자유주의 사상은 린든 존슨(Lyndon
Johnson)의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에서 표현되었으며, 인종 차별을 종식하고
빈곤을 퇴치하며 기타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 법률과 프로그램을
사용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일련의 대법원 판결은 시민권과 개인의 자유를
확대했습니다.

10. 전후 경제적 번영
급성장하는 민간 부문, 연방 지출, 베이비붐, 기술 발전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등 교육 기회와 신기술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사회적
이동성의 증가로 인해 중산층이 교외로 이주하고 많은 미국인이 남부와 서부로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Sun Belt 지역은 중요한 정치적, 경제적 세력으로
부상했습니다.

11. 이민
전 세계의 이민자들은 특히 1965년 새로운 이민법이 통과된 이후 미국에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기회에 대한 접근을 모색했습니다.

12. 환경운동
환경 문제와 사고로 인해 오염에 맞서고 천연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입법적, 공공적
노력을 기울이는 환경 운동이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연방 정부는 새로운 환경
프로그램과 규정을 제정했습니다.

13.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문화와 사회


대중문화는 전후 몇 년간 점점 동질화되어 예술가, 지식인, 반항적인 젊은이들의
순응에 대한 도전을 불러일으켰습니다. 1960년대 반문화에 참여한 페미니스트와
젊은이들은 부모 세대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가치를 거부하고 미국 문화에 더
많은 비공식성을 도입했으며 성적 규범의 변화를 옹호했습니다.

14. 1960년대 자유주의에 대한 공격과 보수주의의 부상


좌파의 일부 그룹은 정치 지도자들이 국내에서는 인종적, 경제적 현상을 변화시키는
데 너무 적은 노력을 기울이고 해외에서는 부도덕한 정책을 추구한다고 주장하면서
자유주의 정책을 거부했습니다. 보수주의자들은 또한 자유주의 법률과 법원 판결에
도전하고 도덕적, 문화적 쇠퇴를 인식하여 연방 정부의 역할을 제한하고 보다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제정하려고 했습니다. 1970년대에는 사회, 문화적 문제, 연방
정부의 권력, 인종, 개인 권리 확대 운동을 둘러싸고 보수주의자와 자유주의자 사이에
충돌이 점점 더 심해졌습니다.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와 조직의 빠르고 실질적인
성장은 종교적 보수주의자들의 정치적, 사회적 활동의 확대를 동반했습니다.

15. 1970년대 후반의 불쾌감


정부의 사회적, 경제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대중의 신뢰와 신뢰는 1970년대 경제
문제, 정치적 스캔들, 외교 정책 위기로 인해 하락했습니다.

Overview

● The Cold War was a struggle for world dominance between the capitalist
United States and the communist Soviet Union.
● At the Yalta Conference,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agreed to split Germany into four zones of occupation
after the war.
● The US ambassador in Moscow warned that the Soviet Union desired to
expand throughout the world and prescribed the "containment" of
communism as the chief US foreign policy strategy.

What was the Cold War?

The Cold War was a global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lasting from 1947 to 1991, over which of the two superpowers would hold economic
and ideological sway over the world. It's called the Cold War because no actual
military engagement took pl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USSR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Instead, fighting took place in proxy wars conducted in
"third-world" countries. Explain

The United States and USSR clashed over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philosophies.
As a capitalist, democratic nation, the US sought to promote free elections and free
markets. As a communist, totalitarian state, the USSR sought to ensure the security
of its borders and the political dominance of the Communist party.

The Yalta Conference and the end of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Soviet Union worked together to win
World War II, but their relationship was tense and fraught from the beginning. The
Soviet Union originally had signed a Non-Aggression Pact with Nazi Germany in
1939; the USSR only entered the war on the side of the Allies when Hitler
double-crossed Soviet Premier Joseph Stalin and invaded Russia in 1941. This
proved to be a fatal mistake for Hitler: the Russians eventually stalled his invasion
and overtook all of the territory the Nazis had conquered in Eastern Europe.

Before the war's end, the leaders of the Allied powers met at the Russian resort town
of Yalta to plan for the future after Hitler's defeat. At this Yalta Conference, they
could not agree on much, but they did agree that any remnant of Nazi power had to
be stamped out of Germany. To this end, they agreed to divide Germany, as well as
the city of Berlin, into four zones, each of which would be occupied by one of the
major Allied powers (the "Big Four"): France,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Photograph depicting Winston Churchill, Franklin D. Roosevelt, and Joseph Stalin


seated together outdoors during the Yalta Conference.

The leaders of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met at the Yalta Conference to plan for the postwar era. From left to right:
Winston Churchill, Franklin D. Roosevelt, and Joseph Stalin.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As the war moved into its final stages in mid-1945, suspicion flar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he terrifying new power of the atomic bomb,
which the United States dropped on Japan in August, made the Soviets justifiably
nervous. The United States also didn't endear itself to Russia when it abruptly cut off
all military and financial aid to the Soviet Union upon the war's conclusion, at a time
when Russian citizens dearly needed the help. For its part, the Soviet Union was
sending clear signals that it did not intend to give up the territory it had gained from
the Nazis, including stalling on its promises to remove troops from oil-rich regions in
the Middle East and to allow free elections in conquered Poland.

The "Long Telegram" and containment

Amid this tense atmosphere, George F. Kennan, who was the deputy chief of the
American Embassy in Moscow, sent a dire warning to the US government. In a Long
Telegram sent to the US Secretary of State in 1946, Kennan warned that the Soviets
believed that "there could be no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communists and
capitalists, and that the Soviets desired the relentless expansion not only of their
own borders but of communism writ large.

Kennan advised the US government that the only way to handle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was to pursue a vigorous policy of containment: blocking the advance
of both Soviet power and communism everywhere in the world.
The US government adopted Kennan's ideas for containment, which became the
cornerstone of American foreign policy in the twentieth century.

개요
냉전은 자본주의 미국과 공산주의 소련 사이의 세계 패권을 위한 투쟁이었습니다.
얄타 회담에서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는 전쟁 후 독일을 4개의 점령 지역으로
분할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는 소련이 전 세계로 확장하기를 원한다고 경고하고 미국의
주요 외교 정책 전략으로 공산주의 '봉쇄'를 규정했습니다.
냉전은 무엇이었는가?
냉전은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지속된 미국과 소련 사이의 세계적인 갈등으로, 두
초강대국 중 어느 쪽이 세계를 경제적, 이념적으로 장악할지를 놓고 벌였습니다.
미국과 소련(소련 사회주의 공화국 연합) 사이에 실제 군사 교전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냉전이라고 부릅니다. 대신, "제3세계" 국가에서 벌어지는 대리전에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미국과 소련은 경제, 정치 철학을 두고 충돌했다. 자본주의, 민주주의 국가로서
미국은 자유선거와 자유시장을 장려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공산주의, 전체주의
국가로서 소련은 국경의 안전과 공산당의 정치적 지배력을 보장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얄타 회담과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
미국, 영국,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기 위해 함께 노력했지만 그들의
관계는 처음부터 긴장되고 험난했습니다. 소련은 원래 1939년에 나치 독일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소련은 1941년 히틀러가 소련 총리 이오시프 스탈린을
배신하고 러시아를 침공했을 때 연합국 편에서 전쟁에 참전했습니다. 이는
히틀러에게 치명적인 실수임이 입증되었습니다. 러시아는 결국 그의 침공을
지연시키고 영토 전체를 점령했습니다. 나치는 동유럽을 정복했습니다.

전쟁이 끝나기 전, 연합국 지도자들은 히틀러 패배 이후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 러시아의 휴양 도시 얄타에 모였습니다. 이번 얄타 회담에서 그들은 많은 부분에
동의할 수 없었지만 나치 세력의 잔존 세력을 독일에서 몰아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했습니다. 이를 위해 그들은 독일과 베를린 시를 4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은 연합국의 주요 강대국("빅 4") 중 하나인 프랑스, 영국, 독일이 점령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미국과 소련.

얄타 회담 중 야외에 함께 앉아 있는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이오시프


스탈린을 묘사한 사진.
얄타 회담 중 야외에 함께 앉아 있는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이오시프
스탈린을 묘사한 사진.
영국, 미국, 소련의 지도자들이 얄타 회담에서 만나 전후 시대를 계획했습니다.
왼쪽부터: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조셉 스탈린.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45년 중반 전쟁이 최종 단계로 접어들면서 미국과 소련 사이에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지난 8월 미국이 일본에 투하한 원자폭탄의 무시무시한 위력은 소련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또한 미국은 전쟁이 끝난 후 소련에 대한 모든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갑자기 중단했을 때 러시아의 사랑을 받지 못했습니다. 당시 러시아 시민들은
도움이 절실히 필요했습니다. 소련은 석유가 풍부한 중동 지역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자유선거를 허용하겠다는 약속을 지연시키는 등 나치로부터 얻은 영토를 포기할
의사가 없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냈다. 정복된 폴란드에서.

"장문 전보"와 격리
이런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모스크바 주재 미국대사관 부대사였던 조지 F. 케넌은
미국 정부에 엄중한 경고를 보냈다. 1946년 미국 국무장관에게 보낸 장문의 전보에서
케넌은 소련은 공산주의자와 자본가 사이에 "평화적 공존은 있을 수 없다"고 믿고
있으며 소련은 자국 국경뿐 아니라 영토의 무자비한 확장을 원한다고 경고했습니다.
공산주의는 크게 쓰여졌다.

케넌은 소련과의 관계를 다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강력한 봉쇄 정책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미국 정부에 조언했습니다. 즉, 전 세계 어디에서나 소련 권력과 공산주의의
진격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미국 정부는 20세기 미국 외교 정책의 초석이 된 케넌의 봉쇄 아이디어를
채택했습니다.

Overview

● In 1947, President Harry S. Truman pledged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help
any nation resist communism in order to prevent its spread. His policy of
containment is known as the Truman Doctrine.
● The Truman Doctrine demonstrated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not return
to isolationism after World War II, but rather take an active role in world
affairs.
● To help rebuild after the war, the United States pledged $13 billion of aid to
Europe in the Marshall Plan.

The Truman Doctrine

The world was in flux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and political upheaval reigned
in many countries. Already wary of communism thanks to George Kennan's Long
Telegram, the US government was dismayed when a number of countries in Europe
and Asia adopted communist governments in the late 1940s.
When the United Kingdom notified the United States that it could no longer afford to
fight communist insurgencies in Greece and Turkey, US President Harry S. Truman
issued what would become known as the Truman Doctrine: a promise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do whatever was necessary both economically and militarily to
contain the spread of communism around the world.

Painting of Harry S. Truman during his time in office. Truman is seated on a chair in
front of an outdoor landscape with the US Capitol Building in the background.

Official White House portrait of Harry S. Truman, painted by Greta Kempton,


1945.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With this step, the United States signaled that its role on the world stage would not
conclude after World War II, ending a century and a half of isolationist foreign policy
in America.

During Truman's presidency, the Truman Doctrine would result in another conflict in
Asia, this time in Korea, as the US government attempted to prevent the unification
of Korea under a communist government. Truman's policy would continue to drive
American interventions through the 1980s.

Read Truman's address to Congress

The Marshall Plan

One of the most pressing problems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World War II was
the reconstruction of Europe. The war left a swath of destruction that crippled
infrastructure and led to massive food shortages in the winter of 1946-1947.

The US government feared that a hungry, devastated Europe might turn to


communism (as China would do in 1949). To stabilize the European economy, US
Secretary of State George C. Marshall proposed a plan to provide Europe with $13
billion in economic aid.

The Marshall Plan proved enormously successful, helping to rehabilitate European


nations that accepted the aid. It also provided a boost to the American economy,
since Marshall Plan funds were used to purchase American goods.

개요
1947년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이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국가가
공산주의에 저항하도록 돕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의 봉쇄 정책은 트루먼 독트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트루먼 독트린은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고립주의로 돌아가지 않고 오히려 세계
문제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전쟁 후 재건을 돕기 위해 미국은 마샬 플랜을 통해 유럽에 130억 달러의 원조를
약속했습니다.
트루먼 독트린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세계는 혼란에 빠졌고, 많은 나라에서는 정치적 격변이
닥쳤습니다. 조지 케넌(George Kennan)의 장문 전보(Long Telegram) 덕분에 이미
공산주의를 경계하던 미국 정부는 1940년대 후반에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공산주의 정부를 채택하자 실망했습니다.
영국이 더 이상 그리스와 터키의 공산주의 반란에 맞서 싸울 여력이 없다고 미국에
통보했을 때,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트루먼 독트린으로 알려진 것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는 약속이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공산주의가 확산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재임 기간 동안 해리 S. 트루먼의 그림. 트루먼은 미국 국회의사당 건물을 배경으로 한
야외 풍경 앞의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재임 기간 동안 해리 S. 트루먼의 그림. 트루먼은 미국 국회의사당 건물을 배경으로 한
야외 풍경 앞의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1945년 Greta Kempton이 그린 해리 S. 트루먼의 공식 백악관 초상화.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이 조치를 통해 미국은 세계 무대에서 미국의 역할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끝나지 않을 것이며, 미국의 150년 동안의 고립주의 외교 정책이 종식될 것이라는
신호를 보냈습니다.
트루먼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트루먼 독트린은 미국 정부가 공산주의 정부 하에서
한국의 통일을 막으려 함에 따라 아시아, 이번에는 한국에서 또 다른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트루먼의 정책은 1980년대까지 계속해서 미국의 개입을 주도할
것입니다.

마샬 플랜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는 유럽의 재건이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인프라가 파괴되고 1946년부터 1947년까지 겨울에 막대한 식량 부족이
발생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굶주리고 황폐해진 유럽이 (1949년 중국이 그랬던 것처럼) 공산주의로
변할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유럽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국 국무장관 조지 C.
마샬(George C. Marshall)은 유럽에 130억 달러의 경제 원조를 제공하는 계획을
제안했습니다.
마샬 플랜은 원조를 받아들인 유럽 국가들의 재활을 도우며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또한 마샬플랜 자금이 미국 상품 구매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미국
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Overview

●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came to a head in
1948, when the Soviet Union blockaded Berlin and the United States led a
year-long airlift to supply citizens stranded in the western zone of the city.
● Realizing that conflict with the Soviet Union might escalate into war, the
United States joined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defensive alliance and ramped up security measures at home with the
National Security Act.

The Berlin airlift

The growing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finally erupted
into crisis in 1948. For three years, the Big Four powers had followed the plan of
occupation decided at Yalta, with each power administering a zone of Germany as
well as a zone of the capital city of Berlin. But ideological divisions over what should
be done with Germany tore the former allies apart.

Believing that a reunified Germany would prevent a repeat of the economic


catastrophe that had followed World War I,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France
decided to consolidate their zones of Germany. The Soviet Union, which wanted to
ensure that Germany could never attack it again, strongly objected to this plan. In
1948 the Soviet Union flexed its might by cutting off all highway and railroad access
to the city of Berlin (which fell within its occupation zone), hoping to absorb all of
Berlin under Soviet control. West Berlin would either starve or the Western Allies
would surrender to the Soviets' wishes for Germany.
Map of partitioned Germany showing the nations in control of each region: England
in the northwest, France in the southwest, the United States in the southeast, and the
Soviet Union in the northeast. The city of Berlin falls within the Soviet zone.

Map of partitioned Germany showing the nations in control of each region:


England in the northwest, France in the southwest, the United States in the
southeast, and the Soviet Union in the northeast. Note that the city of Berlin,
which was itself divided among the four powers, fell within the Soviet region.
Image credit: Wikimedia Common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France refused to allow the Soviet Union to hold
Berlin hostage. Instead, they arranged for a massive support mission to supply West
Berlin. From June 1948 to May 1949, they sent hundreds of airplanes filled with food
and fuel every day, in what became known as the Berlin airlift. They also instituted
a counter-blockade on East Berlin.

After 11 months, the Soviets realized that the blockade was a failure and ended it.
But the standoff over Berlin had crystallized the divisions of the Cold War. The
Western Allies turned their combined occupation zones into the new country of West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responded by creating East Germany. The Soviets
also began the process of building a barrier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zones
of Berlin that would stand for the next forty years.

NATO and the National Security Act

As tensions raged in Europe, the United States realized that long-lasting peace was
not going to follow on the heels of World War II. When Britain, Belgium, The
Netherlands, and Luxembourg asked the United States to join its defensive alliance
in 1948, the United States broke its longstanding aversion toward entangling
alliances abroad and signed on.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as the pact was named, started
with 12 member nations (today, it has 30). NATO promised that an attack on one of
its members would provoke a response from all of its members. NATO became the
major international body opposing communism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United States also strengthened its commitment to defense at home. In 1947
Congress passed the National Security Act, which united the branches of the
armed services under the new Department of Defense. It also created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to gather intelligence and
advise the president on foreign policy. In addition, Congress reinstituted the
Selective Service military draft for young men in 1948. If any hope remained that the
world would be tranquil after Hitler's defeat, by the end of the 1940s it had gone.

개요
미국과 소련 사이의 긴장은 1948년 소련이 베를린을 봉쇄하고 미국이 도시 서부
지역에 발이 묶인 시민들에게 물품을 공급하기 위해 1년 동안 공수하면서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미국은 소련과의 갈등이 전쟁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간파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방어동맹에 가입하고 국가보안법을 제정해 국내 안보
조치를 강화했다.
베를린 공수
미국과 소련 사이의 고조되는 긴장은 마침내 1948년에 위기로 분출되었습니다. 3년
동안 빅 4 강대국은 얄타에서 결정된 점령 계획을 따랐으며, 각 강대국은 독일 지역과
독일 지역을 관리했습니다. 베를린의 수도. 그러나 독일과의 관계에 대한 이념적
분열은 이전 동맹국들을 분열시켰습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는 통일된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발생한 경제적 재앙의
반복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자신들의 독일 지역을 통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독일이 다시는 독일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소련은 이 계획에 강력히 반대했다.
1948년 소련은 베를린 전체를 소련의 통제 하에 흡수하기를 희망하면서 베를린
시로의 모든 고속도로와 철도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힘을 뽐냈습니다. 서베를린은
굶어 죽거나 서방 연합군이 독일에 대한 소련의 희망에 굴복할 것입니다.

북서쪽은 영국, 남서쪽은 프랑스, 남동쪽은 미국, 북동쪽은 소련 등 각 지역을


지배하는 국가를 보여주는 분할된 독일 지도입니다. 베를린시는 소련 지역에
속합니다.
북서쪽은 영국, 남서쪽은 프랑스, 남동쪽은 미국, 북동쪽은 소련 등 각 지역을
지배하는 국가를 보여주는 분할된 독일 지도입니다. 베를린시는 소련 지역에
속합니다.
북서쪽은 영국, 남서쪽은 프랑스, 남동쪽은 미국, 북동쪽은 소련 등 각 지역을
지배하는 국가를 보여주는 분할된 독일 지도입니다. 4개 강대국으로 나누어진 베를린
시는 소련 지역에 속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세요.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미국, 영국, 프랑스는 소련이 베를린을 인질로 잡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대신, 그들은
서베를린에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지원 임무를 준비했습니다. 1948년 6월부터
1949년 5월까지 그들은 매일 식량과 연료를 가득 실은 수백 대의 비행기를 베를린
공수로 알려졌습니다. 그들은 또한 동베를린에 대한 반봉쇄도 실시했습니다.

11개월 후, 소련은 봉쇄가 실패했음을 깨닫고 봉쇄를 끝냈습니다. 그러나 베를린을


둘러싼 대립은 냉전의 분열을 결정지었습니다. 서방 연합군은 통합 점령 지역을
새로운 서독으로 바꾸었고, 소련은 이에 대응하여 동독을 창설했습니다. 소련은 또한
향후 40년 동안 지속될 베를린의 동부와 서부 지역 사이에 장벽을 건설하는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NATO와 국가보안법
유럽에서 긴장이 고조되자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장기적인 평화가
이어지지 않을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1948년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가
미국에 방어 동맹 가입을 요청했을 때, 미국은 해외 동맹을 얽매는 것에 대한 오랜
혐오감을 깨고 서명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는 조약 이름대로 12개국(현재 30개국)으로 시작됐다.


NATO는 회원국 중 하나에 대한 공격이 모든 회원국의 대응을 촉발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NATO는 20세기에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주요 국제기구가 되었다.

미국은 또한 본토 방어에 대한 의지를 강화했습니다. 1947년 의회는 군대를 새로운


국방부 산하로 통합하는 국가보안법을 통과시켰습니다. 또한 정보를 수집하고 외교
정책에 관해 대통령에게 조언하기 위해 중앙정보국(CIA)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창설했다. 또한 의회는 1948년에 젊은 남성을 위한 징집
징병 제도를 다시 실시했습니다. 히틀러가 패배한 후에도 세계가 평온해질 것이라는
희망이 남아 있었다면, 1940년대 말에는 그 희망이 사라졌습니다.

Overview

● In June 1950 communist North Korea invaded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ame to the aid of South Korea at the head of a United Nations force
composed of more than a dozen countries.
● Communist China joined North Korea in the war in November 1950,
unleashing a massive Chinese ground attack against American forces. The
Soviet Union also covertly supported North Korea.
● After three years of fighting, the war ended in a stalemate with the bord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near where it had been at the war’s
beginning.
● This was the first hot war of the Cold War, and in it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d its continued commitment to containment (the idea that the US
would ultimately defeat communism by containing its spread).
The Korean War begins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ntrol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greed temporarily to divide Korea at
the 38th parallel of latitude north of the equator. This division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wo countries: communist North Korea (supported by the Soviets) and
South Korea (supported by the United States).

Map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red line indicates the present-day
border between the two nations. Map adapted from Wikimedia Commons.
Five years after the country’s partition, the communist leader of North Korea, Kim Il
Sung, decided to attempt to reunify Korea under his control. On June 25, 1950, Kim
launched a surprise invasion of South Korea.

Believing that the Soviet Union had backed the invasion, United States President
Harry Truman and his advisers followed through on their policy of containment,
refusing to allow communism to spread anywhere in the world. Within two days of
the invasion, the United States had rallied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to
declare support for South Korea. An American-led UN coalition deployed to South
Korea.

By August, North Korean forces had swept across almost all of South Korea;
American forces held only a small defensive perimeter in the country’s southeast,
near Busan. In September, however,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Douglas
MacArthur, the United States launched a bold counter-offensive that included a
daring amphibious landing in territory held by North Korean forces at Inchon, on
South Korea’s western coast. Soon, US forces drove the North Koreans back to the
border at the 38th parallel.

Beyond the 38th parallel

The Truman administration then made the decision to proceed across the 38th
parallel into North Korea. But in late November 1950, as American forces neared the
Chinese border, leaders in communist China (fearful that the United States might
invade) sent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soldiers streaming into North Korea and
drove the American and UN forces southward, back across the 38th parallel.
Child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By spring 1951 the Americans had pushed to the 38th parallel once again. That
same spring President Truman fired General MacArthur when MacArthur publicly
challenged the administration’s strategy. The next two years saw periods of fierce
fighting, but the border held. In 1953, an armistice established a status quo
antebellum border near the border that had originally divided North and South
Korea. What does status quo antebellum mean?

The heavily armed two-and-a-half mile wide DMZ (Demilitarized Zone) separating
North and South Korea exists to this day.

About 36,500 American soldiers died in the war, as well as hundreds of thousands of
soldiers and civilians from North Korea, South Korea, and coalition forces.

Korea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In Korea,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d its continuing commitment to key elements
of its Cold War strategy. It demonstrated its global leadership by committing its
resources and soldiers in the fight against the spread of communism. The United
States also confirmed its commitment to a foreign policy based on collective security
by mobilizing other countries to support its position both politically and militarily.

In Korea,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d the ideals expressed in the Truman
Doctrine, which promised support for the "free peoples of the world" who wished to
keep communist aggression at bay. Although the war ended where it began,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did succeed in preventing communism from overtaking
South Korea.

개요
1950년 6월, 공산주의 북한이 남한을 침공했다. 미국은 12개국 이상으로 구성된
유엔군을 이끌고 한국을 도왔다.
1950년 11월, 공산주의 중국은 북한과 합류하여 미군에 대한 대규모 지상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소련도 은밀하게 북한을 지원했다.
3년간의 전투 끝에 전쟁은 남북한의 국경이 전쟁 초기에 있었던 곳과 가까워지는
교착상태로 끝났습니다.
이것은 냉전의 첫 번째 열전이었고, 이 전쟁에서 미국은 봉쇄(미국이 공산주의의
확산을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공산주의를 패배시킬 것이라는 생각)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한국전쟁이 시작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한국이 일본의 지배에서 해방되자 미국과 소련은
일시적으로 한국을 적도 이북 위도 38선을 기준으로 분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분열로 인해 공산주의 북한(소련의 지원)과 남한(미국의 지원)이라는 두 국가가
형성되었습니다.

북한과 남한의 지도. 빨간색 선은 현재 두 국가 간의 국경을 나타냅니다. Wikimedia


Commons에서 가져온 지도입니다.
분단 5년 후, 북한의 공산주의 지도자 김일성은 자신의 통제 하에 한국을 통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김정일은 기습 남침을 개시했다.

소련이 침공을 지원했다고 믿었던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과 그의 보좌관들은 봉쇄


정책을 실행했으며 공산주의가 세계 어느 곳으로든 확산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침공 이틀 만에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해 한국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군이 한국에 배치됐다.

8월까지 북한군은 남한 전역을 휩쓸었습니다. 미군은 부산 근처 남동쪽에 작은


방어선만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9월,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지휘 하에
미국은 한국 서해안의 인천에서 북한군이 점령한 영토에 대담한 상륙작전을 포함하는
대담한 반격을 시작했습니다. 곧 미군은 북한군을 38도선 국경까지 몰아냈다.
38선 너머
트루먼 행정부는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진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950년 11월
말, 미군이 중국 국경에 가까워지자, 공산주의 중국의 지도자들은 (미국의 침략을
두려워하여) 수만 명의 중국군을 북한으로 보내 미군과 유엔군을 남쪽으로
몰아냈습니다. 38선.

한국전쟁 당시 난민 어린이.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51년 봄까지 미국인들은 다시 한번 38도선으로 진격했습니다. 같은 해 봄, 트루먼
대통령은 맥아더가 공개적으로 행정부의 전략에 도전하자 맥아더 장군을
해임했습니다. 그 후 2년 동안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국경은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원래 남북한을 나누었던 국경 근처에 현
상태의 남북한 국경이 설정되었습니다.
남북한을 분리하는 2.5마일 폭의 중무장한 DMZ(비무장지대)가 오늘날까지
존재합니다.
이 전쟁에서 약 36,500명의 미군이 사망했고, 수십만 명의 북한, 남한, 연합군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했습니다.
냉전 시대의 한국
한국에서 미국은 냉전 전략의 핵심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공산주의 확산에 맞서 싸우기 위해 자원과 군인을 투입함으로써 글로벌 리더십을
입증했습니다. 미국은 또한 정치적, 군사적으로 미국의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다른
나라들을 동원함으로써 집단 안보에 기초한 외교 정책에 대한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한국에서 미국은 공산주의 침략을 막고자 하는 "세계의 자유 민족"에 대한 지원을


약속한 트루먼 독트린에 표현된 이상을 보여주었습니다. 전쟁은 시작된 곳에서
끝났지만,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공산주의가 한국을 점령하는 것을 막는 데
성공했습니다.

Overview

● Revelations that spies in the US atomic program had passed secrets to the
Soviet Union set off a nationwide panic that communist spies might be
infiltrating many American institutions.
● Allegations that Hollywood was rife with communists led the House
Committee on Un-American Activities (HUAC) to investigate many actors,
writers, and directors during the 1950s. Alleged communists were placed on a
blacklist and barred from working in Hollywood.
● Republican Senator Joseph McCarthy took advantage of this widespread
paranoia to advance himself politically by accusing State Department
employees of communist leanings. McCarthy's accusations were
unsubstantiated, and the Senate eventually censured him.

Red fears

In 1949, the Soviet Union detonated its first atomic device, ending the United States'
short reign as the sole atomic power on Earth. The entry of the Soviets into the
atomic club made Americans nervous, not to mention a little suspicious: how did the
USSR get the bomb so fast?

When it came to light that Soviet spies in the US atomic program had passed secrets
to Russia, Americans began to worry that spies might be lurking in every corner of
society. In the late 1940s and early 1950s, there were several highly-publicized
espionage trials that convicted leading scientists and government figures of
espionage, culminating in the 1953 execution of scientist Julius Rosenberg and his
wife Ethel for passing information about the atomic bomb to Russia. These
convictions served to justify fears that spies could be active throughout the country.

In this atmosphere of mistrust, a broad range of institutions rushed to root out


suspected communists from their ranks. The US government stepped up loyalty
programs and purged itself of anyone deemed a security threat. Individuals believed
to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bribery or blackmail, such as debtors or
homosexuals, were summarily dismissed. Schools and universities fired teachers
who refused to swear an oath that they were not communists. Even civil rights
organizations like the NAACP and the Urban League moved quickly to rid
themselves of communists, lest they be accused of subversion.
Although it is true that Soviet spies were at work in the United States (recently
declassified documents reveal that Julius Rosenberg was indeed sending atomic
secrets to the Russians, though Ethel was innocent), only a tiny fraction of those who
lost their positions were actually connected with the USSR in any way.

HUAC

First formed in 1938, the House Committee on Un-American Activities, or HUAC,


was a special committee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asked with
investigating subversiv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the 1950s, HUAC turned its
attention to hunting reds (a slang term for communists, associated with the red flag
of the Soviet Union).

Influenced by a pamphlet called Red Channels, which alleged that communists had
infiltrated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intended to use the suggestive power of
media to spread propaganda to American audiences, in 1950 HUAC began
investigating Hollywood figures. Red Channels charged 151 actors, writers, and
directors with having ties to the Communist Party. All of them were immediately
blacklisted, whether or not the charges were substantiated. Studios refused to hire
anyone on the blacklist, fearing backlash from sponsors and audiences, destroying
the careers of many talented entertainers.

Joseph McCarthy

Some politicians also profited from this Red Scare, notably Republican Senator
Joseph R. McCarthy. Fearful that his weak record in the Senate would prevent his
reelection, McCarthy cast about for an issue that would shore up his image to voters.
He seized on communism. At a meeting of Republican women in 1950, McCarthy
brandished a sheath of papers and declared that he had in his hand "a list of names
that were made known to the Secretary of State as being members of the
Communist Party who nevertheless are still working and shaping policy in the State
Department."

In the US Senate chamber, Senator Joseph McCarthy points at a map of the United
States labeled "Communist Party" while Chief Army Counsel Joseph Welch sits at a
table with his hand on his head. A group of onlookers sits watching the proceedings.

Senator Joseph McCarthy (right) interviewing Chief Army Counsel Joseph


Welch (left) during the Army-McCarthy hearings, 1954. Image courtesy US
Senate.

McCarthy's allegations shocked the nation. Finding himself in the spotlight, McCarthy
held hearings in the Senate, relying on innuendo and hearsay to condemn members
of the State Department of communist ties. For more than four years, McCarthy
railed against supposed communists, eastern "establishment" Democrats, and
homosexuals. He never produced a shred of real evidence against anyone, but even
those powerful enough to stop him were afraid McCarthy would turn his accusations
against them if they spoke out. "I will not get in the gutter with that guy," President
Eisenhower reportedly said of McCarthy, thus leaving McCarthy to operate without
challenge.

McCarthy finally went too far in 1954 when he initiated hearings against the US
Army. The televised Army-McCarthy hearings showcased McCarthy's increasingly
erratic behavior and reliance on guilt-by-association rather than evidence. In
December 1954 the US Senate voted to censure McCarthy.

McCarthy died of complications of alcoholism less than three years later, but use of
the term McCarthyism to describe the practice of making unsubstantiated
accusations has lived on.

개요
미국 핵 프로그램의 스파이가 비밀을 소련에 전달했다는 폭로로 인해 공산주의
스파이가 많은 미국 기관에 침투할 수 있다는 전국적인 공포가 촉발되었습니다.
할리우드에 공산주의자들이 만연했다는 주장으로 인해 하원 비미국 활동
위원회(HUAC)는 1950년대에 많은 배우, 작가, 감독을 조사했습니다.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은 블랙리스트에 올라 헐리우드에서 일하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
공화당 상원의원인 조셉 매카시(Joseph McCarthy)는 널리 퍼진 편집증을 이용하여
국무부 직원들을 공산주의 성향으로 비난함으로써 자신을 정치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McCarthy의 비난은 근거가 없었고 상원은 결국 그를 비난했습니다.
붉은 두려움
1949년 소련은 최초의 원자 장치를 폭발시켜 지구상의 유일한 원자력 강국이었던
미국의 짧은 통치를 끝냈습니다. 소련이 원자 클럽에 가입하자 미국인들은
의심스러울 뿐 아니라 불안해졌습니다. 소련은 어떻게 그렇게 빨리 폭탄을 손에
넣었을까요?
미국 핵 프로그램의 소련 스파이가 러시아에 비밀을 넘겼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미국인들은 스파이가 사회 구석구석에 도사리고 있지 않을까 걱정하기 시작했습니다.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에는 주요 과학자와 정부 인사를 간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린 널리 알려진 여러 간첩 재판이 있었으며, 이는 1953년 원자 폭탄에 대한
정보를 러시아에 전달한 혐의로 과학자 Julius Rosenberg와 그의 아내 Ethel이
처형되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이러한 유죄 판결은 스파이가 전국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불신의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기관들이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이들을 뿌리


뽑기 위해 서둘러 나섰습니다. 미국 정부는 로열티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보안
위협으로 간주되는 모든 사람을 제거했습니다. 채무자나 동성애자 등 특히 뇌물이나
협박에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개인은 즉결 해고됐다. 학교와 대학에서는 자신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맹세를 거부한 교사를 해고했습니다. NAACP나 Urban
League와 같은 민권 단체들조차 전복 혐의로 기소되지 않도록 공산주의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습니다.

소련 스파이가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최근 기밀 해제된 문서에


따르면 줄리어스 로젠버그가 실제로 러시아에 핵 비밀을 보냈다는 사실이 드러났지만
에델은 결백했습니다), 지위를 잃은 사람들 중 실제로 연결된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했습니다. 어떤 식 으로든 소련과 함께.

HUAC
1938년에 처음 결성된 하원 비미국 활동 위원회(HUAC)는 전복적인 개인과 조직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은 미국 하원의 특별 위원회였습니다. 1950년대에 HUAC는
Reds(소련의 붉은 깃발과 관련된 공산주의자를 가리키는 속어) 사냥에 관심을
돌렸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침투했으며 미디어의 암시적인 힘을 사용하여


미국 청중에게 선전을 전파하려고 의도했다고 주장하는 Red Channels라는 팜플렛의
영향을 받아 1950년 HUAC는 할리우드 인물을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레드
채널스는 151명의 배우, 작가, 감독을 공산당과 연관이 있는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이들 모두 혐의 입증 여부와 상관없이 즉시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스튜디오는
스폰서와 청중의 반발을 두려워하여 블랙리스트에 있는 사람을 고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많은 재능 있는 연예인의 경력을 파괴했습니다.

조셉 매카시
일부 정치인, 특히 공화당 상원 의원 Joseph R. McCarthy도 이러한 Red Scare로 인해
이익을 얻었습니다. 상원에서의 자신의 약한 기록이 자신의 재선을 방해할 것을
두려워한 McCarthy는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이미지를 강화할 문제를 던졌습니다.
그는 공산주의를 장악했습니다. 1950년 공화당 여성들의 모임에서 매카시는
서류칼집을 휘두르며 자신의 손에 "국무장관에게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활동하고 있는 공산당원들의 명단"을 가지고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국무부의 정책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미국 상원 회의장에서 조셉 매카시 상원의원이 '공산당'이라고 표시된 미국 지도를
가리키고 있고, 조셉 웰치 육군 참모총장은 머리에 손을 얹은 채 테이블에 앉아
있습니다. 한 무리의 구경꾼들이 앉아 진행 과정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미국 상원 회의장에서 조셉 매카시 상원의원이 '공산당'이라고 표시된 미국 지도를
가리키고 있고, 조셉 웰치 육군 참모총장은 머리에 손을 얹은 채 테이블에 앉아
있습니다. 한 무리의 구경꾼들이 앉아 진행 과정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1954년 육군-매카시 청문회에서 조셉 웰치(왼쪽) 수석 육군 고문관과 인터뷰하는
조셉 매카시 상원의원(오른쪽). 이미지 제공: 미국 상원.
매카시의 주장은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주목을 받은 McCarthy는 상원에서
청문회를 열었고, 풍자와 소문을 바탕으로 국무부의 공산주의 관계 구성원들을
비난했습니다. 4년이 넘도록 매카시는 소위 공산주의자, 동부의 "기득권" 민주당원,

Overview

● Enacted by Congress in 1944, the GI Bill sent more than eight million World
War II veterans to school between 1945 and 1956.
● It also backed home loans, gave veterans a year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provided for veterans' medical care.
● The bill was a huge success, propelling Americans to new heights of
education and helping to fuel the economic prosperity that characterized the
postwar era.

The GI Bill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American soldiers anxiously awaited their return to
civilian life. Those stationed in Europe, Asia, and the Pacific hoped they would soon
be reunited with their families and quickly employed in the bustling industrial
economy of the United States.

The US government was anxious, too, but for a different reason. World War II had
revived American prosperity after more than a decade of depression, and the
government was desperate to fend off the economic turmoil that 15 million veterans
reentering the workforce might wreak.

Hoping to provide servicemen and women with a measure of financial security upon
their return (and, hopefully, siphon a substantial proportion of veterans away from the
labor market and into educational programs),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signed
the Servicemen's Readjustment Act on June 22, 1944. Commonly known as the
GI Bill, the Servicemen's Readjustment Act offered veterans a year of
unemployment pay after their homecoming; guaranties for loans to purchase homes,
businesses, or farms; and tuition and living stipends for college or vocational
programs.

Photograph of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signing the Servicemen's


Readjustment Act while seated at his desk, with many supporters standing behind
him.

Franklin D. Roosevelt signing the Servicemen's Readjustment Act (GI Bill) into
law, June 1944.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Not everyone greeted this plan with enthusiasm. Accustomed to a pre-war society
where college education was reserved for the elite,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griped that "Education is not a device for coping with mass unemployment .
. . colleges and universities will find themselves converted into educational hobo
jungles."
But this judgment proved premature. The GI Bill was an unprecedented success,
sending eight million veterans to school in the decade after World War II and
completely reinventing American higher education. Despite the hefty price tag of the
program - about $14.5 billion dollars - veterans who took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subsidy earned, on average, $10,000-15,000 more per year than those
who did not, generating ten times the cost of the program in tax revenue.
Consequently, some analysts have called it "the best investment the US government
has ever made."

Origins of the GI Bill

In 1944, FDR was running for reelection, seeking an unprecedented fourth term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Great Depression, he had won broad
popular support through the New Deal, which sought to use government programs to
ensure baseline economic security for the American people. During his State of the
Union address in 1944, Roosevelt proposed a radical "economic bill of rights" that
would guarantee American citizens employment, health care, education, and
housing.

In the midst of the wartime economic boom, however, this promise of security failed
to animate voters as it had a decade earlier.

What did get their attention was Roosevelt's promise that returning GIs (a nickname
for soldiers derived from their "general issue" uniforms) would be entitled to certain
perks for their faithful service. With the assistance of the American Legion, the
economic bill of rights was revamped as the GI Bill of Rights.
Read the full text of Roosevelt's statement on signing the GI Bill of Rights

The GI Bill, as it was abbreviated, had three key components:

1) Educational support. Veterans were entitled to $500 per year toward tuition and
as well as a living stipend of $65-90 per month depending on whether the veteran
had a family to support during his or her schooling.

2) Unemployment benefits. The GI Bill stipulated that veterans could receive $20
per week for a year while looking for work. More than eight million veterans took
advantage of this benefit.

3) Loan guaranties. Although the government did not give veterans money to
purchase homes, businesses, or farms, it pledged to back veterans' borrowing,
making it much easier for them to get credit. Guaranty vs. guarantee

The GI Bill also provided for veterans' medical care, even building new hospitals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Cartoon depicting a white male soldier sitting at the base of a tree, surrounded by
"thought bubbles" suggesting different paths in life to him: Job, Back to School, G.I.
Bill of Rights, Job training, Business for yourself, Government employment, Job
prospects, Self Analysis, Changes.
Cartoon depicting the many choices available to GIs upon their return. Image
courtesy National World War II Museum.

Scope of the GI Bill

From 1945 to 1956, about 50% of the American veterans who served in World War II
availed themselves of one or more aspects of the GI Bill. 2.2 million veterans went to
college, 3.5 million went to technical or vocational school, and 700,000 took
instruction in agriculture. The number of Americans who earned college degrees
more than doubled before and after the war, from just over 200,000 in 1940 to nearly
half a million in 1950.

The GI Bill expanded American university instruction from a curriculum focused


solely on the liberal arts to one encompassing a range of career paths, including
science, business, and engineering. Historian James T. Patterson has called it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modern history of American education."

The government guaranty for home and business loans also prompted an economic
boom, financing the construction of thousands of new homes, like those that sprang
up in suburbs such as Levittown, New York.

Overall, the GI Bill was a major factor driving the prosperity of the postwar era. Not
only did it save the American economy from a potential unemployment epidemic, it
was also the gift that kept on giving: as more Americans took advantage of higher
education, they earned higher wages, and could therefore pump more money into
the economy by buying homes and consumer goods.
개요
1944년 의회에서 제정된 GI 법안은 1945년부터 1956년까지 8백만 명 이상의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를 학교에 보냈습니다.
또한 주택 융자를 지원하고 퇴역 군인에게 1년간 실업 수당을 제공하고 퇴역 군인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 법안은 미국인들의 교육 수준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고 전후 시대의 특징인
경제적 번영을 촉진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GI 법안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군 병사들은 민간인 생활로의 복귀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유럽, 아시아, 태평양에 주둔한 사람들은 곧 가족과 재회하고 분주한
미국 산업 경제에 빨리 취업할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미국 정부도 불안했지만 이유는 달랐다. 제2차 세계대전은 10년이 넘는 불황을 겪은
후 미국의 번영을 되살렸으며, 정부는 1,500만 명의 퇴역 군인이 다시 노동 시장에
복귀하면서 겪게 될 경제적 혼란을 필사적으로 막고 있었습니다.
군인들에게 귀환 시 어느 정도 재정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그리고 바라건대 상당한
비율의 퇴역 군인들을 노동 시장에서 교육 프로그램으로 끌어들이기를)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6월 22일 군인 재조정법에 서명했습니다. , 1944. 일반적으로 GI
법안으로 알려진 군인 재조정법은 재향군인에게 귀국 후 1년간의 실업 수당을
제공했습니다. 주택, 사업체 또는 농장 구입을 위한 대출에 대한 보증; 대학이나 직업
프로그램을 위한 등록금과 생활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 책상에 앉아 군인 재조정법에 서명하고 있고 그 뒤에
많은 지지자들이 서 있는 사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 책상에 앉아 군인 재조정법에 서명하고 있고 그 뒤에
많은 지지자들이 서 있는 사진.
1944년 6월 군인 재조정법(GI 법안)에 서명하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모든 사람이 이 계획을 열성적으로 환영한 것은 아닙니다. 대학 교육이
엘리트들에게만 국한되었던 전쟁 전 사회에 익숙해진 시카고 대학교 총장은 "교육은
대량 실업에 대처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 대학은 교육의 부랑자 정글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투덜거렸다. ."

그러나 이런 판단은 시기상조였다. GI 법안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0년 동안 800만


명의 퇴역 군인을 학교에 보내고 미국 고등 교육을 완전히 재창조하는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프로그램의 막대한 가격(약 145억 달러)에도 불구하고 교육
보조금을 활용한 퇴역군인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연간 평균
10,000~15,000달러를 더 벌어 세입에서 프로그램 비용의 10배를 창출했습니다. .
결과적으로 일부 분석가들은 이를 "미국 정부가 지금까지 한 최고의 투자"라고
불렀습니다.

GI 법안의 유래
1944년 FDR은 미국 대통령으로서 전례 없는 4번째 임기를 노리고 재선에
출마했습니다. 대공황 기간 동안 그는 미국 국민의 기본 경제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정부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는 뉴딜 정책을 통해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얻었습니다.
1944년 국정연설에서 루즈벨트는 미국 시민의 고용, 의료, 교육 및 주택을 보장하는
급진적인 "경제적 권리 장전"을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전시 경제 호황 속에서 이러한 안보 약속은 10년 전처럼 유권자들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데 실패했습니다.
그들의 관심을 끌었던 것은 복귀한 GI("일반 문제" 제복에서 파생된 군인의 별명)가
충실한 복무에 대해 특정 특혜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루즈벨트의 약속이었습니다.
American Legion의 도움으로 경제 권리 장전은 GI 권리 장전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줄여서 GI 법안은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교육 지원. 재향군인은 학비로 연간 $500를 받을 자격이 있었고, 재향군인이
학교에 다니는 동안 부양할 가족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월 $65-90의 생활비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2) 실업수당. GI 법안은 퇴역 군인이 일자리를 찾는 동안 1년 동안 주당 20달러를 받을
수 있다고 규정했습니다. 800만 명이 넘는 재향군인들이 이 혜택을 누렸습니다.
3) 대출보증. 정부는 재향군인에게 주택, 사업체 또는 농장을 구입할 수 있는 자금을
제공하지 않았지만 재향군인의 대출을 지원하여 그들이 신용을 훨씬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GI 법안은 또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병원을 짓는 등 퇴역 군인의
의료 서비스도 제공했습니다.
백인 남성 군인이 나무 밑에 앉아 인생의 다양한 길을 제안하는 "생각 거품"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묘사한 만화: Job, Back to School, G.I. 권리 장전, 직업 훈련,
자신을 위한 사업, 정부 취업, 직업 전망, 자기 분석, 변화.
나무 밑에 앉아 있는 백인 남성 군인을 묘사한 만화
Overview

● African Americans and women were entitled to the same benefits as white
men under the GI Bill, but often faced difficulty trying to claim their benefits
due to discrimination.
● Those who did manage to get benefits were often steered towards training for
menial jobs.
● The frustration of African American veterans barred from participating in the
postwar economic boom became a major motivating factor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African Americans, women, and the GI Bill

Though the GI Bill itself did not bar female or African American veterans from
enjoying its benefits, discrimination at the structural level often limited the GI Bill's
benefits to white men. Though the program was federally funded, its implementation
was directed at the state and local level by the Veterans Administration (VA),
which was almost entirely white and closely affiliated with the pro-segregation
American Legion. VA job counselors frequently steered African American veterans
who applied for tuition benefits towards vocational training instead of university
courses. In some cases, black applicants were told that they needed no further
education, since the job market had no place for blacks as skilled workers--only as
menial laborers.

Movie still showing a group of men in uniform sitting around a table signing their
discharge papers. Only one of the soldiers is African American; the rest are white.

Still from a film reel explaining GI Bill benefits, showing an African American
soldier signing his discharge papers. Image from Army-Navy Screen Magazine
#43, produced by the Army Information Branch, Army Pictorial Services, Air Forces
and the Navy Department.

Even if African American veterans could attain GI Bill tuition money, it was far from
certain that they could surmount entrenched prejudice and segreg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o complete their educations. Many colleges had either stated or
implied caps on the number of black students they would admit. Weary after
enduring the insults of the segregated military, most black veterans elected to attend
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 (HBCUs) when possible, even if it meant
waiting a year or more to matriculate due to overcrowding. HBCUs were few and far
between in the north, however, so black veterans above the Mason-Dixon line had
even fewer opportunities to pursue higher education.

Furthermore, even though African Americans were entitled, in principle, to the same
loan guaranties as whites, they faced serious barriers to home ownership. Many
banks refused to loan money to blacks, federal guaranty or not. Suburban
neighborhoods often boasted of restrictive covenants that banned African
American families from purchasing homes in their subdivisions. As more and more
white families moved to the white-picket-fenced suburbs characteristic of 1950s
America, black citizens were confined to decaying inner cities.
Front of an advice pamphlet for veterans. The advice pamphlet is called Dear Mr.
Veteran and shows a cartoon of a white man in uniform smoking a cigarette and
holding an opened newspaper, which has an advertisement on the back page selling
automobiles. The soldier has a few dollar bills in his back pocket which are
emphasized with dollar signs, as if to say he has money burning a hole in his pocket.
The text next to the soldier says "want to buy a car? need a suit of civvies? looking
for a place to live?"

An advice pamphlet for returning veterans. Note the assumption that a veteran
was both white and male. Image courtesy National World War II Museum.
Women also took advantage of the GI Bill. Over 332,000 woman veterans were
eligible for benefits. Although only about 65,000 female veterans attended college at
Uncle Sam's expense, a higher percentage of them opted for university education
(as opposed to vocational training) than men. This stemmed in part from the
selectivity of the women's branches of the armed services, which--being volunteer
organizations--could afford to limit their ranks to the highly-trained and -educated.
One university dean estimated that 70% of woman veterans were prepared for
college.

Women's experiences varied. Many were not informed that they were eligible for the
GI Bill during their demobilization process or faced hostility when trying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am. But the GI Bill also gave unprecedented support to
women who never could have afforded to attend school without government support.
Many trained in traditionally-female occupations such as nursing and teaching, while
a few went into the professions to work as lawyers or architects. Despite these gains,
fewer women during this time period received college degrees overall because
colleges limited female enrollment in order to make space for male veterans.

The GI Bill's legacy

The GI Bill, as a last gasp of the New Deal, demonstrated a growing sense that the
US government was obligated to protect the rights of Americans, including the right
to work and education as compensation for military service.

The GI Bill was also key in creating the affluent American society of the 1950s and
1960s. But the uneven distribution of its benefits would have ramifications for years
to come. Chief among these was the growing resentment of African Americans to
being shut out of schools, neighborhoods, and entire economic brackets as the
postwar boom stopped at the color line. Their frustration would soon erupt into the
modern Civil Rights Movement.

개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여성은 GI 법안에 따라 백인 남성과 동일한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차별로 인해 혜택을 청구하는 데 종종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혜택을 받은 사람들은 종종 비천한 직업을 위한 훈련을 받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전후 경제 호황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퇴역 군인들의 좌절감은 민권
운동의 주요 동기가 되었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그리고 GI 법안
GI 법안 자체는 여성이나 아프리카계 미국인 퇴역 군인이 혜택을 누리는 것을
금지하지 않았지만, 구조적 수준의 차별로 인해 GI 법안의 혜택이 백인 남성에게만
국한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연방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았지만, 그
시행은 거의 전적으로 백인이고 인종차별을 지지하는 American Legion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재향군인회(VA)에 의해 주 및 지방 차원에서 지시되었습니다. VA 직업
상담사는 대학 과정 대신 직업 훈련을 위해 학비 혜택을 신청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퇴역 군인들을 자주 안내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흑인 지원자들에게 더 이상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직업 시장에는 숙련된 노동자로서 흑인을
위한 자리가 없고 단지 비천한 노동자로서만 있을 뿐이기 때문입니다.

제대 서류에 서명하는 테이블 주위에 앉아 있는 제복을 입은 남성 그룹을 보여주는


영화. 군인 중 단 한 명만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입니다. 나머지는 흰색이다.
제대 서류에 서명하는 테이블 주위에 앉아 있는 제복을 입은 남성 그룹을 보여주는
영화. 군인 중 단 한 명만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입니다. 나머지는 흰색이다.
GI Bill 혜택을 설명하는 영화 릴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군인이 제대 서류에 서명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육군 정보국, 육군 화보 서비스, 공군 및 해군부가 제작한 육군-해군
스크린 매거진 #43의 이미지.
아프리카계 미국인 퇴역군인들이 GI Bill 등록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대학
수준의 뿌리 깊은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교육을 완료할 수 있을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많은 대학에서는 인정할 흑인 학생 수에 대해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이었습니다. 분리된 군대의 모욕을 견디고 지친 대부분의 흑인 퇴역 군인들은
인구 과잉으로 인해 입학하는 데 1년 이상 기다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가능하면
역사적 흑인 대학(HBCU)에 입학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북부에는 HBCU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메이슨-딕슨 계열 이상의 흑인 퇴역 군인들은 고등 교육을 받을
기회가 훨씬 적었습니다.

더욱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원칙적으로 백인과 동일한 대출 보증을 받을 자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소유에 심각한 장벽에 직면했습니다. 많은 은행은 연방 보증
여부에 관계없이 흑인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교외 지역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족이 자신의 구역에 있는 주택을 구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한
계약을 자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점점 더 많은 백인 가족이 1950년대 미국의
특징인 흰색 말뚝 울타리가 있는 교외로 이주함에 따라 흑인 시민은 쇠퇴하는 도심에
갇혔습니다.

재향군인을 위한 조언 팜플렛의 앞부분. 'Dear Mr. Veteran'이라는 제목의 조언


팜플렛에는 제복을 입은 백인 남성이 담배를 피우고 신문을 펴 들고 있는 만화가
그려져 있으며, 뒷면에는 자동차 판매 광고가 나와 있습니다. 군인은 뒷주머니에 달러
지폐 몇 장을 넣고 있는데 달러 기호가 강조되어 있어 마치 주머니에 돈이 구멍이 난
것처럼 보입니다. 군인 옆에는 "차를 사고 싶나요? 시민복이 필요합니까? 살 곳을
찾고 있나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재향군인을 위한 조언 팜플렛의 앞부분. 'Dear Mr. Veteran'이라는 제목의 조언
팜플렛에는 제복을 입은 백인 남성이 담배를 피우고 신문을 펴 들고 있는 만화가
그려져 있으며, 뒷면에는 자동차 판매 광고가 나와 있습니다. 군인은 뒷주머니에 달러
지폐 몇 장을 넣고 있는데 달러 기호가 강조되어 있어 마치 주머니에 돈이 구멍이 난
것처럼 보입니다. 군인 옆에는 "차를 사고 싶나요? 시민복이 필요합니까? 살 곳을
찾고 있나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귀국 군인을 위한 조언 팜플렛입니다. 퇴역 군인이 백인이자 남성이었다는 가정에
주목하십시오. 이미지 제공: 국립 제2차 세계대전 박물관.
여성들도 GI Bill을 활용했습니다. 332,000명 이상의 여성 퇴역군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약 65,000명의 여성 재향 군인만이 엉클 샘의 비용으로 대학에 다녔지만,
이들 중 더 높은 비율이 남성보다 대학 교육(직업 훈련이 아닌)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자원봉사 조직인 여성군이 고도로 훈련되고 교육받은 인력으로 자신의
대열을 제한할 수 있는 선택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 대학 학장은 여성 퇴역 군인의
70%가 대학 진학 준비가 되어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여성의 경험은 다양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동원 해제 과정에서 GI 법안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거나, GI 법안을 이용하려고 할 때 적대감에
직면했습니다. 그러나 GI 법안은 또한 정부 지원 없이는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여성들에게 전례 없는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간호, 교육 등 전통적인
여성 직업에서 훈련을 받았고, 일부는 변호사나 건축가로 일하기 위해 직업에
진출했습니다. 이러한 이득에도 불구하고, 대학이 남성 퇴역 군인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여성 등록을 제한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대학 학위를
받은 여성의 수가 적었습니다.

GI 법안의 유산
뉴딜 정책의 마지막 단결인 GI 법안은 미국 정부가 군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일할
권리와 교육권을 포함하여 미국인의 권리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GI 법안은 또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부유한 미국 사회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 혜택의 고르지 못한 분배는 앞으로 수년 동안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전후 붐이 유색 인종에서 멈춤에 따라 학교,
지역 및 전체 경제 계층에서 폐쇄되는 것에 대한 아프리카 계 미국인의 분노가
커졌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좌절감은 곧 현대 시민권 운동으로 분출되었습니다.
Overview

● Following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experienced a greatly elevated
birth rate, adding on average 4.24 million new babies to the population every
year between 1946 and 1964.
● This generation of "baby boomers" was the result of a strong postwar
economy, in which Americans felt confident they would be able to support a
larger number of children. Boomers also influenced the economy as a core
marketing demographic for products tied to their age group, from toys to
records.
● Constituting as much as 40% of the American population, baby boomers have
exerted a strong pull on American culture at large, particularly during the
social movements of the 1960s.
● Today, most boomers are at or near retirement, prompting concerns for how
American society will cope with an aging population.

The baby boom

Like many industrialized Western nation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United
States was experiencing a gradual decline in its birthrate. As more Americans moved
off the farm and into the city, having a large family slowly transformed from a good
labor investment to a poor economic choice. Consequently, in the midst of the Great
Depression, the American birthrate fell to its lowest point yet, to just 18.4 live births
per thousand population.
Photograph of a hospital nursery showing five cots where newborns sleep.

A hospital nursery full of newborns in the coal mining town of Richlands,


Virginia, August 1946. Photograph by Russell Lee, image courtesy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World War II, however,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American birth rate, which
skyrocketed in a stunning and unexpected reversal of the prewar decline. A
combination of factors produced this baby boom: soldiers returning home from the
war were weary of adventure and wished to settle down into family life with their
sweethearts, and GI Bill benefits promised the decent pay, access to good jobs, and
affordable housing that made raising a family possible. After more than fifteen years
of economic uncertainty, things were finally looking up in the United States, and
everyone was determined to make the most of it.

Babies, babies, and more babies


World War II had vast repercussions not only on world politics but also on the
American family. Couples rushed to wed and conceive children before soldiers
shipped out--in part due to the romance and urgency of wartime, in part due to the
extra pay soldiers received if they had families to support.

The spike in marriages was even larger after the war, as returning soldiers tied the
knot. 2.2 million couples married in 1946, a new record that would stand until the
1970s.

With this record number of unions came a record number of babies. The first stirrings
of the baby boom became evident as early as 1942, when the historically low birth
rates of the Great Depression began to turn around with the birth of "furlough babies"
during World War II. It wasn't until nine months after the war's end, however, that the
boom began in earnest: before demobilization only about 200,000 babies were born
in the United States per month, but by the end of 1946 that figure had increased to
nearly 350,000 babies. 20% more babies were born in 1946 than in 1945. By 1947,
the number of live births per thousand population jumped to 26.6.

But the baby boom wasn't just a quick spike in births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The elevated American fertility rate continued for another 18 years. On average, 4.24
million babies were born per year between 1946 and 1964, when birth rates finally
began to decline again. In 1964, the 76.4 million babies born during the baby boom
generation constituted a whopping 40% of the US population, which was then about
192 million.
Line graph showing US crude birth rates (number of births per thousand population)
from 1909 to 2009. The birthrate dropped slowly from 30 births per thousand in 1909
to 18.5 births per thousand in the late 1930s. Starting in 1945 there was a sharp
spike in the birth rate again, back up to 26.5 births per thousand. The high birth rate
continued until the mid-1960s, when the rate finally fell to pre-1945 levels. The birth
rate kept falling until the late 1970s, when the "baby boom" echo generation made a
small increase through the 1990s. The birth rate in 2009 is 14.0 births per thousand,
all-time low.

US crude birth rates from 1909 to 2009. The red portion of the line denotes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smaller bump between 1976 and 2001 shows the
baby boom "echo."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Postwar domesticity and its economic benefits

Why did the birth rate rise so suddenly and remain elevated for so long? Both men
and women had access to relatively reliable forms of birth control, so for the most
part couples were making a conscious decision to have more children. The World
War II generation, in fact, was the most marriage- and family-oriented in US history:
96.4% of women and 94.1% of men in this cohort got married, and at a younger age
than their forebears. They also had more children, sooner after marriage and spaced
closer together, than earlier generations.

Propaganda poster from World War II, painted by Norman Rockwell. The text says
OURS . . . to fight for: FREEDOM FROM WANT. The painting on the poster shows a
Thanksgiving dinner table. An elderly white couple places a large turkey on the
dinner table and many white family members smile in anticipation of the meal. The
painting suggests a happy and united family enjoying a prosperous time.
Norman Rockwell, Freedom from Want, 1943. This Office of War Information
poster illustrated one of the freedoms the Allies were fighting for during World
War II. Images like these may have induced Americans to crave domesticity
and family life in the postwar era. Image courtesy National Archives.

Historians and demographers have pointed out a number of possible reasons for this
increased devotion to domesticity and child-rearing after the war, from government
propaganda extolling the virtues of apple-pie American life during the war to a
yearning for the security offered by "normal" family life during an era when fear of the
atomic bomb pervaded society. One thing is certain: these high fertility rates closely
correlate with a period of unprecedented economic prosperity, as well as optimism
that the prosperity would last. After years of barely getting by during the Great
Depression and enduring shortages and rationing during the war, Americans finally
could afford to have a lot of children, so they did.

The baby boom was not only a result of the healthy economy but also a major
contributor to it. An enormous generation of babies became an enormous generation
of children, teenagers, young adults, adults, and (more recently) seniors. As the
baby boomers aged, manufacturers and advertisers targeted this gigantic
demographic. As babies, the boomers invigorated the market for toys, candy, and
washing machines. As children, their proliferation drove the construction of new
schools and suburbs. As teenagers, they dominated the popular culture of the 1950s
and 1960s, buying clothing and records.

As adults, they gave birth to an "echo boom" generation of children, a smaller but
still significant generation of kids born between 1976 and 2001.
Significance of the baby boom

The generation born in the twenty years following World War II has been a defining
force in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Coming of age in the 1960s and
1970s, they were on the forefront of social change in those decades, including the
later stage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protest against the Vietnam War, and
the second wave of the feminist movement. It might even be said that those
movements gained momentum because of the sheer siz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se shared concerns and life experiences as an age cohort exerted
an influence on American culture proportional to their numbers.

The unusual siz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s not had universally positive
effects. Like a "pig in a python," as many demographers have characterized the
group, the boomer generation has stretched and transformed American society as its
members have moved through life. Today, the baby boomers still number about 76
million, as immigrants of approximately the same age have made up for
American-born boomers who emigrated or passed away.

As they age, the ratio of retired Americans compared to working Americans will
increase significantly, placing considerable strain on Social Security, hospitals,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designed to aid the elderly. The Census Bureau
estimates that by 2030 one in five Americans will be over the age of 65.
Furthermore, as the US birth rate is currently at an all-time low of just 12.5 live births
per thousand population, by 2056 Americans aged 65 or older will outnumber those
under the age of 18.

What effect this aging population will have on US society remains to be seen.
개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출생률이 크게 높아져 1946년부터 1964년까지 매년
평균 424만 명의 신생아가 인구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베이비 붐 세대" 세대는 강력한 전후 경제의 결과였으며 미국인들은 더 많은 수의
어린이를 부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는 장난감에서
음반에 이르기까지 해당 연령 그룹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핵심 마케팅 인구통계로서
경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인구의 무려 40%를 차지하는 베이비 붐 세대는 특히 1960년대 사회 운동 기간
동안 미국 문화 전반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해 왔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붐 세대는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를 앞두고 있으며, 이는 미국
사회가 인구 노령화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베이비 붐
많은 산업화된 서구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20세기 초 미국도 출산율의 점진적인
감소를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더 많은 미국인들이 농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함에 따라
대가족은 좋은 노동 투자에서 열악한 경제적 선택으로 천천히 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대공황 중에 미국 출생률은 인구 천명당 18.4명으로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신생아가 자는 유아용 침대 5개가 있는 병원 보육실 사진.


신생아가 자는 유아용 침대 5개가 있는 병원 보육실 사진.
1946년 8월 버지니아 주 리치랜즈 탄광 마을의 신생아들로 가득 찬 병원 보육원.
사진: Russell Lee, 이미지 제공: 국립 기록 보관소.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은 미국의 출산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고, 출산율은 전쟁 전
출산율 감소를 놀라울 정도로 예상치 못하게 역전시켰습니다. 여러 가지 요인이
결합하여 이러한 베이비 붐을 일으켰습니다. 전쟁에서 집으로 돌아온 군인들은
모험에 지쳤고 연인과 함께 가족 생활에 정착하기를 원했으며 GI Bill 혜택은 적절한
급여, 좋은 일자리에 대한 접근 및 저렴한 주택을 약속했습니다. 가족 부양 가능.
15년이 넘는 경제적 불확실성을 겪은 후 마침내 미국의 상황이 나아졌고 모두가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아기, 아기, 그리고 더 많은 아기들
제2차 세계대전은 세계 정치뿐만 아니라 미국 가정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군인들이 출동하기 전에 부부는 서둘러 결혼하고 아이를 임신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전쟁의 로맨스와 긴급성 때문이었고, 부분적으로는 부양할 가족이 있을 경우
군인들이 받는 추가 급여 때문이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귀환한 군인들이 결혼을 하게 되면서 결혼의 급증은 더욱


커졌습니다. 1946년에 220만 쌍의 부부가 결혼했는데, 이는 1970년대까지 지속된
새로운 기록입니다.

이 기록적인 수의 노조로 인해 기록적인 수의 아기가 탄생했습니다. 베이비 붐의 첫


번째 동요는 1942년에 명백해졌습니다. 대공황 당시 역사적으로 낮은 출생률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휴가 아기"의 탄생으로 반전되기 시작한 때입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지 9개월이 되어서야 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동원 해제 전에는 미국에서
매달 약 200,000명의 아기가 태어났지만, 1946년 말에는 그 수치가 거의
350,000명으로 증가했습니다. . 1946년에는 1945년보다 20% 더 많은 아기가
태어났습니다. 1947년에는 인구 천명당 출생아 수가 26.6명으로 급증했습니다.

그러나 베이비 붐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단순히 출산율이 급증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미국의 출산율 상승은 18년 동안 계속됐다. 출산율이 마침내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 1946년부터 1964년 사이에는 연간 평균 424만 명의 아기가
태어났습니다. 1964년 베이비붐 세대에 태어난 아기 수는 7,640만 명으로 당시 미국
인구의 무려 40%를 차지했으며, 당시에는 약 1억 9,200만 명에 달했습니다.

1909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의 조출산율(인구 천명당 출생자 수)을 보여주는 선


그래프입니다. 출생률은 1909년 천명당 30명에서 1930년대 후반 천명당 18.5명으로
천천히 감소했습니다. 1945년부터 출생률이 다시 급격히 증가하여 천명당
26.5명까지 출생했습니다. 높은 출산율은 1960년대 중반까지 계속되다가 마침내
1945년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출생률은 1970년대 후반까지 계속 하락하다가
1990년대를 거치면서 '베이비붐' 에코 세대가 소폭 증가했습니다. 2009년 출생률은
천명당 14.0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1909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의 조출산율(인구 천명당 출생자 수)을 보여주는 선
그래프입니다. 출생률은 1909년 천명당 30명에서 1930년대 후반 천명당 18.5명으로
천천히 감소했습니다. 1945년부터 출생률이 다시 급격히 증가하여 천명당
26.5명까지 출생했습니다. 높은 출산율은 1960년대 중반까지 계속되다가 마침내
1945년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출생률은 1970년대 후반까지 계속 하락하다가
1990년대를 거치면서 '베이비붐' 에코 세대가 소폭 증가했습니다. 2009년 출생률은
14.0명이다.
1909년부터 2009년까지의 미국 조출산율. 선의 빨간색 부분은 베이비붐 세대를
나타냅니다. 1976년과 2001년 사이의 작은 충격은 베이비 붐의 "메아리"를
보여줍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전후 가정성과 경제적 이점
출산율이 왜 이렇게 갑자기 상승했고 오랫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했을까요? 남성과
여성 모두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의 피임법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부부는 더 많은 자녀를 갖겠다는 의식적인 결정을 내리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제2차
세계대전 세대는 미국 역사상 가장 결혼 및 가족 중심적 세대였습니다. 이 집단에
속한 여성의 96.4%, 남성의 94.1%가 조상보다 어린 나이에 결혼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결혼 후 더 빨리 자녀를 더 많이 낳았고, 이전 세대보다 서로 더 가깝게
살았습니다.

노먼 록웰이 그린 제2차 세계대전 선전 포스터. 텍스트에는 OURS라고 나와


있습니다. . . 위해 싸우다: 욕구로부터의 자유. 포스터에 있는 그림은 추수감사절 저녁
식탁을 보여줍니다. 백인 노인 부부가 저녁 식탁에 커다란 칠면조를 올려놓고 많은
백인 가족들이 식사를 기대하며 미소를 짓습니다. 그림은 번영하는 시간을 즐기는
행복하고 단결된 가족을 암시합니다.
Norman Rockwell, Freedom from Want, 1943. 이 전쟁 정보국 포스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싸우고 있던 자유 중 하나를 보여줍니다. 이와 같은 이미지는 전후
시대에 미국인들이 가정 생활과 가족 생활을 갈망하도록 유도했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제공: 국립 문서 보관소.
역사가들과 인구통계학자들은 전쟁 중 미국 생활의 미덕을 칭찬하는 정부
선전에서부터 "정상적인 삶"이 제공하는 안전에 대한 갈망에 이르기까지 전쟁 후
가정생활과 자녀 양육에 대한 헌신이 증가한 이유를 여러 가지로 지적했습니다. "
원자폭탄의 공포가 사회에 만연했던 시대의 가족생활.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이러한
높은 출산율은 전례 없는 경제적 번영의 시기 및 이러한 번영이 지속될 것이라는
낙관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대공황 동안 간신히 생활하고 전쟁 중
부족과 배급을 견뎌낸 후 미국인들은 마침내 많은 자녀를 가질 여유가 생겼고 그렇게
했습니다.

베이비 붐은 건전한 경제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경제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엄청난


규모의 아기 세대가 엄청난 규모의 어린이, 청소년, 청년, 성인, 그리고 (최근에는)
노인 세대가 되었습니다. 베이비 붐 세대가 노령화되면서 제조업체와 광고주는 이
거대한 인구 집단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아기 붐 세대는 장난감, 사탕, 세탁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어렸을 때 그들의 확산은 새로운 학교와 교외 건설을
주도했습니다. 그들은 10대 시절 옷과 음반을 구매하며 1950~60년대 대중문화를
장악했다.

성인이 되어 그들은 1976년에서 2001년 사이에 태어난 규모는 작지만 여전히


중요한 세대인 "에코 붐" 세대의 어린이를 낳았습니다.

베이비붐의 의미
제2차 세계대전 이후 20년 동안 태어난 세대는 20세기와 21세기를 결정짓는
세력이었습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성년이 된 그들은 민권 운동의 후기 단계,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 페미니즘 운동의 제2의 물결을 포함하여 수십 년 동안
사회 변화의 최전선에 있었습니다. 이러한 운동은 베이비붐 세대의 엄청난 규모
때문에 탄력을 받았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베이비 붐 세대는 같은 연령대로서
공유된 관심사와 삶의 경험이 그 숫자에 비례하여 미국 문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비정상적인 규모는 보편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많은 인구통계학자들이 이 그룹을 특징지듯이 "비단뱀 속의 돼지"처럼
부머 세대는 그 구성원들이 삶을 살아가면서 미국 사회를 확장하고 변화시켰습니다.
오늘날 베이비 붐 세대의 수는 여전히 약 7,600만 명입니다. 이는 이민을 가거나
세상을 떠난 미국 태생의 붐 세대를 대략 같은 연령의 이민자들이 보충했기
때문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미국 근로자에 비해 은퇴한 미국인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사회 보장 제도, 병원 및 노인 지원을 위해 고안된 기타 정부 기관에 상당한 부담을
안겨줄 것입니다. 인구 조사국은 2030년까지 미국인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또한 미국의 출생률은 현재 인구 천 명당 12.5명으로 사상 최저
수준이므로 65세 이상의 미국인 2056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8세 미만
인구보다 많아질 것입니다.

이러한 고령화 인구가 미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Overview

● In the postwar era, many Americans moved away from cities and into
suburbs, helped by GI Bill benefits that guarantied home loans.
● Techniques of mass production made it possible to build homes faster and
cheaper than ever before. Using an assembly-line system, the construction
firm Levitt and Sons built three giant "Levittown" suburbs in New York, New
Jersey, and Pennsylvania.
● Due to low prices and veterans' benefits, more Americans could afford to own
homes than ever before.

Suburbia in the postwar era

The American Dream: 2.5 kids, a dog, and a house with a white-picket fence. It's one
of the most iconic and enduring images in American culture, the object of both praise
(as evidence of a high standard of living) and ridicule (as evidence of conformity and
materialism). The cookie-cutter homes that sprang up outside metropolitan areas
after World War II weren't grand palaces, but to the generation that had survived the
Great Depression and World War II these little cottages represented almost
unimaginable luxury.
An advertisement from General Electric shows a white soldier in uniform with a
young white woman, sitting on a park bench. The soldier uses a stick to draw an
outline of a house in the dirt, illustrating that this couple is dreaming of owning a
home.

General Electric advertisement depicting a US soldier and his wife dreaming of


a home. Image courtesy State Museum of Pennsylvania.

During the late 1940s and 1950s, the American landscape changed drastically.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mericans as well as immigrants had flocked to
American cities in search of factory work. In the postwar era, however, that trend was
reversed: thanks to low housing costs and GI Bill benefits, even working-class
Americans could afford to own homes in the suburbs.

Though it might not seem like it matters much whether people live in the city, in the
suburbs, or on the moon, residential patterns actually constitute a major influence on
society and politics. People pay taxes based on where they live, and political
representatives are apportioned based on the populations of districts. Consequently,
the postwar exodus to the suburbs was part of a vast reorganization of power and
money that affected American industry, race relations, and gender roles.

Houses on the assembly line

World War II had gobbled up all of America's production for four years. Factories and
construction firms made airplanes and barracks, not automobiles or houses. When
the war was over and millions of soldiers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got married,
and started the baby boom, there was practically no housing available for them.
Newlyweds with bawling babies were doubled up in expensive apartments, or living
in temporary dwellings like quonset huts or even converted trolley cars.

But the same industrial might that had propelled the Allies to victory in World War II
now turned its talents to housing veterans. One of the nation's leading construction
firms, Levitt and Sons, embarked on a plan to mass-produce homes on the outskirts
of New York City. Purchasing 4000 acres of potato fields in Long Island, Levitt and
Sons laid the plans for the largest private housing project in American history, which
they named Levittown.
A view of Levittown, New York, from the air. It shows hundreds of small, completely
identical houses, which are arrayed along curving streets.

Aerial view of Levittown, New York. Image courtesy Mark Mathosian.

Built using the principles of assembly-line mass production, Levittown went from a
potato field to a community of 82,000 people in less than a decade.

Construction proceeded according to 27 distinct steps, from pouring a concrete slab


foundation to spray painting the drywall. Trees were planted every 28 feet.

Every house in the division had exactly the same floorplan; residents reported that
at night they sometimes walked into the wrong house by accident. With all of these
cost-saving measures, the earliest Levittown houses were only $7000, or $29 per
month for a mortgage, compared to the going rate of $90 per month for an apartment
in the city.

Levitt and Sons also took advantage of the government support offered by the
Federal Housing Administration (FHA) and the Veterans Administration (VA).
Before the FHA, would-be homeowners had to put down an average of 58% of a
home's purchase price to secure a mortgage, a nearly impossible prospect for
working class families. Since the GI Bill insured veterans' mortgages, Levittown
could afford to offer them unprecedented credit, in some cases allowing veterans
and their families to move in without putting down a cent.

Homeownership suddenly became possible for a broader segment of the American


population than ever before.

개요
전후 시대에 많은 미국인들은 주택 융자 혜택을 제공하는 GI 법안의 도움을 받아
도시를 떠나 교외로 이주했습니다.
대량 생산 기술 덕분에 이전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게 집을 지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조립 라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설 회사인 Levitt and Sons는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에 3개의 거대한 "Levittown" 교외 지역을 건설했습니다.
저렴한 가격과 퇴역 군인 혜택 덕분에 더 많은 미국인들이 이전보다 주택을 소유할
여력이 생겼습니다.
전후 시대의 교외
아메리칸 드림: 어린이 2.5명, 개, 흰 말뚝 울타리가 있는 집. 이는 미국 문화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지속적인 이미지 중 하나이며, 칭찬(높은 생활 수준의 증거)과 조롱(순응
및 물질주의의 증거)의 대상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도시 외곽에 생겨난
진부한 집은 웅장한 궁전이 아니었지만,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살아남은
세대에게 이 작은 오두막은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사치를 상징했습니다.
General Electric의 광고에는 제복을 입은 백인 군인과 젊은 백인 여성이 공원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이 나와 있습니다. 군인은 막대기를 사용하여 흙 속에 집의 윤곽을
그립니다. 이는 이 부부가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General Electric의 광고에는 제복을 입은 백인 군인과 젊은 백인 여성이 공원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이 나와 있습니다. 군인은 막대기를 사용하여 흙 속에 집의 윤곽을
그립니다. 이는 이 부부가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내집 마련을 꿈꾸는 미군 병사와 그의 아내를 그린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의 광고. 이미지 제공: 펜실베니아 주립박물관.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에 미국의 풍경은 급격하게 변했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
미국인과 이민자들은 공장 일자리를 찾아 미국 도시로 몰려들었습니다. 그러나 전후
시대에는 이러한 추세가 역전되었습니다. 낮은 주택 비용과 GI Bill 혜택 덕분에
미국인 노동자 계층도 교외에 주택을 소유할 여력이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도시에 살든, 교외에 살든, 달에 살든 상관없이 별 문제가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 주거 패턴은 사회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들은
거주지에 따라 세금을 내고, 정치 대표는 해당 지역의 인구에 따라 배정됩니다.
결과적으로 전후 교외로의 탈출은 미국 산업, 인종 관계 및 성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권력과 돈의 광범위한 재편의 일부였습니다.
조립 라인의 주택
제2차 세계대전은 4년 동안 미국의 생산량을 모두 집어삼켰습니다. 자동차나 집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공장과 건설회사에서 비행기와 막사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수백만 명의 군인이 미국으로 돌아와 결혼하고 베이비붐을 일으켰을
때 그들이 살 수 있는 집이 사실상 없었습니다. 울부짖는 아기를 둔 신혼부부는
값비싼 아파트에 살거나, 퀑셋(Quonset) 오두막이나 심지어 개조된 트롤리 자동차와
같은 임시 거주지에서 생활했습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을 승리로 이끈 산업의 힘은 이제 그 재능을 퇴역


군인을 수용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미국 최고의 건설 회사 중 하나인 Levitt and
Sons는 뉴욕시 외곽에서 주택을 대량 생산할 계획에 착수했습니다. Long Island에서
4000에이커의 감자 밭을 구입한 Levitt and Sons는 Levittown이라는 이름의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간 주택 프로젝트 계획을 세웠습니다.

공중에서 바라본 뉴욕 레빗타운의 모습. 곡선 거리를 따라 배열된 수백 개의 작고


완전히 동일한 주택을 보여줍니다.
공중에서 바라본 뉴욕 레빗타운의 모습. 곡선 거리를 따라 배열된 수백 개의 작고
완전히 동일한 주택을 보여줍니다.
뉴욕 레빗타운의 공중 전망. 이미지 제공: Mark Mathosian.
조립 라인 대량 생산 원칙을 사용하여 건설된 Levittown은 10년도 채 안 되어 감자
밭에서 82,000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커뮤니티로 성장했습니다.

건설은 콘크리트 슬래브 기초 타설부터 건식벽체 스프레이 페인팅까지 27개의 개별


단계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28피트마다 나무를 심었습니다.

부서의 모든 집은 정확히 동일한 평면도를 가졌습니다. 주민들은 밤에 우연히


엉뚱한 집에 들어가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모든 비용 절감
조치를 통해 초기 Levittown 주택의 가격은 $7000, 즉 월 29달러였으며, 이는 도시
아파트의 월 이자율이 $90인 것과 비교됩니다.

Levitt and Sons는 또한 연방주택청(FHA)과 재향군인회(VA)가 제공하는 정부 지원을


활용했습니다. FHA 이전에는 주택 소유자가 주택 담보 대출을 확보하기 위해 주택
구입 가격의 평균 58%를 내야 했는데, 이는 노동자 계층 가족에게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GI 법안이 퇴역 군인의 모기지를 보장했기 때문에 Levittown은
그들에게 전례 없는 신용을 제공할 여유가 있었고 어떤 경우에는 퇴역 군인과 그
가족이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한 푼도 아끼지 않고 이사하세요.

그 어느 때보다 미국 인구의 더 넓은 부분이 갑자기 주택 소유가 가능해졌습니다.

Overview

● Geographic living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changed during the postwar
era as more Americans moved to western and southern states.
● Suburban living promoted the use of automobiles for transportation, which led
to a vast expansion of America's highway system.
● Suburbs' emphasis on conformity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white women
and minorities. Many white women began to feel trapped in the role of
housewife, while restrictive covenants barred most African American and
Asian American families from living in suburban neighborhoods at all.

Suburbia, USA

Levitt and Sons went on to build two more highly-successful suburbs in Pennsylvania
and New Jersey (both of which they also named Levittown), and other developers
quickly adopted their formula for suburban housing. Between 1948 and 1958, 85% of
the new homes built in the United States were located in suburbs. Suburban
construction across the country also meant that regional differences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began to erode in favor of identical housing across the United
States. This suburban trend has endured: today, four out of five Americans live in
suburbs.
Living in suburbia meant that residents had to own cars in order to go to work or
purchase groceries. By 1955 American automobile companies were producing eight
million cars per year, more than three times as many as in 1945. Likewise, the
system of roads had to expand in order to meet the demand of an increasingly
car-oriented society: states and the federal government invested heavily in an
interstate highway system in the late 1940s and 1950s. Suburbia helped to promote
a "car culture" in the United States that made it easier to drive than to take public
transportation.

The war and its aftermath also changed American living patterns on a large scale.
Defense pla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United States drew workers during the
war, and in the following decades more Americans moved to the warmer states of
the Sunbelt in search of jobs. The population of California doubled between 1940
and 1960. Florida's population nearly tripled in the same period. In general, people,
jobs, and money began to move away from the industrial states of the Northeast and
the Upper Midwest and into the South and West.

Race, gender and suburbia

With its cookie-cutter houses and firm emphasis on material comforts, from shiny
new cars to washing machines, suburbia received its share of criticism. What most
appalled critics was suburbia's emphasis on sameness and conformity. On one
hand, this "sameness" heralded a kind of democratic progress: suburban families
made about the same amount of money, lived in identical or nearly identical houses,
and generally were at about the same stage in life. Class divisions narrowed as
barriers to homeownership fell and the postwar economic boom elevated many
families into the middle class. Even longstanding prejudices based on religion and
ethnicity eroded in the suburb, as the shared experiences of GIs during the war
trumped differences between Italian-Americans and German-Americans, or
Catholics and Jews.
Image showing a large white sign at the entrance to a housing development reading
"WE WANT WHITE TENANTS IN OUR WHITE COMMUNITY" in capital letters. Two
small American flags fly at the top corners of the sign.

Sign at a defense workers' housing project in Detroit, 1942. Levitt and Sons
built housing for defense workers during the war and continued discriminating
against minorities in their postwar suburbs.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But this conformity also had a dark side. For white women, the charms of suburban
life began to wear thin after a few years. Although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more than 30% of women did work outside the home in some capacity during the
1950s, popular culture was replete with messages counseling women that their
greatest satisfaction in life would come from raising children, tending to their
husbands' needs, and owning all of the labor-saving household appliances that
money could buy. But many began to identify a creeping sense that there ought to be
more to life than childcare and housework.

Minority women did not experience the ennui of suburban life because, by and large,
they were barred from suburbia altogether. William Levitt was an unapologetic
segregationist, declaring openly that his subdivisions were for whites only. In 1960,
not a single resident of Levittown, New York was black. Suburbs throughout the
nation enacted restrictive covenants that prevented homeowners from selling their
houses to African Americans or Asian Americans, upon the pretense that their
presence would lower property values. Although the Supreme Court ruled in 1948
that such covenants were unenforceable, de facto segregation continued and was
frequently enforced by violence and intimidation.

Banks also refused to loan money for new homes or improvements in the inner city
neighborhoods where minorities lived in a practice known as redlining (a term
derived from mortgage security maps that shaded minority neighborhoods in red,
signifying they were 'risky' investments).

Thus, government subsidies for suburban home building and prejudice against
lending to minorities combined to increase the distance--both physically and
economically--between whites and African Americans.

개요
전후 시대에 더 많은 미국인이 서부와 남부 주로 이주하면서 미국의 지리적 생활
패턴이 바뀌었습니다.
교외 생활은 교통수단으로 자동차를 사용하는 것을 촉진시켰고, 이는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의 광대한 확장을 가져왔습니다.
교외 지역의 순응에 대한 강조는 백인 여성과 소수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백인 여성들이 주부의 역할에 갇혀 있다고 느끼기 시작했고,
제한적인 계약으로 인해 대부분의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아시아계 미국인 가족은 교외
지역에 사는 것이 전혀 금지되었습니다.
미국 교외
Levitt and Sons는 계속해서 펜실베이니아와 뉴저지(둘 다 Levittown이라고도 함)에
두 개의 매우 성공적인 교외 지역을 건설했으며 다른 개발자들은 교외 주택에 대한
공식을 신속하게 채택했습니다. 1948년부터 1958년 사이에 미국에서 지어진 새
주택의 85%가 교외에 위치했습니다. 전국의 교외 건설은 건축과 도시 계획의 지역적
차이가 미국 전역에서 동일한 주택을 선호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했습니다. 이러한
교외 추세는 지속되어 오늘날 미국인 5명 중 4명이 교외에 살고 있습니다.

교외에 산다는 것은 주민들이 출근하거나 식료품을 구입하기 위해 자동차를 소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1955년까지 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연간 800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했는데, 이는 1945년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치입니다. 마찬가지로 도로
시스템은 점점 더 자동차 중심이 되는 사회, 즉 주와 연방 정부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확장되어야 했습니다. 정부는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에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에 많은 투자를 했습니다. 교외는 미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운전하기가 더 편한 '자동차 문화'를 장려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전쟁과 그 여파는 또한 미국의 생활 패턴을 대규모로 변화시켰습니다. 전쟁 중에 미국
남부와 서부의 방위 공장에 노동자들이 모여들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미국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따뜻한 지역인 선벨트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인구는 1940년에서 1960년 사이에 두 배로 늘어났습니다. 같은 기간에
플로리다의 인구는 거의 세 배로 늘어났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 일자리, 돈이
북동부와 중서부 북부의 산업 지역에서 남부와 서부로 이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인종, 성별 및 교외 지역
틀에 박힌 주택과 반짝이는 새 자동차부터 세탁기에 이르기까지 물질적 안락함을
확고히 강조하는 교외 지역은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가장 소름끼치는 비평가들은
교외 지역이 동일성과 적합성을 강조한다는 점이었습니다. 한편으로, 이러한
"동일성"은 일종의 민주적 진보를 예고했습니다. 교외 가족은 거의 같은 금액의 돈을
벌고,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집에서 살았으며, 일반적으로 삶의 단계가 거의
같았습니다. 주택 소유에 대한 장벽이 무너지고 전후 경제 호황으로 많은 가족이
중산층으로 올라감에 따라 계층 구분이 좁아졌습니다. 전쟁 중 GI가 공유한 경험이
이탈리아계 미국인과 독일계 미국인, 또는 가톨릭교인과 유대인 사이의 차이를
압도함에 따라 종교와 민족성에 기반한 오랜 편견조차도 교외 지역에서
잠식되었습니다.

주택 개발 입구에 대문자로 "WE WANT WHITE TENANTS IN OUR WHITE


COMMUNITY"라고 적힌 대형 흰색 표지판을 보여주는 이미지. 두 개의 작은 미국
국기가 표지판의 상단 모서리에 펄럭입니다.
주택 개발 입구에 대문자로 "WE WANT WHITE TENANTS IN OUR WHITE
COMMUNITY"라고 적힌 대형 흰색 표지판을 보여주는 이미지. 두 개의 작은 미국
국기가 표지판의 상단 모서리에 펄럭입니다.
1942년 디트로이트의 국방 요원 주택 프로젝트에 서명합니다. Levitt and Sons는
전쟁 중에 국방 요원을 위한 주택을 건설했으며 전후 교외 지역에서 소수자를 계속
차별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하지만 이러한 순응에는 어두운 면도 있었습니다. 백인 여성들에게 교외 생활의
매력은 몇 년이 지나면서 엷어지기 시작했습니다. 1950년대에는 30% 이상의 여성이
어느 정도 집 밖에서 일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지만, 대중문화에는 여성에게
인생의 가장 큰 만족은 자녀를 키우고, 남편을 부양하는 데서 나온다고 조언하는
메시지가 넘쳐났습니다. 필요하고 돈으로 살 수 있는 노동 절약형 가전제품을 모두
소유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인생에는 육아와 집안일보다 더 많은 일이
있어야 한다는 오싹한 느낌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소수자 여성들은 대체로 교외 생활이 완전히 금지되었기 때문에 교외 생활의 권태를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윌리엄 레빗(William Levitt)은 자신의 구역이 백인만을 위한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한 변명하지 않는 분리주의자였습니다. 1960년에는 뉴욕
레빗타운의 주민 중 흑인이 한 명도 없었습니다. 전국의 교외 지역에서는 주택
소유자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나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주택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한 계약을 제정했습니다. 이는 그들의 존재가 부동산 가치를 떨어뜨릴
것이라는 구실을 내세우기 때문입니다.

소수자 여성들은 대체로 교외 생활이 완전히 금지되었기 때문에 교외 생활의 권태를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윌리엄 레빗(William Levitt)은 자신의 구역이 백인만을 위한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한 변명하지 않는 분리주의자였습니다. 1960년에는 뉴욕
레빗타운의 주민 중 흑인이 한 명도 없었습니다. 전국의 교외 지역에서는 주택
소유자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나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주택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한 계약을 제정했습니다. 이는 그들의 존재가 부동산 가치를 떨어뜨릴
것이라는 구실을 내세우기 때문입니다. 1948년에 대법원은 그러한 계약은 시행할 수
없다고 판결했지만, 사실상의 인종차별은 계속되었고 폭력과 협박을 통해 자주
시행되었습니다.

은행은 또한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도심 지역의 새 주택이나 개선을 위한 자금 대출을


거부했습니다. 이는 레드라이닝(소수 지역을 빨간색으로 음영 처리하여 '위험한'
투자임을 의미하는 모기지 보안 지도에서 파생된 용어)으로 알려진 관행입니다.

따라서 교외 주택 건설에 대한 정부 보조금과 소수 민족에 대한 대출에 대한 편견이


결합되어 백인과 아프리카 계 미국인 간의 물리적, 경제적 거리가 증가했습니다.

Overview

● President Dwight D. Eisenhower was a popular war hero whose eight-year


presidency was characterized by peace and prosperity, despite Cold War
tensions and nuclear anxieties.
● During his presidency the nation’s consumer culture flourished. Workers’
wages rose, the baby boom reached its peak, and the suburbs grew rapidly.
● A moderate Republican, Eisenhower continued federal government activism
in the economy and supported the largest public works project in history: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 In 1957 Eisenhower deployed troops to Little Rock, Arkansas to enforce the
Supreme Court’s ruling that public schools be desegregated.

Dwight D. Eisenhower and Modern Republicanism

Dwight Eisenhower was a celebrated hero of the Second World War, well known to
the public as the five-star general who had commanded Allied forces in Europe on
D-Day. Eisenhower won landslide victories in both the 1952 and 1956 presidential
elections over his Democratic rival Adlai Stevenson, the former governor of Illinois.

Photograph of President Dwight Eisenhower sitting at a table talking with Lewis


Strauss, Chairman of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in 1954.

President Dwight Eisenhower in 1954, talking with Lewis L. Strauss, chairman


of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Eisenhower was a moderate Republican. Eisenhower did not try to dismantle the
social welfare programs of the New Deal; on the contrary, the federal government
continued to grow during his presidency. He signed an expansion to Social
Security—to cover the self-employed, and disabled—and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He also signed legislation increasing
the minimum wage by a third.

Eisenhower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federal budget, and his
administration worked for modestly lower taxes on corporations and the highest
income earners. He called his brand of politics Modern Republicanism, and said he
wanted to lead the country “down the middle of the road.”

With the Federal-Aid Highway Act, he funded the largest public works project in
American history—authorizing the expenditure of $25 billion to build more than
40,000 miles of four-lane interstate highways.

1950s prosperity

The Eisenhower era of the 1950s was a time of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GDP (gross domestic product) grew by an astonishing 150% in the
period from 1945 to 1960. In the 1950s, with only five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the U.S. economy produced almost half of the world’s manufactured
products.
Americans drove three-quarters of the world’s cars and consumed half of the world’s
energy. Union membership reached its historic peak in American history in 1954
when almost 35% of the nation’s workforce was unionized. The GI Bill and Marshall
Plan expenditures, along with Cold War defense spending,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So, too, did the nation’s growing population—some 50 million babies were
born during the continuing baby boom in the Eisenhower era.

Eisenhower and civil rights

Eisenhower was a limited supporter of civil rights legislation. He signed the Civil
Rights Act of 1957, the first civil rights bill passed by Congress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and appointed a Commission on Civil Rights to ensure that citizens were not
being “deprived of their right to vote.” In 1960, he signed the Civil Rights Act, which
introduced penalties for anyone who destroyed voter registration records or
attempted to block a person from registering to vote.

The integr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ed services, which began under President
Truman, was completed during Eisenhower's administration. Finally, in 1957
Eisenhower deployed federal troops to aid with the integration of Central High
School in Little Rock, Arkansas.

Eisenhower's foreign policy

Eisenhower’s eight years in office were relatively peaceful ones for the nation. He
ended the Korean War with a July 1953 armistice, and did not take the country into
war in Vietnam when communists took over part of that country in 1954 (though he
did supply South Vietnam with military advisers and equipment). In concert with
Nikita Khrushchev, his Soviet counterpart, Eisenhower voluntarily suspended nuclear
atmospheric testing in 1958, although an official test-ban treaty would not be signed
until after he left office.

The Cold War framed Eisenhower’s foreign policy. Cold War thinking frequently took
on an "us-versus-them" mindset, and this view of the world as one polarized
between Soviet totalitarian communism (them) and American democracy and
freedoms (us) saw Eisenhower’s administration both provide aid to dictators friendly
to US interests (the Shah of Iran, Fulgencio Batista in Cuba, for example) and
authorize covert CIA missions to overthrow governments sympathetic to the Soviets.
For example, in 1954 Eisenhower authorized the CIA to depose the democratically
elected president of Guatemala, Jacobo Arbenz.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s national security strategy was called the New
Look. It relied on strategic nuclear weapons and air power while scaling back
conventional army and navy forces. A nuclear arsenal was cheaper to maintain than
paying a standing army: "more bang for the buck," the popular slogan went.

New Look policy gave rise to talk of the need to employ a diplomacy of
brinksmanship: a willingness on the part of American leaders to take the world to
the brink of a nuclear war with the hope that the Soviets would back down in the face
of a potential US nuclear strike. But the stakes were high. If brinksmanship failed,
nuclear war might result. Consequently, fear of nuclear war weighed heavily on the
minds of Americans during the Eisenhower era.
개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냉전의 긴장과 핵 불안에도 불구하고 8년 동안
평화와 번영을 누린 인기 있는 전쟁 영웅이었습니다.
그의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소비문화는 꽃피웠다. 노동자들의 임금은
올랐고, 베이비붐은 정점에 이르렀으며, 교외 지역은 급속도로 성장했습니다.
온건한 공화당원인 아이젠하워는 경제 분야에서 연방 정부의 활동을 계속했고 역사상
가장 큰 공공 사업인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을 지원했습니다.
1957년 아이젠하워는 공립학교의 인종차별 철폐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을 집행하기
위해 아칸소주 리틀록에 군대를 배치했습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현대 공화주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는 제2차 세계대전의 유명한 영웅으로, D-Day에 유럽에서
연합군을 지휘한 5성 장군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젠하워는 1952년과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전 일리노이 주지사였던 민주당 경쟁자 아들라이
스티븐슨을 누르고 압승을 거두었습니다.
1954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 루이스 스트라우스와
테이블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사진.
1954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 루이스 스트라우스와
테이블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사진.
1954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인 루이스 L.
스트라우스와 대화를 나누는 모습.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아이젠하워는 온건한 공화당원이었습니다. 아이젠하워는 뉴딜 정책의 사회 복지
프로그램을 해체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반대로, 연방 정부는 그의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계속해서 성장했습니다. 그는 자영업자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장
확대에 서명하고 보건, 교육, 복지부를 설립했습니다. 그는 또한 최저 임금을 3분의
1로 인상하는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아이젠하워는 또한 균형 잡힌 연방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그의 행정부는


기업과 최고 소득자들에 대한 세금을 적당히 낮추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치 브랜드를 현대 공화주의라고 부르며 나라를 '중도'로 이끌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연방 지원 고속도로법(Federal-Aid Highway Act)을 통해 그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공공 사업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즉, 40,000마일이 넘는 4차선 주간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데 250억 달러의 지출을 승인하는 것입니다.

1950년대 번영
1950년대 아이젠하워 시대는 유례없는 경제성장과 번영의 시기였다. 1945년부터
1960년까지 GDP(국내총생산)는 무려 150%나 성장했습니다. 1950년대에 세계
인구의 5%에 불과했던 미국 경제는 전 세계 제조 제품의 거의 절반을 생산했습니다.

미국인들은 세계 자동차의 4분의 3을 운전하고 세계 에너지의 절반을 소비했습니다.


노동조합원 수는 미국 역사상 거의 35%의 미국 노동력이 노동조합에 가입했던
1954년에 정점에 이르렀습니다. GI Bill 및 Marshall Plan 지출은 냉전 국방 지출과
함께 경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미국의 인구 증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이젠하워
시대의 계속되는 베이비 붐 기간 동안 약 5천만 명의 아기가 태어났습니다.
아이젠하워와 시민권
아이젠하워는 민권법안을 제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그는 19세기 이후 의회에서
통과된 최초의 민권 법안인 1957년 민권법(Civil Rights Act)에 서명했으며, 시민들이
"투표권을 박탈"당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민권위원회를 임명했습니다. 1960년에
그는 유권자 등록 기록을 파괴하거나 유권자 등록을 차단하려는 사람에 대한 처벌을
도입하는 민권법에 서명했습니다.

트루먼 대통령 때 시작된 미국 군대의 통합은 아이젠하워 행정부 때 완성됐다.


마침내 1957년 아이젠하워는 아칸소주 리틀록에 있는 센트럴 고등학교의 통합을
돕기 위해 연방군을 배치했습니다.
아이젠하워의 외교정책
아이젠하워의 재임 8년은 국가적으로 비교적 평화로운 기간이었습니다. 그는 1953년
7월 휴전 협정으로 한국전쟁을 끝냈고, 1954년 공산주의자들이 베트남의 일부를
점령했을 때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그는 남베트남에 군사 고문과
장비를 공급했지만). 아이젠하워는 소련의 니키타 흐루시초프와 협력하여 1958년
자발적으로 대기 핵 실험을 중단했지만 공식적인 핵실험 금지 조약은 그가 퇴임할
때까지 체결되지 않았습니다.
냉전은 아이젠하워의 외교 정책의 틀을 잡았습니다. 냉전 사고는 종종 "우리 대 그들"
사고방식을 취했으며, 소련의 전체주의 공산주의(그들)와 미국의 민주주의와
자유(우리) 사이에 양극화된 세계관은 아이젠하워 행정부가 둘 다 우호적인
독재자들에게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미국은 (예를 들어 이란의 샤,
쿠바의 풀겐시오 바티스타) 이익을 얻고 소련에 동조하는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비밀 CIA 임무를 승인합니다. 예를 들어, 1954년 아이젠하워는 CIA가 민주적으로
선출된 과테말라 대통령 야코보 아르벤츠를 해임하도록 승인했습니다.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국가안보전략은 뉴룩(New Look)이라 불렸다. 재래식 육군과


해군 전력을 축소하면서 전략적 핵무기와 공군력에 의존했습니다. 핵무기고는
상비군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보다 유지하는 것이 더 저렴했습니다. "비용 대비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합니다"라는 인기 슬로건이 사용되었습니다.

New Look 정책은 벼랑끝 전술 외교, 즉 소련이 핵전쟁 위기에 직면했을 때 물러날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세계를 핵전쟁 직전으로 몰고 가는 미국 지도자들의 의지를
채택할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미국의 핵 공격 가능성. 그러나
위험은 높았습니다. 벼랑끝 전술이 실패하면 핵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아이젠하워 시대에 핵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미국인들의 마음을 무겁게 짓눌렀습니다.

Overview

● In the 1950s and 1960s, young Americans had more disposable income and
enjoyed greater material comfort than their forebears, which allowed them to
devote more time and money to leisure activities and th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 Rock and roll, a new style of music which drew inspiration from African
American blues music, embraced themes popular among teenagers, such as
young love and rebellion against authority.
● In the 1950s, the relatively new technology of television began to compete
with motion pictures as a major form of popular entertainment.

The postwar boom and popular culture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emerged as the world's leading
industrial power. Generous government support for education and home loans
coupled with a booming economy meant that Americans in the postwar era had more
discretionary income than ever before.

In the 1950s and 1960s, the bumper crop of children born after World War II, known
collectively as the baby boomers, grew into teenagers and young adults. As the
largest single generation up until that point in American history, the baby boomers
had a tremendous effect on popular culture thanks to their sheer numbers. Starting
as early as the 1940s, savvy marketers identified the baby boomers as a target
demographic and marketed products and entertainment geared to their needs and
interests.

The baby boomers developed a greater generational consciousness than previous


generations. They sought to define and redefine their identities in numerous ways.
The music of the day, especially rock and roll, reflected their desire to rebel against
adult authority. Other forms of 1950s popular culture, such as movies and television,
sought to entertain, while reinforcing values such as religious faith, patriotism, and
conformity to societal norms.

Rocking around the clock

In the late 1940s, some white country musicians began to experiment with the
rhythms of the blues, a decades-old musical genre of rural southern black people.
This experimentation led to the creation of a new musical form known as rockabilly;
by the 1950s, rockabilly had developed into rock and roll.

Rock and roll music celebrated themes such as young love and freedom from the
oppression of middle-class society. It quickly grew in favor among American teens
during the 1950s, thanks largely to the efforts of disc jockey Alan Freed. Freed
named and popularized rock and roll by playing it on the radio in Cleveland—where
he also organized the first rock and roll concert—and later in New York.

The theme of rebellion against authority, present in many rock and roll songs,
appealed to teens. In 1954, rock group Bill Haley and His Comets provided youth
with an anthem for their rebellion with the song ”Rock Around the Clock.” The song,
used in the 1955 movie Blackboard Jungle about a white teacher at a troubled
inner-city high school, seemed to be calling for teens to declare their independence
from adult control.

Haley illustrated how white artists could take musical motifs from African American
musicians and achieve mainstream success. Teen heartthrob Elvis Presley rose to
stardom doing the same. Thus, besides encouraging a feeling of youthful rebellion,
rock and roll also began to tear down color barriers in popular culture, as white
youths sought out African American musicians such as Chuck Berry and Little
Richard.
Photo of Elvis Presley dancing in a promo shoot for the song Jailhouse Rock.

Rock musician Elvis Presley enthralled teens and scandalized adults with his
suggestive lyrics and dance moves. Image credit: Wikimedia Commons

While youth had found an outlet for their feelings and concerns, their parents were
much less enthused about rock and roll and the rebellion and sexuality it seemed to
promote. Many regarded the music as a threat to American values. When Elvis
Presley appeared on The Ed Sullivan Show, a popular television variety program,
the camera deliberately focused on his torso and did not show his swiveling hips or
legs shaking in time to the music.
Despite adults’ dislike of the genre, or perhaps because of it, more than 68 percent
of the music played on the radio in 1956 was rock and roll.

Hollywood on the defensive

At first, Hollywood encountere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post-World War II


environment. Although domestic audiences reached a record high in 1946 and the
war’s end meant expanding international markets too, the groundwork for the
eventual dismantling of the traditional "studio system" was laid in 1948 in a landmark
decision by the US Supreme Court. Previously, film studios had owned their own
movie theater chains in which they exhibited the films they produced; however, in
United States v. Paramount Pictures, Inc., this vertical integration of the
industry—the complete control by one firm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exhibition of motion pictures—was deemed a violation of antitrust laws.

Hollywood also felt the strain of Cold War fears. The 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 hearings targeted suspected Communists in Hollywood. When Senator
Joseph McCarthy called eleven “unfriendly witnesses” to testify before Congress
about Communism in the film industry in October 1947, only playwright Bertolt
Brecht answered questions. The other 10, who refused to testify, were cited for
contempt of Congress on November 24. The next day, film executives declared that
the so-called “Hollywood Ten” would no longer be employed in the industry until they
had sworn they were not Communists.

Eventually, more than three hundred actors, screenwriters, directors, musicians, and
other entertainment professionals were placed on the industry blacklist. Some never
worked in Hollywood again; others directed films or wrote screenplays under
assumed names.
A photograph shows Edward Dmytryk testifying before the House Committee on
Un-American Activities.

One of the original Hollywood Ten, director Edward Dmytryk publicly


announced he had once been a Communist and, in April 1951, answered
questions and “named names” before the 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 Image credit: OpenStax College.

Hollywood reacted aggressively to these various challenges. Filmmakers tried new


techniques, like CinemaScope and Cinerama, which allowed movies to be shown on
large screens and in 3-D. Audiences were drawn to movies not because of
gimmicks, however, but because of the stories they told. Dramas and romantic
comedies continued to be popular fare for adults.

To appeal to teens, studios produced large numbers of horror films and movies
starring music idols such as Elvis. Many films took espionage, a timely topic, as their
subject matter, and science fiction hits such as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about a small town whose inhabitants fall prey to space aliens—played
on audience fears of both Communist invasion and nuclear technology.

The triumph of television

By far the greatest challenge to Hollywood, however, came from the relatively new
medium of television. Although the technology had been developed in the late
1920s, through much of the 1940s only a fairly small, wealthy audience had access
to it. As a result, programming had been limited.

With the post-World War II economic boom, however, all this changed. By 1955, half
of all American homes had a television.

A photograph shows a man, a woman, three teenage girls, and a teenage boy sitting
in a living room, watching a television.

An American family relaxes in front of their television set in 1958. Many


gathered not only to watch the programming but also to eat dinner. The
marketing of small folding tray tables and frozen “TV dinners” encouraged
such behavior. Image credit: OpenStax College.

Various types of programs were broadcast on the handful of major networks:


situation comedies, variety programs, game shows, soap operas, talk shows,
medical dramas, adventure series, cartoons, and police procedurals.

Many comedies presented an idealized image of white suburban family life: happy
housewife mothers, wise fathers, and mischievous but not dangerously rebellious
children were constants on shows like Leave It to Beaver and Father Knows Best in
the late 1950s. These shows also reinforced certain perspectives on the values of
individualism and family—values that came to be redefined as “American” in
opposition to alleged Communist collectivism.

Westerns, which stressed unity in the face of danger and the ability to survive in
hostile environments, were popular too. Programming designed specifically for
children began to emerge with shows such as Captain Kangaroo, Romper Room,
and The Mickey Mouse Club designed to appeal to members of the baby boom.

개요
1950년대와 1960년대 미국의 젊은이들은 조상들보다 더 많은 가처분 소득과 더 많은
물질적 안락함을 누렸으며, 이로 인해 그들은 여가 활동과 대중문화 소비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쏟을 수 있었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블루스 음악에서 영감을 얻은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인 로큰롤은
젊은 사랑, 권위에 대한 반항 등 10대들에게 인기 있는 주제를 수용했습니다.
1950년대에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텔레비전 기술이 대중 엔터테인먼트의 주요
형태로서 영화와 경쟁하기 시작했습니다.
전후 붐과 대중문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세계 최고의 산업 강국으로 떠올랐다. 경제 호황과 함께
교육 및 주택 대출에 대한 정부의 관대 한 지원은 전후 시대의 미국인들이 그 어느
때보 다 더 많은 재량 소득을 갖게되었음을 의미했습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태어난 아이들, 통칭 베이비부머
세대가 10대와 청년으로 성장했습니다. 미국 역사상 그 시점까지 가장 큰 단일
세대였던 베이비 붐 세대는 엄청난 숫자 덕분에 대중 문화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1940년대부터 노련한 마케팅 담당자들은 베이비붐 세대를 인구통계학적
목표로 파악하고 이들의 필요와 관심 사항에 맞는 제품과 엔터테인먼트를
판매했습니다.
베이비 붐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더 큰 세대의식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재정의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당시의 음악, 특히
로큰롤은 어른들의 권위에 반항하려는 그들의 열망을 반영했습니다. 영화,
텔레비전과 같은 1950년대 대중문화의 다른 형태는 오락을 추구하는 동시에 종교적
신앙, 애국심, 사회 규범 준수와 같은 가치를 강화했습니다.
24시간 내내 흔들리는
1940년대 후반, 일부 백인 컨트리 음악가들은 남부 시골 흑인들의 수십 년 된 음악
장르인 블루스의 리듬을 실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실험은 로커빌리(rockabilly)라는
새로운 음악 형식을 탄생시켰습니다. 1950년대에 이르러 로커빌리는 로큰롤로
발전했습니다.
로큰롤 음악은 젊은 사랑, 중산층 사회의 억압으로부터의 자유 등의 주제를
찬양했습니다. 주로 디스크 자키 Alan Freed의 노력 덕분에 1950년대 미국 10대들
사이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습니다. Freed는 클리블랜드에서 첫 번째 로큰롤
콘서트를 조직했으며 나중에는 뉴욕에서 라디오를 통해 로큰롤의 이름을 지정하고
대중화했습니다.
많은 로큰롤 노래에 등장하는 권위에 대한 반항이라는 주제는 십대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1954년 록 그룹 Bill Haley and His Comets는 "Rock Around the
Clock"이라는 노래로 젊은이들에게 그들의 반란을 기리는 찬가를 제공했습니다.
문제가 있는 도심 고등학교의 백인 교사에 대한 1955년 영화 Blackboard Jungle에서
사용된 이 노래는 십대들이 성인의 통제로부터 독립을 선언할 것을 촉구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Haley는 백인 예술가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로부터 음악적 모티브를
가져와 주류 성공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10대의 가슴 뛰는 엘비스
프레슬리도 같은 일로 스타덤에 올랐습니다. 따라서 로큰롤은 젊은 반항심을
조장하는 것 외에도 백인 청소년들이 척 베리(Chuck Berry)와 리틀 리처드(Little
Richard)와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을 찾게 되면서 대중 문화의 유색인종
장벽을 허물기 시작했습니다.
Jailhouse Rock의 프로모션 촬영에서 춤추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사진.
Jailhouse Rock의 프로모션 촬영에서 춤추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사진.
록 음악가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는 선정적인 가사와 춤 동작으로 십대들과
어른들을 열광시켰습니다.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청소년들은 자신의 감정과 걱정을 해소할 출구를 찾았지만, 그들의 부모는 로큰롤과
그것이 조장하는 반항심과 성욕에 대해 훨씬 덜 열정적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음악이 미국의 가치에 대한 위협이라고 여겼습니다. 엘비스 프레슬리가 인기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에드 설리번 쇼(The Ed Sullivan Show)에 출연했을 때
카메라는 의도적으로 그의 몸통에 초점을 맞추었고 음악에 맞춰 흔들리는 엉덩이나
다리가 흔들리는 모습은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어른들이 로큰롤 장르를 싫어함에도 불구하고, 혹은 그것 때문에 1956년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음악의 68% 이상이 로큰롤이었습니다.
수비에 나선 할리우드
처음에 할리우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1946년 국내 관객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전쟁이 끝나자 국제 시장도
확대되었지만, 1948년 미국 대법원의 획기적인 판결을 통해 전통적인 "스튜디오
시스템"을 궁극적으로 해체하기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이전에 영화 스튜디오는 자신이 제작한 영화를 전시하는 자체 영화관 체인을
소유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대 Paramount Pictures, Inc. 사건에서는 업계의 수직적
통합, 즉 한 회사가 영화 제작, 배급 및 전시를 완전히 통제하는 것이 독점금지법
위반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할리우드도 냉전의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하원 반미 활동 위원회 청문회는
할리우드의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1947년 10월 조셉
매카시(Joseph McCarthy) 상원의원이 의회에서 영화 산업의 공산주의에 대해
증언하기 위해 11명의 “비우호적인 증인”을 불렀을 때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만이 질문에 답했습니다. 증언을 거부한 나머지 10명은 11월
24일 의회 모독죄로 소환됐다. 다음날 영화 경영진은 이른바 '할리우드 10인'이
자신들이 그렇지 않다고 맹세할 때까지 더 이상 업계에 고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공산주의자.
결국 300명이 넘는 배우, 시나리오 작가, 감독, 음악가, 기타 연예계 종사자들이 업계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일부는 다시는 할리우드에서 일하지 않았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가명으로 영화를 감독하거나 각본을 썼습니다.

사진은 에드워드 드미트릭(Edward Dmytryk)이 하원 비미국 활동 위원회에서


증언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리지널 헐리우드 10의 한 명인 에드워드 드미트릭 감독은 자신이 한때
공산주의자였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으며, 1951년 4월 하원 반미 활동 위원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이름을 거명"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OpenStax College.
할리우드는 이러한 다양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했습니다. 영화 제작자들은 영화를
대형 화면과 3D로 상영할 수 있는 CinemaScope 및 Cinerama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관객이 영화에 끌리는 것은 기믹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때문이다. 드라마와 로맨틱 코미디는 계속해서 어른들의 인기를 끌었습니다.
십대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스튜디오에서는 엘비스와 같은 음악 아이돌이 출연하는
공포 영화와 영화를 많이 제작했습니다. 많은 영화들이 첩보 활동을 주제로 삼았으며,
주민들이 우주 외계인의 먹이가 되는 작은 마을에 관한 신체 강탈자의 침입(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과 같은 SF 히트작들은 공산주의 침략과 핵 기술에 대한
관객의 두려움을 바탕으로 상영되었습니다.
텔레비전의 승리
그러나 할리우드에 대한 가장 큰 도전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매체인 텔레비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192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지만 1940년대에는 상당히
소수의 부유한 청중만이 이 기술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프로그래밍이
제한되었습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 호황으로 인해 모든 것이 바뀌었습니다.
1955년에는 미국 전체 가정의 절반이 텔레비전을 보유했습니다.

사진에는 남자, 여자, 십대 소녀 세 명, 소년이 거실에 앉아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1958년 미국의 한 가족이 텔레비전 앞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프로그램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저녁을 먹기 위해 모였습니다. 작은 접이식 트레이
테이블과 냉동 'TV 만찬'의 마케팅이 그러한 행동을 장려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OpenStax College.
상황 코미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게임 쇼, 연속극, 토크쇼, 의료 드라마, 어드벤처
시리즈, 만화, 경찰 절차 등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이 소수의 주요 네트워크에서
방송되었습니다.
많은 코미디가 백인 교외 가족 생활의 이상화된 이미지를 제시했습니다. 행복한 주부
어머니, 현명한 아버지, 장난스럽지만 위험할 정도로 반항적이지 않은 아이들은
1950년대 후반 Leave It to Beaver 및 Father Knows Best와 같은 쇼에서 꾸준히
등장했습니다. 이 쇼는 또한 개인주의와 가족의 가치에 대한 특정 관점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가치는 공산주의 집단주의에 반대하여 "미국적" 가치로
재정의되었습니다.
위험에 맞서는 화합과 적대적인 환경에서 살아남는 능력을 강조하는 서양인들도
인기를 끌었습니다. 어린이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프로그램은 베이비붐 세대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고안된 Captain Kangaroo, Romper Room 및 The Mickey Mouse
Club과 같은 쇼와 함께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Overview

● Though the 1950s was in many ways a period of conformity with traditional
gender roles, it was also a decade of change, when discontent with the status
quo was emerging.
● Popular culture and the mass media reinforced messages about traditional
gender roles, consumer culture, and the Cold War ideal of domesticity, but
the reality of women’s lives did not always reflect these ideals.
● African American women faced particular difficulties in the pursuit of postwar
material abundance and the “American dream.” Popular portrayals of ideal
femininity and home life ignored the lives of minority women and families.

Conformity and the 1950s

The 1950s is often viewed as a period of conformity, when both men and women
observed strict gender roles and complied with society’s expectations. After the
devastation of the Great Depression and World War II, many Americans sought to
build a peaceful and prosperous society. However, even though certain gender roles
and norms were socially enforced, the 1950s was not as conformist as is sometimes
portrayed, and discontent with the status quo bubbled just beneath the surface of the
placid peacetime society. Although women were expected to identify primarily as
wives and mothers and to eschew work outside of the home, women continued to
make up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postwar labor force. Moreover, the 1950s
witnessed significant changes in patterns of sexual behavior, which would ultimately
lead to the “sexual revolution” of the 1960s.

Changing social trends following World War II

Demobilization at the end of World War II brought a great many changes. Millions of
women who had joined the workforce during the war were displaced by returning
soldiers. Messages in popular culture and the mass media encouraged these women
to give up their jobs and return quietly to domestic life. Most women, however,
wished to keep their jobs, and thus women made up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peacetime labor force.

During the 1950s, marriage and homeownership rates skyrocketed, so there is no


doubt that many Americans were content to pursue the “American dream.” These
trends were aided by suburbanization and the mass production of automobiles. Cars
allowed Americans who lived in the suburbs to commute easily into urban areas for
work. Cars not only changed work and housing patterns, but also facilitated the rise
of new sexual norms. They provided young couples with a place to spend time
together alone, away from the prying eyes of parents and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in turn, led to a rise in premarital sex and birth rates. Thus, patterns
of sexual behavior were changing even as the traditional ideal continued to insist
upon marriage before sex.

Between 1946 and 1964, the largest generation of Americans, known as the baby
boomers, was born. This demographic trend in turn reinforced women’s identities as
wives and mothers. Despite societal norms that encouraged women to stay in the
home and out of the workplace, approximately forty percent of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at least half of women with older children, chose to remain in the work
force.

Cold War domesticity and popular culture

Gender roles in the 1950s wer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Cold War. The term
nuclear family emerged to describe and encourage the stability of the family as the
essential building block of a strong and healthy society. In this view, a woman played
a crucial role in waging the Cold War, by keeping the family unit strong and intact.
She could do this best, it was thought, by remaining at home to take care of her
husband and children, and refusing to pursue a career. Thus was a link forged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national security.

Moreover, because the Cold War was also a competition between two very different
economic systems, the virtues of capitalism were touted as proving the superiority of
the United States over the Soviet Union. Capitalism revolved around the exchange of
goods and services in the marketplace, and so identifying with consumer culture
became a way of waging the Cold War. Women, traditionally expected to do most of
the shopping for the household, were encouraged to identify as patriotic Americans
by being savvy consumers.

Black-and-white photograph depicting actress Lucille Ball with husband and actor
Desi Arnaz. Ball is holding a finger to her lips and opening her eyes very wide, and
Arnaz is making an exaggerated pout. The photograph emphasizes their silly
personalities.

Black-and-white photograph depicting actress Lucille Ball with husband and actor
Desi Arnaz. Ball is holding a finger to her lips and opening her eyes very wide, and
Arnaz is making an exaggerated pout. The photograph emphasizes their silly
personalities.
Publicity photograph of Lucille Ball and Desi Arnaz. I Love Lucy both confirmed and
undermined 1950s gender norms for white women, as Ball herself was a successful
entertainer but her on-screen character repeatedly failed at working outside the
home.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The norms of consumer culture and domesticity were disseminated via new and
popular forms of entertainment – not just the television, which became a fixture in
middle-class American households during the 1950s, but also women’s magazines,
popular psychology, and cinema.

Shows promoting the values of domesticity, like Leave it to Beaver and Father
Knows Best, became especially popular. These shows portrayed the primary roles of
women as wives and mothers. Lucille Ball, in I Love Lucy, inevitably met with
disaster whenever she pursued job opportunities or interests that took her outside of
the household.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every episode revolved around
Lucy’s attempts to pursue outside interests indicated her discontent with remaining
at home.

Moreover, Lucille Ball, while playing the role of a hapless housewife on TV, was in
reality a highly successful actress and producer, and thus challenged society’s
expectations of women.

African American women in the 1950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ideal of domesticity was primarily aimed at


middle-class white women. African American women, as well as women of lower
socioeconomic standing, were not portrayed in popular culture as wives and
mothers; in fact, these women were hardly portrayed at all. Although African
Americans have been hugely influential in popular culture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the 1950s were a very “whitewashed” decade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ss media.

Additionally, many African American women were forced by economic necessity to


work outside of the home, and were thus excluded from the postwar ideal of
domesticity.

개요
1950년대는 여러 면에서 전통적인 성 역할을 준수하는 시기였지만, 현상 유지에 대한
불만이 대두되는 변화의 10년이기도 했습니다.
대중문화와 대중매체는 전통적인 성역할, 소비문화, 냉전 시대 가정생활의 이상에
대한 메시지를 강화했지만, 여성의 삶의 현실은 항상 이러한 이상을 반영하지는
않았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은 전후 물질적 풍요와 '아메리칸 드림'을 추구하는 데
특별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상적인 여성성과 가정생활에 대한 대중적인 묘사는
소수자 여성과 가족의 삶을 무시했습니다.
적합성과 1950년대
1950년대는 남성과 여성 모두 엄격한 성역할을 준수하고 사회의 기대에 부응했던
순응의 시대로 흔히 평가됩니다.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의 황폐화 이후, 많은
미국인들은 평화롭고 번영하는 사회를 건설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특정 성
역할과 규범이 사회적으로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는 때때로 묘사되는
것처럼 순응적이지 않았으며, 평화로운 사회의 표면 바로 아래에는 현상 유지에 대한
불만이 솟아올랐습니다. 여성은 주로 아내와 어머니로 정체화하고 집 밖에서의 일을
기피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여성은 전후 노동력에서 계속해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더욱이 1950년대에는 성적 행동 패턴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이는 궁극적으로 1960년대의 '성 혁명'으로 이어졌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 동향의 변화
제2차 세계대전 말의 동원 해제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전쟁 중에 노동력에
합류했던 수백만 명의 여성들이 귀환한 군인들에 의해 강제 이주되었습니다.
대중문화와 대중매체의 메시지는 이들 여성들이 직장을 그만두고 조용히 가정생활로
복귀하도록 장려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성은 직업을 유지하기를 원했고,
따라서 여성은 평시 노동력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1950년대에는 결혼율과 주택 소유율이 급증했기 때문에 많은 미국인들이 "아메리칸
드림"을 추구하는 데 만족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교외화와 자동차 대량 생산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자동차는 교외에 사는 미국인들이
직장을 위해 도시 지역으로 쉽게 통근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자동차는 일과 주거
패턴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성적 규범의 등장을 촉진했습니다. 그들은
젊은 커플들에게 부모와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엿보는 시선에서 벗어나 혼자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를 제공했습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혼전 성관계와 출산율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성관계 전 결혼을 계속 주장하는 전통적인 이상에도
불구하고 성적 행동의 패턴은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1946년부터 1964년 사이에 베이비 붐 세대로 알려진 미국인의 가장 큰 세대가
탄생했습니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추세는 결국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여성의
정체성을 강화했습니다. 여성이 집에 머물고 직장에 나가도록 장려하는 사회적
규범에도 불구하고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약 40%, 나이가 많은 자녀를 둔 여성의
최소 절반 이상이 직장에 남아 있기를 선택했습니다.

냉전 시대의 가정성과 대중문화


1950년대의 성 역할은 냉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핵가족이라는 용어는
강하고 건강한 사회의 필수 구성 요소로서 가족의 안정성을 설명하고 장려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성은 가족 단위를 강하고 온전하게 유지함으로써
냉전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녀는 집에 남아 남편과 아이들을
돌보고 직업 추구를 거부함으로써 이 일을 가장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성 역할과 국가 안보 사이에 연결 고리가 형성되었습니다.
더욱이 냉전은 서로 매우 다른 두 경제 체제 간의 경쟁이기도 했기 때문에 자본주의의
미덕은 소련에 대한 미국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선전되었다. 자본주의는
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교환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따라서 소비자 문화와
동일시하는 것이 냉전을 수행하는 방법이 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가족을 위해
대부분의 쇼핑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여성들은 현명한 소비자가 됨으로써 애국적인
미국인으로 인식되도록 장려되었습니다.
남편이자 배우인 Desi Arnaz와 함께 여배우 Lucille Ball을 묘사한 흑백 사진. 볼은
입술에 손가락을 대고 눈을 크게 뜨고 있고, 아르나즈는 과장된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사진은 이들의 엉뚱한 성격을 강조한다.
남편이자 배우인 Desi Arnaz와 함께 여배우 Lucille Ball을 묘사한 흑백 사진. 볼은
입술에 손가락을 대고 눈을 크게 뜨고 있고, 아르나즈는 과장된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사진은 이들의 엉뚱한 성격을 강조한다.
Lucille Ball과 Desi Arnaz의 홍보 사진. I Love Lucy는 1950년대 백인 여성에 대한
성별 규범을 확인하기도 하고 훼손하기도 했습니다. Ball 자신은 성공적인
연예인이었지만 그녀의 화면 속 캐릭터는 집 밖에서 일하는 데 반복적으로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소비자 문화와 가정생활의 규범은 1950년대 미국 중산층 가정의 고정 장치가 된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여성 잡지, 대중 심리학, 영화 등 새롭고 대중적인 형태의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전파되었습니다.

Beaver에게 맡기세요, Father Knows Best 등 가정의 가치를 홍보하는 프로그램이


특히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쇼는 아내와 어머니로서 여성의 주요 역할을
묘사했습니다. I Love Lucy의 Lucille Ball은 직업 기회를 추구하거나 집 밖에서 관심을
가질 때마다 필연적으로 재난에 직면했습니다. 반면에, 모든 에피소드가 Lucy가 외부
이익을 추구하려는 시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사실은 그녀가 집에 머무르는 것에
대한 불만을 나타냅니다.

더욱이 루실 볼은 TV에서 불운한 주부 역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매우 성공한


배우이자 프로듀서였으며, 이로써 여성에 대한 사회의 기대에 도전했다.
195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
가정생활의 이상은 주로 중산층 백인 여성을 겨냥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과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여성은 대중
문화에서 아내와 어머니로 묘사되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 여성들은 거의 묘사되지
않았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20세기 내내 대중문화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쳤지만, 1950년대는 대중매체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백화'된 10년이었습니다.

게다가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은 경제적 필요성으로 인해 집 밖에서 일해야


했고, 이로 인해 전후 가정생활의 이상에서 배제되었습니다.

Overview
● The Civil Rights Movement is an umbrella term for the many
varieties of activism that sought to secure full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rights for African Americans in the period from
1946 to 1968.
● Civil rights activism involved a diversity of approaches, from
bringing lawsuits in court, to lobbying the federal government,
to mass direct action, to black power.
● The efforts of civil rights activists resulted in many substantial
victories, but also met with the fierce opposition of white
supremacists.

The emergence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Civil Rights Movement did not suddenly appear out of
nowhere in the twentieth century.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frican Americans are as old as the United States. By the
time of the American Revolutio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bolitionists were already working to eliminate racial injustice and
bring an end to the institution of slavery.

During the Civil War, President Abraham Lincoln issued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which was codified into law as the
Thirteenth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The Thirteenth
Amendment officially outlawed slavery and went into effect in 1865.

After the Civil War, during the period known as Reconstruction, the
passage of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Amendments established
a legal foundation for the political equality of African Americans.
Despite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legal gains for African
Americans, racial segregation known as Jim Crow arose in the
South.

Jim Crow segregation meant that Southern blacks would


continue to live in conditions of poverty and inequality, with white
supremacists denying them their hard-won political rights and
freedoms.
"Colored" waiting room at the Durham, North Carolina bus station, May 1940. Photograph
by Jack Delano. Image courtesy Library of Congress.

The twentieth-century Civil Rights Movement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unfulfilled promises of emancipation, partly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s of black soldiers in the Second World War.
African Americans fought in a segregated military while being
exposed to US propaganda emphasizing liberty, justice, and
equality. After fighting in the name of democracy in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many African American veterans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determined to achieve the rights and prerogatives of
full citizenship.

The Civil Rights Movement involved many different strategies and


approaches, including legal action,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and black militancy.

Civil rights and the Supreme Court


One of the earliest approaches was centered in the courts.
Spearhead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NAACP), this strategy initiated lawsuits to
undermine the legal foundation of Jim Crow segregation in the
South. The landmark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ruling
held that separate facilities were inherently unequal and thereby
declared segregation in public education to be unconstitutional.

While the Supreme Court decision was a major victory for civil
rights, white supremacists in the South pledged "massive
resistance" to desegregation. In response to Brown v. Board, a
group of Southern congressmen issued the “Southern manifesto,”
denouncing the court’s decision and pledging to resist its
enforcement. Ultimately, federal intervention was required to
implement the ruling.

Nonviolent protest and civil disobedience


With authorities in the South actively resisting court orders to
desegregate, some leader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turned to
direct action and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Civil rights activists
launched the Montgomery Bus Boycott in 1955, after Rosa Parks
refused to vacate her seat on the bus for a white person. Martin
Luther King, Jr. emerged as a leader of the boycott, which was the
first mass direct action of the contemporary Civil Rights Movement
and provided a template for the efforts of activists across the
country.

Religious groups such as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SCLC), student organizations like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SNCC), and labor unions
such as the 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FL-CIO), all took
part in massive protests to raise awareness and to accelerate the
momentum for passage of federal civil rights legislation. The March
on Washington for Jobs and Freedom was the largest civil rights
protest in US history, and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and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Mass direct action was highly effective, particularly due to
widespread news media coverage of nonviolent protestors being
harassed and physically beaten by law enforcement officers.

Black Power
Although comprehensive civil rights legislation represented a major
victory for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obstinacy of the white
power structure in the South convinced some black activists that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was insufficient. Some African
Americans were also concerned about the presence of so many
northern middle-class whites in the movement. The Freedom
Summer of 1964, during which northern white college students
joined black activists in a voter registration drive in the South, was
seen by some as an attempt to impose white leadership onto the
Civil Rights Movement.

As a response to the continued power of whites,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movement, a more militant variety of civil rights
activism emerged. One of its most influential proponents was
Malcolm X, born Malcolm Little, who advocated black self-reliance,
cultural pride, and self-defense in the face of racial violence. The
approach that Malcolm X spearheaded came to be known as Black
Power, and it gained many adherents after the assassination of
Martin Luther King, Jr. in 1968 at the hands of James Earl Ray, an
escaped convict and white supremacist. Stokely Carmichael of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and the Black Panther
Party were among the most vocal proponents of Black Power after
the assassination of Malcolm X in 1965.

The unfinished busines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Civil Rights Movement racked up many notable victories, from
the dismantling of Jim Crow segregation in the South, to the
passage of federal legislation outlawing racial discrimination, to the
widespread awareness of the African American cultural heritage
and its unique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The
2008 election of the nation’s first African American president,
Barack Obama, was a striking indication of just how far the struggle
for equality has come.

Yet other indicators reveal that there is still much work to do.

The goal of ful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quality still has not
been reached. African Americans continue to be incarcerated at a
rate greatly disproportionate to their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Black men are the most frequent victims of police brutality, while
poverty rates among black children and families are higher than
among either whites or Latinos. Stereotypical portrayals of African
Americans remain prevalent in popular culture. Many black
Americans suffer from poor access to social services and from
systemic inequalities in institutions like public education.

As successful as the Civil Rights Movement was, there still remains


unfinished business in the struggle for full equality.

개요
시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은 1946년부터 1968년까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완전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 다양한 활동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민권 운동에는 법정 소송 제기부터 연방 정부에 대한 로비, 대규모 직접 행동, 흑인
권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접근 방식이 포함되었습니다.
민권 운동가들의 노력은 많은 실질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맹렬한 반대에도 부딪혔습니다.
민권운동의 등장
민권운동은 20세기에 갑자기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닙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려는 노력은 미국만큼이나 오래되었습니다. 18세기 후반 미국 혁명
당시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은 이미 인종적 불의를 제거하고 노예 제도를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남북전쟁 중에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노예해방 선언문을 발표했고, 이는 미국


수정헌법 제13조로 성문화되었습니다. 수정헌법 제13조는 공식적으로 노예제도를
불법화하고 1865년에 발효되었습니다.
남북전쟁 이후 재건 기간 동안 수정헌법 제14조와 제15조가 통과되면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정치적 평등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노예 제도가 폐지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법적 이득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남부에서는 짐 크로우(Jim
Crow)로 알려진 인종 차별이 일어났습니다.
짐 크로우(Jim Crow) 인종 분리는 남부 흑인들이 계속해서 가난과 불평등의
조건에서 살게 되었으며, 백인 우월주의자들은 그들이 힘들게 얻은 정치적 권리와
자유를 부정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1940년 5월, 노스캐롤라이나 주 더럼 버스 정류장의 "유색" 대기실. 사진: Jack


Delano. 이미지 제공: 의회 도서관.
20세기 민권 운동은 이행되지 않은 해방 약속에 대한 대응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흑인 군인들의 경험의 결과였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자유, 정의, 평등을 강조하는 미국의 선전에 노출되면서 분리된 군대에서
싸웠습니다. 전 세계 다른 나라에서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싸운 후,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퇴역 군인들이 완전한 시민권의 권리와 특권을 획득하기로 결심하고 미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민권 운동에는 법적 조치, 비폭력 시민 불복종, 흑인 전투 등 다양한 전략과 접근


방식이 포함되었습니다.
민권과 대법원
가장 초기의 접근 방식 중 하나는 법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전국유색인종향상협회(NAACP)가 주도한 이 전략은 남부의 짐 크로우(Jim Crow)
인종차별의 법적 기반을 훼손하기 위한 소송을 시작했습니다. 획기적인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판결은 분리된 시설은 본질적으로 불평등하며 공교육에서의
분리는 위헌이라고 선언했습니다.

대법원 판결이 민권의 큰 승리인 반면, 남부의 백인 우월주의자들은 인종차별 철폐에


대한 '대규모 저항'을 약속했습니다. 브라운 대 보드(Brown v. Board)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남부 의원 그룹은 법원의 결정을 비난하고 그 집행에 저항할 것을 다짐하는
"남부 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궁극적으로 판결을 이행하려면 연방정부의 개입이
필요했습니다.
비폭력 시위와 시민 불복종
남부 당국이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법원 명령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자 민권 운동의
일부 지도자들은 직접적인 행동과 비폭력적인 시민 불복종으로 전환했습니다. 민권
운동가들은 1955년 로자 파크스가 백인을 위해 버스 자리를 비워주는 것을 거부하자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시작했습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는
보이콧의 지도자로 등장했습니다. 보이콧은 현대 민권 운동의 최초 대규모 직접
행동이자 전국 활동가들의 노력에 대한 본보기를 제공했습니다.
SCLC(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 등 종교단체, SNCC(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 등
학생단체, AFL-CIO(미국노동연맹) 등 노동조합 등이 대규모 시위에 참여해 인식을
제고했다. 연방 민권법 통과의 추진력을 가속화합니다.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워싱턴
행진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권 시위였으며, 1964년 민권법과 1965년
투표권법의 성공적인 시행에 기여했습니다.
대규모 직접행동은 특히 비폭력 시위자들이 법집행관들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고
신체적 구타를 당하고 있다는 뉴스 매체가 널리 보도되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블랙 파워
포괄적인 민권 법안이 민권 운동의 큰 승리를 의미했지만, 남부의 백인 권력 구조의
완고함은 일부 흑인 운동가들에게 비폭력적인 시민 불복종으로는 불충분하다고
확신시켰습니다. 일부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또한 이 운동에 너무 많은 북부 중산층
백인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북부 백인 대학생들이 남부 유권자 등록
운동에서 흑인 활동가들과 합류한 1964년 자유 여름은 일부 사람들에게 민권 운동에
백인 리더십을 강요하려는 시도로 여겨졌습니다.
운동 안팎에서 계속되는 백인들의 힘에 대한 대응으로 더욱 전투적이고 다양한 민권
운동이 등장했습니다. 가장 영향력 있는 지지자 중 한 명은 인종 폭력에 맞서 흑인
자립, 문화적 자부심, 자기 방어를 옹호한 말콤 리틀(Malcolm Little)에서 태어난 말콤
X(Malcolm X)였습니다. Malcolm X가 주도한 접근 방식은 블랙 파워(Black Power)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1968년 탈출한 죄수이자 백인 우월주의자인 제임스 얼
레이(James Earl Ray)의 손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가 암살된
이후 많은 추종자를 얻었습니다.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의 스토클리 카마이클(Stokely Carmichael)과 블랙 팬서
파티(Black Panther Party)는 1965년 말콤 X 암살 이후 블랙 파워를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한 사람들 중 하나였습니다.

민권운동의 끝나지 않은 사업
민권 운동은 남부의 짐 크로우(Jim Crow) 인종 차별 철폐에서부터 인종 차별을
불법화하는 연방 법안의 통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문화 유산에 대한 널리 인식과
역사에 대한 그 고유한 기여에 이르기까지 많은 주목할만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미국. 2008년 미국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의 당선은 평등을
위한 투쟁이 얼마나 멀리까지 왔는지를 보여주는 놀라운 지표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지표들은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완전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평등이라는 목표는 아직 달성되지 않았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인구 비율에 비해 훨씬 불균형한 비율로 계속해서 투옥되고
있습니다.

흑인 남성은 경찰 폭력의 가장 빈번한 피해자이며, 흑인 어린이와 가족의 빈곤율은


백인이나 라틴계보다 높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적인 묘사는
대중문화에서 여전히 널리 퍼져 있습니다. 많은 흑인 미국인은 사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 공교육과 같은 기관의 체계적 불평등으로 고통 받고 있습니다.

민권 운동이 성공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평등을 위한 투쟁에는 아직 끝나지


않은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Overview
● The experiences of African American soldiers during World
War II inspired many of them to agitate for civil rights when
they returned to civilian life. Even though black soldiers faced
discrimination from within the American military, they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societies where Jim Crow racism was
not the law of the land.
● Black soldiers hoped that their military service would serve as
a powerful claim to equal citizenship for African Americans.
When they came home, however, they encountered fierce
resistance from white supremacists determined to reassert the
prewar racial order.
● Many prominent civil rights activists were drawn from the
ranks of veterans, including Brown v. Board of Education
plaintiff Oliver Brown and NAACP field officers Medgar Evers
and Amzie Moore.

African Americans in World War II


More than a million African Americans served in the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during World War II. As for most American men
and women who served, the war was a major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they traveled across the country and the world, met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nd learned new skills.
Poster featuring Dorie Miller, who displayed extraordinary heroism at Pearl Harbor. Poster
by David Stone Martin, published by the Office of War information. Image courtesy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For African Americans and other minorities, however, the war


experience took on the extra dimension of race. Throughout the
war, black soldiers often faced as much hostility from their white
comrades-in-arms as they did from enemy combatants. At army
training camps in the South, African Americans found themselves in
segregated units, receiving fewer privileges than prisoners of war.
In the field, black soldiers generally were relegated to menial jobs
as janitors and cooks.

One such individual, Dorie Miller, was serving as a Mess Attendant,


Third Class on the battleship West Virginia when Japanese forces
attacked Pearl Harbor. Though he had only a cook's training, Miller
stepped up to fire an anti-aircraft machine gun during the attack,
and went on to save several injured men. But when reports of the
day's heroes emerged, the Navy refused to identify Miller as
anything more than "an unnamed Negro messman."

Thanks to the advocacy of the NAACP and the black press, Miller
eventually was nominated for the Congressional Medal of Honor.
Sadly, he died in the line of duty before he could receive the award.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war also afforded African American


soldiers a look at the world outside of the United States. Many black
soldiers came from impoverished rural towns in the South, and the
war gave them the opportunity to live in countries where there was
no such thing as segregation and meet people who did not treat
them as less than human based on the color of their skin.
Black veterans return home
Black servicemen dedicated themselves to advancing not only the
cause of Allied victory in World War II, but also the cause of civil
rights at home. This dual enterprise to achieve victory over fascism
and victory over racism was deemed the "Double V" campaign by
the Pittsburgh Courier, a prominent black newspaper. African
Americans, both in and out of uniform, hoped that valorous service
to the nation would forge a pathway to equal citizenship.

Unfortunately, white supremacists had other ideas. Black veterans


were cautioned against wearing their uniforms in public, lest they
project an unseemly sense of pride and dignity. Mississippian
Amzie Moore returned to his hometown to find that white citizens
even had organized a 'home guard' to protect white women from
black veterans. Several returning black servicemen were murdered,
as a warning to others who might try to step out of line.

Veterans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ir experiences on the battlefield, however, had inured many
black veterans to the threat of violence. After being immersed in
propaganda touting the virtues of American democracy, African
American veterans returned home determined to exercise their right
to vote. According to Louisianan William Bailey, "After getting out of
the service, knowing the price that I had paid and the problems I
had faced . . . why shouldn't I exercise the rights and privileges of
any citizen? . . . If I could go over there and make a sacrifice with
my life I was willing to do it here."

Medgar Evers, field secretary of the NAACP in Mississippi, worked on the Emmett Till trial
and championed desegregation. Evers was assassinated in 1963 by a white supremacist.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Other veterans were similarly determined to make the freedoms


they had fought for abroad a reality at home. Mississippian Medgar
Evers, for example, convinced a group of young black veterans to
go to the courthouse and try to register to vote in 1946 (they were
turned away by an mob of armed white men). Evers also tried to
integrate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law school, which refused to
admit him on racial grounds. Instead of pursuing a career as a
lawyer, Evers became the NAACP's first field secretary in
Mississippi. Along with Amzie Moore, he interviewed witnesses and
aided reporters during the Emmett Till trial. One civil rights
organizer noted that he specifically recruited veterans for his
chapter of the NAACP because they "don't scare easy."

Black veterans went on to become key players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from Till and Moore to Oliver Brown, the chief plaintiff in
the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Supreme Court Case.

개요
제2차 세계대전 중 아프리카계 미국인 군인들의 경험은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민간인 생활로 복귀했을 때 시민권을 위해 선동하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흑인
군인들은 미군 내부로부터 차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짐 크로우(Jim Crow)
인종차별이 국법이 아닌 사회를 관찰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흑인 군인들은 그들의 군 복무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동등한 시민권에 대한 강력한
주장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집에 돌아왔을 때, 그들은 전쟁 전의 인종
질서를 다시 주장하려는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습니다.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의 원고인 올리버 브라운(Oliver Brown)과 NAACP 현장
담당관인 메드가 에버스(Medgar Evers) 및 암지 무어(Amzie Moore)를 포함하여 많은
저명한 민권 운동가들이 퇴역 군인 출신이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백만 명이 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미국 군대에
복무했습니다. 복무한 대부분의 미국 남성과 여성에게 있어서 전쟁은 그들의 삶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미국 전역과 세계를 여행하고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만났으며 새로운 기술을 배웠습니다.

진주만에서 남다른 영웅적 행위를 보여준 도리 밀러(Dorie Miller)의 포스터. Office of


War Information에서 출판한 David Stone Martin의 포스터. 이미지 제공:
국립문서기록관리청.
그러나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기타 소수민족의 경우 전쟁 경험은 인종이라는 추가적인
차원을 차지했습니다. 전쟁 내내 흑인 군인들은 적군 전투원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백인 전우들로부터도 많은 적대감을 느꼈습니다. 남부의 군대 훈련 캠프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분리된 부대에 배치되어 전쟁 포로보다 적은 특권을
받았습니다. 현장에서 흑인 군인은 일반적으로 관리인과 요리사라는 비천한 직업으로
강등되었습니다.

일본군이 진주만을 공격했을 때 도리 밀러(Dorie Miller)라는 사람은 전함 웨스트


버지니아(West Virginia)에서 3급 승무원으로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요리사
훈련만 받았지만 공격 중에 대공 기관총을 발사하기 위해 나섰고 계속해서 부상당한
여러 사람을 구했습니다. 그러나 그날의 영웅들에 대한 보고가 나왔을 때, 해군은
밀러를 "이름 없는 흑인 잡역부" 이상으로 식별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NAACP와 흑인 언론의 옹호 덕분에 Miller는 결국 의회 명예 훈장 후보로


지명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는 상을 받기 전에 임무 중 사망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군인들에게 미국 밖의
세계를 살펴볼 기회도 제공했습니다. 많은 흑인 군인들이 남부의 가난한 시골
마을에서 왔고, 전쟁은 그들에게 인종 차별이 없는 나라에서 살 수 있는 기회를 줬고,
피부색에 따라 그들을 인간 이하로 대하지 않는 사람들을 만날 기회를 주었습니다. .

흑인 참전용사들이 집으로 돌아왔다


흑인 군인들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의 승리뿐 아니라 국내 시민권 증진을 위해
헌신했습니다. 파시즘에 대한 승리와 인종차별에 대한 승리를 위한 이 이중 사업은
저명한 흑인 신문인 피츠버그 쿠리어(Pittsburgh Courier)에 의해 '더블 V' 캠페인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제복을 입든 벗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국가에 대한 용감한
봉사가 평등한 시민권을 획득하는 길을 열어주기를 바랐습니다.

불행하게도 백인 우월주의자들은 다른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흑인 퇴역군인들은


부적절한 자부심과 위엄을 드러내지 않도록 공공장소에서 제복을 입지 않도록 주의를
받았습니다. 미시시피 출신인 앰지 무어(Amzie Moore)는 고향으로 돌아와 백인
시민들이 흑인 퇴역군인으로부터 백인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가정 경비원'을
조직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귀환한 흑인 군인 몇 명이 살해되었는데, 이는
줄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경고였습니다.

재향 군인과 민권 운동
그러나 전장에서의 그들의 경험은 많은 흑인 퇴역 군인들을 폭력의 위협에 빠지게
만들었습니다. 미국 민주주의의 미덕을 선전하는 선전 활동에 푹 빠진 아프리카계
미국인 참전용사들은 투표권을 행사하겠다는 각오로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루이지애나의 William Bailey에 따르면, "군에서 제대하고 나서 내가 지불한 대가와
내가 직면한 문제를 알게 된 후에... 왜 시민의 권리와 특권을 행사해서는 안 될까요?...
만약 제가 할 수 있다면... 거기 가서 목숨을 걸고 희생하겠다. 여기서는 기꺼이
하겠다”고 말했다.

미시시피 주 NAACP 현장 비서인 Medgar Evers는 Emmett Till 재판에 참여하고 인종


차별 철폐를 옹호했습니다. 에버스는 1963년 백인 우월주의자에 의해 암살됐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다른 퇴역군인들도 해외에서 투쟁한 자유를 국내에서 현실로 만들겠다고 비슷하게
결심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시시피 출신의 메드가 에버스(Medgar Evers)는
1946년에 젊은 흑인 재향 군인 그룹을 설득하여 법원에 가서 유권자 등록을 하려고
했습니다(그들은 무장한 백인 군중에 의해 거절당했습니다). Evers는 또한 미시시피
대학교 법을 통합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인종차별을 이유로 입학을 거부한 학교. 변호사로서의 경력을 추구하는 대신 Evers는
미시시피에서 NAACP의 첫 현장 비서가 되었습니다. Amzie Moore와 함께 그는
Emmett Till 재판 기간 동안 증인을 인터뷰하고 기자를 도왔습니다. 한 민권 운동가는
자신이 속한 NAACP 지부에 퇴역 군인들이 "쉽게 겁을 내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모집했다고 언급했습니다.

흑인 퇴역 군인들은 Till과 Moore부터 토피카 대법원 소송의 Brown 대 교육위원회


사건의 주요 원고인 Oliver Brown에 이르기까지 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되었습니다.

Overview
● In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1954) a
unanimous Supreme Court declared that racial segregation in
public schools is unconstitutional.
● The Court declared “separate” educational facilities “inherently
unequal.”
● The case electrified the nation, and remains a landmark in
legal history and a milestone in civil rights history.

A segregated society
An 1896 Supreme Court decision, Plessy v. Ferguson, had
declared “separate but equal” Jim Crow segregation legal. The
Plessy ruling asserted that so long as purportedly “equal”
accommodations were supplied for African Americans, the races
could, legally, be separated. In consequence, “colored” and “whites
only” signs proliferated across the South at facilities such as water
fountains, restrooms, bus waiting areas, movie theaters, swimming
pools, and public schools.

Learn more about Jim Crow

Despite the claim that black schools were equal to white schools,
schools for black children frequently lacked even basic necessities.
In South Carolina, black children attended schools without running
water, flush toilets, or electricity. In one county, $149 was spent per
year on each white student, but only $43 on each black student. In
Delaware, black students attended a poorly-equipped one-room
schoolhouse, while a well-equipped white school existed nearby. In
Virginia, a black high school at the center of the case was
overcrowded and was without a cafeteria or gym; the same was not
true at the local white school.
In 1950s America segregation was largely, though not exclusively, a
southern practice. Every state in the South mandated school
segregation, and ten other states outside of the South either
permitted or required segregation in public schools.

Map of the United States indicating the states where school


segregation was required, optional, forbidden, or unaffected by
legislation. Segregation was required in all states of the Deep and
Upper South, and optional in Arizona, New Mexico, Kansas, and
Wyoming.
Map of school segregation laws in each state before the Brown v. Board decision. Map
adapted from Wikimedia Commons.

The Brown v. Board of Education case


Linda Brown, a third grader, was required by law to attend a school
for black children in her hometown of Topeka, Kansas. To do so,
Linda walked six blocks, crossing dangerous railroad tracks, and
then boarded a bus that took her to Monroe Elementary. Yet, only
seven blocks from her house was Sumner Elementary, a school
attended by white children, and which, save for segregation, Linda
would otherwise have attended.

The Topeka, Kansas chapter of the NAACP recruited Linda’s father,


Oliver Brown, along with a dozen other local black parents, to file
suit against the Topeka Board of Education in 1951. By the time the
case made it to the US Supreme Court in 1954, it had been
combined with four other similar school segregation cases into a
single unified case.

Thurgood Marshall, the NAACP, and the


Supreme Court
The NAACP’s chief counsel, Thurgood Marshall, led a team of
attorneys to argue the unified case in Brown v. Board before the
Supreme Court.
The NAACP had been challenging segregation laws for many years
prior to Brown. Marshall’s predecessor and mentor, Charles
Hamilton Houston, had won several smaller lawsuits targeting
segregation in education in the 1930s. In 1950, Marshall had won a
case before the Supreme Court, Sweatt v. Painter, in which the
Court had ruled that a Texas law school purporting to offer black
students an education equal to that which it offered whites was
not—as measured by funding, faculty, or facilities—in fact equal.
(The law school for black students consisted initially of only three
basement classrooms and no library).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Thurgood Marshall taken in 1957.
Thurgood Marshall, the NAACP's chief counsel, argued the Brown v. Board case before
the Supreme Court. Marshall would go on to become the first African American Supreme
Court justice.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After their success in Sweatt, Marshall and the other NAACP


lawyers wanted to find and develop test cases by which means they
could strike at the heart of segregation itself. They wanted the fact
that students were being separated into different schools solely
because of race itself declared unconstitutional. And, in Brown v.
Board, Marshall and his colleagues found five cases through which
they could work to achieve their goal.

Linda Brown’s case was particularly useful to Thurgood Marshall’s


efforts because Monroe Elementary was not underfunded in
comparison to Sumner Elementary. The school Linda attended was
separate, but it was not, measured by funding, unequal. The case
allowed Marshall and the other NAACP lawyers to focus attention
on the question of the constitutionality of segregation itself.

In making the case in Brown, Marshall drew upon the research of


two psychologists, Kenneth and Mamie Clark, to argue that the very
fact black and white children were sent to separate schools
damaged the black children’s self-esteem, stigmatized them, and
adversely shaped their self-imag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Separate schools, Marshall argued, made plain to black children
that they were deemed unworthy of being educated in the same
classrooms as white children; school segregation reinforced notions
of difference and inequality associated with race prejudice and
racism.

Separate is "inherently unequal"


In Brown v. Board, the Supreme Court overturned Plessy v.
Ferguson and outlawed segregation. The Court agreed with
Thurgood Marshall and his fellow NAACP lawyers that segregated
schooling violated the 14th Amendment’s guarantee of equal
protection of law. Speaking for a unanimous Court, Chief Justice
Earl Warren wrote, “We conclude that,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the doctrine of ‘separate but equal’ has no place.
Separate educational facilities are inherently unequal.” He added:
“Any language in Plessy v. Ferguson contrary to this finding is
rejected.” The decision challenged de jure segregation of the races,
and electrified the nation. What does 'de jure' mean?

Though the Court’s ruling applied only to public schools, its


declaration that “separate” is “inherently unequal” served as a
reminder that not only in schools, but in all aspects of life, the
separation of black and white Americans signaled an “inherently
unequal” status between them. As such segregation did not
measure up to the nation’s founding ideal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Brown II: Desegregating with "all
deliberate speed”
In the summer of 1955 the Supreme Court issued its
implementation ruling in a decision called Brown II. In Brown II the
Court ordered that schools undertake desegregation with “all
deliberate speed.” But just what the Court meant by “deliberate
speed” came quickly into dispute. White citizens in the South
organized a "Massive Resistance" campaign against integration.

Although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 Brown v. Board was a


major step forward in civil righ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ecision applied only to public schools. Brown v. Board did not
address Jim Crow laws across the South that applied to
restaurants, movie halls, public transportation, and more. Not until
the 1960s--in laws such as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and The Housing Rights Act of 1968—would
these aspects of de jure segregation be put to an end.

개요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1954)에서 대법원은 만장일치로
공립학교에서의 인종 차별이 위헌이라고 선언했습니다.
법원은 “별도의” 교육 시설이 “본질적으로 불평등하다”고 선언했습니다.
이 사건은 온 나라를 감동시켰으며 법률 역사의 랜드마크이자 민권 역사의 이정표로
남아 있습니다.
분리된 사회
1896년 대법원 판결인 플레시 대 퍼거슨(Plessy v. Ferguson)은 짐 크로우(Jim Crow)
인종 분리가 합법이라고 선언했습니다. Plessy 판결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동등한" 편의 시설이 제공되는 한 인종은 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결과, 남부 전역의 분수대, 화장실, 버스 대기실, 영화관, 수영장, 공립학교 등의
시설에 '유색인종' 및 '백인 전용' 표지판이 확산되었습니다.

흑인 학교가 백인 학교와 동등하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흑인 어린이를 위한


학교에는 기본적인 필수품조차 부족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에서는
흑인 어린이들이 수돗물, 수세식 화장실, 전기 없이 학교에 다녔습니다. 한
카운티에서는 백인 학생 1인당 연간 149달러가 지출되었지만 흑인 학생 1인당
43달러만 지출되었습니다. 델라웨어에서는 흑인 학생들이 빈약한 시설의 원룸
학교에 다녔고, 근처에는 시설이 잘 갖춰진 백인 학교가 있었습니다. 버지니아에서는
사건의 중심에 있는 흑인 고등학교가 혼잡했고 구내식당이나 체육관도 없었다. 지역
백인 학교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950년대 미국의 인종차별은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대체로 남부의 관행이었습니다.


남부의 모든 주에서는 학교 분리를 의무화했으며, 남부 이외의 다른 10개 주에서는
공립학교에서 분리를 허용하거나 요구했습니다.

학교 분리가 필수, 선택, 금지 또는 법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주를 나타내는 미국


지도입니다. 딥 사우스(Deep South)와 어퍼 사우스(Upper South)의 모든 주에서는
분리가 필수였으며 애리조나, 뉴멕시코, 캔자스, 와이오밍에서는 선택
사항이었습니다.
학교 분리가 필수, 선택, 금지 또는 법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주를 나타내는 미국
지도입니다. 딥 사우스(Deep South)와 어퍼 사우스(Upper South)의 모든 주에서는
분리가 필수였으며 애리조나, 뉴멕시코, 캔자스, 와이오밍에서는 선택
사항이었습니다.
브라운 대 위원회(Brown v. Board) 판결 이전의 각 주의 학교 분리법 지도. Wikimedia
Commons에서 가져온 지도입니다.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사건
3학년인 린다 브라운(Linda Brown)은 법에 따라 자신의 고향인 캔자스주 토피카에
있는 흑인 어린이를 위한 학교에 다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 Linda는
여섯 블록을 걸어 위험한 철로를 건너 먼로 초등학교로 가는 버스를 탔습니다. 그러나
그녀의 집에서 단 7블록 떨어진 곳에 백인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인 Sumner
초등학교가 있었는데, 인종차별만 없었다면 이 학교에 다녔을 것입니다.
NAACP의 캔자스 주 토피카 지부는 12명의 다른 지역 흑인 부모와 함께 Linda의
아버지인 올리버 브라운(Oliver Brown)을 모집하여 1951년 토피카 교육위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 사건은 1954년 미국 대법원에 제기되었습니다. ,
이는 다른 유사한 학교 분리 사건 4건과 통합되어 하나의 사건으로 통합되었습니다.
Thurgood Marshall, NAACP 및 대법원
NAACP의 수석 변호사인 Thurgood Marshall은 변호사 팀을 이끌고 대법원에서
Brown v. Board의 통합 사건을 주장했습니다.
NAACP는 브라운 이전에 수년 동안 인종차별법에 이의를 제기해 왔습니다.
Marshall의 전임자이자 멘토인 찰스 해밀턴 휴스턴(Charles Hamilton Houston)은
1930년대 교육 부문의 인종 차별을 겨냥한 여러 소규모 소송에서 승리했습니다.
1950년에 마샬은 스웨트 대 페인터(Swett v. Painter) 대법원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흑인 학생들에게 백인들에게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교육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텍사스 로스쿨이 재정 지원 측면에서 볼 때 그렇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 교수진 또는 시설—사실상 동일합니다. (흑인 학생들을 위한
로스쿨은 처음에는 지하 교실이 3개만 있었고 도서관은 없었습니다.)

1957년에 촬영된 Thurgood Marshall의 흑백 사진.


1957년에 촬영된 Thurgood Marshall의 흑백 사진.
NAACP의 수석 변호사인 Thurgood Marshall은 대법원에서 Brown 대 Board 사건을
주장했습니다. 마샬은 계속해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법원 판사가
되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Sweatt에서 성공을 거둔 후 Marshall과 다른 NAACP 변호사들은 인종차별 자체의
핵심을 공격할 수 있는 테스트 케이스를 찾고 개발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들은 단지
인종 자체가 위헌이라고 선언되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다른 학교로 분리된다는 사실을
원했습니다. 그리고 Brown v. Board 사건에서 Marshall과 그의 동료들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사례를 발견했습니다.
Monroe 초등학교는 Sumner 초등학교에 비해 자금이 부족하지 않았기 때문에 Linda
Brown의 사례는 Thurgood Marshall의 노력에 특히 유용했습니다. Linda가 다녔던
학교는 분리되어 있었지만 자금 측면에서 볼 때 불평등하지는 않았습니다. 케이스
알로
Marshall과 다른 NAACP 변호사들은 인종 분리 자체의 합헌성 문제에 관심을
집중했습니다.
브라운 사건에서 마샬은 두 명의 심리학자 케네스 클라크(Kenneth Clark)와 메이미
클라크(Mamie Clark)의 연구를 인용하여 흑인과 백인 어린이들이 서로 다른 학교에
보내졌다는 사실 자체가 흑인 어린이들의 자존감을 손상시키고 낙인을 찍으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습니다. 남은 생애 동안의 자기 이미지. 마샬은
별도의 학교가 흑인 어린이들에게 백인 어린이들과 같은 교실에서 교육받을 가치가
없다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학교 분리는 인종 편견 및 인종 차별과 관련된 차이 및
불평등에 대한 개념을 강화했습니다.

분리는 "본질적으로 불평등하다"


브라운 대 보드(Brown v. Board) 사건에서 대법원은 플레시 대 퍼거슨(Plessy v.
Ferguson) 판결을 뒤집고 인종차별을 불법화했습니다. 법원은 분리된 학교 교육이
법의 평등한 보호를 보장하는 수정헌법 제14조의 보장을 위반했다는 Thurgood
Marshall과 동료 NAACP 변호사들의 의견에 동의했습니다. 얼 워렌(Earl Warren)
대법원장은 만장일치로 법정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우리는 공교육 분야에서
'분리되지만 평등하다'는 원칙은 설 자리가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별도의
교육시설은 본질적으로 불평등하다.” 그는 “이 판결에 반하는 Plessy v. Ferguson
사건의 모든 언어는 거부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결정은 정당한 인종 분리에
도전하고 국가를 감동시켰습니다.
법원의 판결은 공립학교에만 적용되었지만, “분리”는 “본질적으로 불평등하다”는
선언은 학교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측면에서 흑인과 백인 미국인의 분리가
“본질적으로 불평등하다”는 신호임을 상기시켜 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 그들 사이의
상태. 그러한 인종차별은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국가 건국 이념에
부합하지 않았습니다.
브라운 II: "모든 고의적인 속도"로 인종차별 철폐
1955년 여름, 대법원은 Brown II라는 판결로 이행 판결을 내렸습니다. Brown II
사건에서 법원은 학교가 "모든 신중한 속도"로 인종 차별 철폐를 수행하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이 의미한 "고의적 속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빠르게
시작되었습니다. 남부의 백인 시민들은 통합에 반대하는 "대규모 저항" 캠페인을
조직했습니다.

브라운 대 보드(Brown v. Board)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은 민권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이었지만, 이 결정은 공립학교에만 적용되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rown v. Board는 레스토랑, 영화관, 대중 교통 등에 적용되는 남부
전역의 Jim Crow 법률을 다루지 않았습니다. 1960년대가 되어서야 1964년 민권법,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주택권법과 같은 법률이 제정되어 법적 분리의 이러한
측면이 종식되었습니다.

Overview
● In 1955, two white men brutally murdered African American
teenager Emmett Till for reportedly flirting with a white woman
in the town of Money, Mississippi.
● Till's mother Mamie held an open-casket funeral so that the
world could see the violence that murderous racists had
inflicted on her son's body. The funeral drew over 100,000
mourners.
● Till's murderers stood trial one month later, in a case that
received a great deal of media atten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Both men were acquitted.
● Till's death, and the acquittal of his murderers, laid bare the
savagery of racism in the United States and served as an
inspiration to a generation of civil rights activists.

The murder of Emmett Till


In the summer of 1955, fourteen-year-old Emmett Till went to visit
his great-uncle and cousins in the small town of Money, Mississippi.
Till was an African American teenager who had grown up in
Chicago, a fun-loving prankster who "loved to make people laugh,"
according to one friend.

Till was unprepared for the rigidly-maintained racial order in the


South, where blacks were expected to display constant deference
to whites or else face violent reprisal. Three days after he arrived in
Mississippi, Till entered Bryant's Grocery store to buy a pack of
bubblegum. Carolyn Bryant, the white woman who was working
behind the counter, alleged that Till had wolf-whistled at her,
grabbed her around the waist and uttered obscenities. More than
fifty years later, Bryant admitted that she fabricated this story and
lied under oath about their encounter.

Bryant told her husband, Roy Bryant, that Till had made sexual
advances toward her. Four days later he and his half-brother J.W.
Milam kidnapped Till from his great-uncle's house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y beat the fourteen year old boy mercilessly, gouged
out one of his eyes, and then shot and killed him. They tied his body
to a large industrial fan and dumped him in the nearby Tallahatchie
River.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Emmett Till, wearing a collared shirt
and a hat.

Emmett Till, a fourteen-year-old African American boy, was brutally murdered by two
white men in Mississippi in 1955.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When Till's corpse was salvaged from the river three days later, he
was recognizable only by the ring he wore, which had belonged to
his father. His remains were sent to his mother with the coffin nailed
shut.
Till's funeral
It's likely that Till's murder, like those of so many other African
Americans during the Jim Crow era, would have gone virtually
unnoticed, if his mother Mamie Bradley had not made the brave
decision to hold an open-casket funeral. Jet magazine published
pictures of Bradley with her son's mutilated corpse, which excited
outrage and horror from the broader public. Bradley said she felt
she had to "let the world see what has happened, because there is
no way I could describe this. And I needed somebody to help me
tell what it was like."

Over 100,000 people attended Till's funeral in Chicago. Had the


funeral been an official protest, it would have been the largest civil
rights demonstration in American history until that point.

The trial of Till's murderers


Calls for justice throughout the country led to the indictment of Roy
Bryant and J.W. Milam, whose trial for Till's kidnapping and murder
began on September 22, 1955. Because women and African
Americans were barred from serving on juries in Mississippi at that
time, the defendants were tried before an all-male, all-white jury. At
great personal risk, Till's great-uncle Mose Wright took the stand
and identified Bryant and Milam as the men who kidnapped his
nephew.

The case was the first major media event of the nascent Civil Rights
Movement, bringing hundreds of reporters and all three television
networks to the small Mississippi town. The courtroom was
segregated, and many outside observers were surprised at the
informal conduct of the sheriff, who casually used racial epithets
and initially refused to admit black Congressman Charles Diggs to
the courtroom.

In his closing statements, defense attorney advised the jury that if


they convicted Bryant and Milam for Till's murder, "Your ancestors
will turn over in their grave, and I'm sure every last Anglo-Saxon
one of you has the courage to free these men." The jury deliberated
for just sixty-six minutes before acquitting both men. "We wouldn't
have taken so long if we hadn't stopped to drink pop," said one of
the jurors.
Till's influence on the Civil Rights
Movement
Although Bryant and Milam were never punished for their
crime—they admitted to the killing in a 1956 interview—Till's death
was a watershed moment for the Civil Rights Movement. To African
Americans who had grown up in the Jim Crow South, the fact that
Bryant and Milam had been tried for the murder at all was an
incredible mark of progress. Amzie Moore, the president of the
Bolivar County NAACP, marveled that: "A white man was openly
tried for lynching a black boy, you know that hadn’t happened in our
memory."

Till's murder awakened Americans to the true extent of racism in the


nation. "People really didn't know that things this horrible could take
place," according to Till's mother Mamie. "And the fact that it
happened to a child, that made all the difference in the world." Many
individuals who would go on to play leading roles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felt that Till's death was the last straw. Rosa Parks, who
would initiate the Montgomery Bus Boycott just two months after the
trial, said that on that day, "I thought about Emmett Till, and I
couldn't go back [to the back of the bus]."
개요
1955년, 두 명의 백인 남성이 미시시피주 머니라는 마을에서 백인 여성과
시시덕거렸다는 이유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십대 에밋 틸(Emmett Till)을 잔인하게
살해했습니다.
Till의 어머니 Mamie는 살인적인 인종차별주의자들이 아들의 몸에 가한 폭력을
세계가 볼 수 있도록 공개 관 장례식을 거행했습니다. 장례식에는 10만 명이 넘는
조문객이 모였습니다.
틸의 살인자들은 한 달 후 재판을 받았고, 이 사건은 미국과 전 세계 언론의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두 사람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틸의 죽음과 그의 살인자들의 무죄 판결은 미국의 잔혹한 인종차별을 폭로했으며 한
세대의 민권 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에밋 틸 살해
1955년 여름, 14세의 에밋 틸(Emmett Till)은 미시시피 주 머니라는 작은 마을에 있는
큰할아버지와 사촌들을 방문했습니다. 한 친구에 따르면 Till은 시카고에서 자란
아프리카계 미국인 십대였으며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장난꾸러기였습니다.

Till은 흑인이 백인에 대한 지속적인 존경심을 나타내거나 그렇지 않으면 폭력적인


보복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남부의 엄격하게 유지되는 인종 질서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미시시피에 도착한 지 3일 후, Till은 풍선껌 한 갑을 사기 위해
Bryant's Grocery 매장에 들렀습니다. 카운터 뒤에서 일하던 백인 여성 캐롤린
브라이언트는 틸이 자신에게 휘파람을 불고 허리를 움켜쥐고 외설적인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50여년이 지난 후 브라이언트는 자신이 이 이야기를 날조했으며 그들의
만남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고 인정했습니다.

브라이언트는 남편 로이 브라이언트에게 틸이 자신에게 성적 접근을 했다고 말했다.


4일 후 그와 그의 이복형 J.W. 밀람은 한밤중에 종조부 집에서 틸을 납치했습니다.
그들은 열네 살 소년을 무자비하게 구타하고 한쪽 눈을 뽑은 뒤 총을 쏴 죽였습니다.
그들은 그의 시신을 대형 산업용 팬에 묶어 인근 Tallahatchie 강에 버렸습니다.

칼라가 있는 셔츠와 모자를 착용한 Emmett Till의 흑백 사진.


칼라가 있는 셔츠와 모자를 착용한 Emmett Till의 흑백 사진.
14세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소년인 에밋 틸(Emmett Till)은 1955년 미시시피에서 두
명의 백인 남성에 의해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3일 후 틸의 시체가 강에서 구조되었을 때, 그는 아버지의 소유였던 반지를 끼고 있는
것만으로 그를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그의 유해는 관이 못 박힌 채 어머니에게
보내졌습니다.

틸의 장례식
Jim Crow 시대의 다른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살인과 마찬가지로 Till의 살인은
그의 어머니 Mamie Bradley가 관 공개 장례식을 열겠다는 용감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면 사실상 눈에 띄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트(Jet) 매거진은
브래들리의 아들의 훼손된 시체와 함께 찍은 사진을 게재했는데, 이는 더 많은 대중의
분노와 공포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브래들리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세상에 알려야
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내가 이것을 설명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것인지 말하도록 도와줄 누군가가 필요했다.

시카고에서 열린 틸의 장례식에는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석했습니다. 장례식이


공식적인 시위였다면, 그 시점까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민권 시위가 되었을
것입니다.

틸의 살인자들에 대한 재판
전국적으로 정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로이 브라이언트와 J.W. 틸의 납치와 살인에
대한 재판은 1955년 9월 22일에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미시시피에서는 여성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배심원으로 봉사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피고인들은
전원이 남성이고 전원이 백인인 배심원 앞에서 재판을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큰
위험을 무릅쓰고 Till의 종조부인 Mose Wright가 입장에 나서 브라이언트와 밀람을
자신의 조카를 납치한 사람으로 지목했습니다.

이 사건은 초기 민권 운동의 첫 번째 주요 미디어 행사였으며 수백 명의 기자와 세


개의 텔레비전 네트워크가 모두 미시시피의 작은 마을에 모였습니다. 법정은
분리되었고, 많은 외부 관찰자들은 무심코 인종적 욕설을 사용하고 처음에는 흑인
하원의원 찰스 딕스(Charles Diggs)의 법정 입장을 거부한 보안관의 비공식적인
행동에 놀랐습니다.

마지막 진술에서 변호인은 배심원단에게 만약 그들이 틸의 살인 혐의로 브라이언트와


밀람에게 유죄를 선고한다면 "당신들의 조상은 무덤에서 뒤집힐 것이며 나는 당신들
중 마지막 앵글로색슨족 한 사람이라도 이 사람들을 풀어줄 용기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라고 조언했습니다. 남자들." 배심원단은 단 66분 동안 심의한 끝에 두
사람 모두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한 배심원은 “만약 우리가 멈춰서 팝콘을 마시지
않았다면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권 운동에 대한 Till의 영향
브라이언트와 밀람은 1956년 인터뷰에서 살인을 인정했지만 범죄로 인해 처벌을
받은 적은 없었지만 틸의 죽음은 민권 운동의 분수령이 되었습니다. 짐 크로우
남부(Jim Crow South)에서 자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브라이언트와 밀람이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는 사실은 놀라운 진전의 표시였습니다. 앰지 무어 회장
볼리바르 카운티 NAACP의 한 회원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백인이 흑인 소년을
린치한 혐의로 공개적으로 재판을 받았습니다. 우리 기억에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아시죠."

틸의 살인은 미국인들에게 미국 내 인종차별의 진정한 정도를 일깨워주었습니다.


Till의 어머니 Mamie는 "사람들은 이렇게 끔찍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정말
몰랐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일이 어린아이에게 일어났다는 사실이
세상을 완전히 변화시켰습니다." 민권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많은
사람들은 틸의 죽음이 마지막 지푸라기라고 느꼈습니다. 재판 두 달 만에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주도하게 된 로사 파크스는 이날 “에밋 틸 생각이 나서 (버스 뒤쪽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고 말했다.

Overview
● On December 1, 1955, Rosa Parks, a black seamstress, was
arrested in Montgomery, Alabama for refusing to give up her
bus seat so that white passengers could sit in it.
● Rosa Parks’s arrest sparked the Montgomery Bus Boycott,
during which the black citizens of Montgomery refused to ride
the city’s buses in protest over the bus system’s policy of
racial segregation. It was the first mass-action of the modern
civil rights era, and served as an inspiration to other civil rights
activists across the nation.
● Martin Luther King, Jr., a Baptist minister who endorsed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emerged as leader of the
Boycott.
● Following a November 1956 ruling by the Supreme Court that
segregation on public buses was unconstitutional, the bus
boycott ended successfully. It had lasted 381 days.

Rosa Parks’s arrest


Rosa Parks was arrested on December 1, 1955, in Montgomery,
Alabama for failing to give up her bus seat—so that it would be
available for white passengers—when instructed to do so by the
bus’s driver.
Parks was arrested at a time in American history when, under Jim
Crow laws, African Americans faced discrimination and segregation
across the South. Jim Crow bus laws in Montgomery at the time of
Parks’ arrest established a section for whites at the front of the bus,
and a section for blacks in the back. The law required that when the
white section filled, black passengers in the “colored section” give
up their seats and move further back.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Rosa Parks. Martin Luther King Jr.
can be seen in the background.
Rosa Parks, the 42 year old secretary of the Montgomery, Alabama NAACP, provided the
inspiration for the Montgomery Bus Boycott with her 1955 arrest for refusing to give up
her seat on the bus to accommodate white passengers.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Parks, on her way home from her job as a seamstress in a


downtown department store, was sitting in the first row of seats in
the bus’s “colored" section. As the white section filled, the driver
announced that black passengers in the “colored" section’s front
row were to give up their seats. But Parks refused to do so. She
was arrested and fined ten dollars.

Rosa Parks was forty-two years old, married, regularly attended


church, and worked as a seamstress in a downtown department
store. She had also been active in her local chapter of the NAACP
for more than a decade. Four days before her arrest she had
attended a large meeting at which the August 1955 murder of
Emmett Till had been discussed by a member of the Regional
Council of Negro Leadership. She later recounted that Emmett Till
was on her mind the evening of her arrest.

Origins of the bus boycott


E.D. Nixon, head of the Alabama NAACP, and Jo Ann Robinson,
head of the local Women’s Political Council, had been looking for
means by which to challenge the treatment of African Americans in
Montgomery for some time. As a model citizen and woman of
unimpeachable conduct, Parks was an ideal candidate for a public
campaign. After Parks’s arrest, they decided to call for a boycott of
the city’s buses.

Nixon held meetings with members from the community in area


churches. Robinson and members of her Council worked tirelessly
to produce some fifty-thousand leaflets which were distributed that
Sunday at the city’s black churches. The leaflets read, “Don’t ride
the bus to work, town, to school, or any place Monday, December 5.
. . . Come to a mass meeting, Monday at 7:00 P.M. at the Holt
Street Baptist Church for further instruction.”

Martin Luther King, Jr., a little-known, twenty-six year old Baptist


minister with a doctorate from Boston University, led the boycott.
During the boycott he began his rise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prominence in the US Civil Rights Movement. Drawing on his study
of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in the teachings of Henry David
Thoreau and Mahatma Gandhi, King delivered a message of
nonviolent protest against racial injustice in eloquent, powerful
sermons and speeches. On the boycott’s first day, speaking before
a crowd of more than 5,000 black citizens, he said:

"There comes a time when people get tired.... tired of being


segregated and humiliated.... If you will protest courageously and
yet with dignity and Christian love...historians will have to pause
and say ‘there lived a great people—a black people—who injected
a new meaning and dignity into the veins of civilization.’ This is our
challenge and our overwhelming responsibility.”

The boycott succeeds


African American men, women, and children stopped taking the
bus, and instead carpooled or walked to their destinations. Most
bus riders had been African American, and with the precipitous
decline in ridership, bus company revenues collapsed. The boycott
became major news as the nation’s television networks,
newspapers, and major news magazines covered it.

The leaders of the boycott brought suit, demanding the end of


segregation on public buses in Montgomery. The suit took months
to make its way through the judicial system, but by mid-November
1956 the US Supreme Court—basing its decision on the 14th
Amendment’s guarantee of equal protection under the law—ruled
that segregated public buses were unconstitutional. The boycott
was a success.

Many of the elements in the Montgomery Bus


Boycott—organization, community solidarity, nonviolence, and the
intervention of the federal government—proved to be the
groundwork on which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the 1960s would
be based.

개요
1955년 12월 1일, 흑인 재봉사 로자 파크스는 백인 승객들이 앉을 수 있도록 버스
좌석을 양보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에서 체포되었습니다.
로사 파크스의 체포는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켰고, 이 기간 동안 몽고메리의
흑인 시민들은 버스 시스템의 인종 분리 정책에 항의하여 도시 버스 탑승을
거부했습니다. 이는 현대 시민권 시대 최초의 대규모 시위였으며, 전국의 다른 시민권
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지지한 침례교 목사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보이콧의 선두주자로
떠올랐습니다.
1956년 11월 대법원이 대중 버스에서의 인종 분리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린 후, 버스
보이콧은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381일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로사 파크스의 체포
로자 파크스는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에서 버스 운전사의 지시에
따라 백인 승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 좌석을 양보하지 않은 혐의로
체포되었습니다.
파크스는 미국 역사상 짐 크로우(Jim Crow) 법에 따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남부
전역에서 차별과 분리에 직면했던 시기에 체포되었습니다. 파크스 체포 당시
몽고메리의 짐 크로우(Jim Crow) 버스법에 따르면 버스 앞쪽에는 백인 구역,
뒤쪽에는 흑인 구역이 있었습니다. 법에 따르면 흰색 구역이 가득 차면 '유색 구역'의
흑인 승객은 자리를 포기하고 더 뒤로 이동해야 합니다.
로사 파크스의 흑백 사진.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가 배경에서
보입니다.
로사 파크스의 흑백 사진.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가 배경에서
보입니다.
앨라배마주 NAACP 몽고메리의 42세 비서인 로사 파크스(Rosa Parks)는 1955년
백인 승객을 수용하기 위해 버스에서 자리를 양보하는 것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시내 백화점에서 재봉사로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파크스는 버스의 '유색인종'
좌석 첫 번째 줄에 앉아 있었습니다. 백인석이 가득 차자 운전사는 '유색인종 좌석의
흑인 승객들'이라고 말했습니다. "섹션의 앞줄은 자리를 양보해야했습니다. 그러나
박씨는 이를 거부했다. 그녀는 체포되어 10달러의 벌금을 물었습니다.

로자 파크스(Rosa Parks)는 42세였으며 결혼했고 정기적으로 교회에 참석했으며


시내 백화점에서 재봉사로 일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NAACP의 지역 지부에서 10년
넘게 활동해 왔습니다. 그녀가 체포되기 4일 전에 그녀는 1955년 8월 Emmett Till의
살인 사건을 흑인 리더십 지역 협의회 회원이 논의한 대규모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그녀는 나중에 체포 당일 저녁 Emmett Till이 마음에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버스 보이콧의 유래
E.D. Alabama NAACP의 수장인 Nixon과 지역 여성 정치 위원회의 수장인 Jo Ann
Robinson은 한동안 몽고메리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처우에 도전할 수 있는
수단을 찾고 있었습니다. 모범적인 시민이자 흠 잡을 데 없는 행동을 하는 여성으로서
Parks는 대중 캠페인에 이상적인 후보였습니다. 파크스가 체포된 후 그들은 시내
버스 보이콧을 촉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닉슨은 지역 교회에서 지역사회 회원들과 모임을 가졌습니다. 로빈슨과 그녀의 의회


의원들은 그 일요일에 도시의 흑인 교회에 배포될 약 5만 장의 전단지를 제작하기
위해 쉬지 않고 일했습니다. 전단지에는 “12월 5일 월요일, 직장, 마을, 학교 등 어느
곳으로 가든 버스를 타지 마십시오. . . 월요일 오후 7시에 대규모 집회에 오세요. 추가
교육을 받으려면 홀트 스트리트 침례교회에 가세요.”

보스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26세의 무명 침례교 목사 마틴 루터 킹


2세(Martin Luther King Jr.)가 보이콧을 주도했습니다. 보이콧 기간 동안 그는 미국
민권 운동에서 국내 및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킹 목사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와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의
가르침에서 비폭력 시민 불복종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유창하고 강력한 설교와
연설을 통해 인종적 불의에 대한 비폭력 항의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보이콧 첫날,
그는 5,000명이 넘는 흑인 시민이 모인 군중 앞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사람들이 지칠 때가 옵니다....분리되고 굴욕당하는 것에 지쳤습니다....용감하게
항의하면서도 품위와 기독교적 사랑을 가지고 있다면...역사가들은 잠시 멈춰서
'위대한 시대가 살았다'고 말해야 할 것입니다. 문명의 핏줄에 새로운 의미와 존엄성을
불어넣은 흑인들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도전이자 막중한 책임입니다.”

보이콧 성공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 여성, 어린이는 버스 탑승을 중단하고 대신 카풀을
이용하거나 걸어서 목적지까지 이동했습니다. 대부분의 버스 승객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으며 승객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버스 회사 수익이 급락했습니다.
보이콧은 전국 텔레비전 네트워크, 신문, 주요 뉴스 잡지에서 다루면서 주요 뉴스가
되었습니다.
보이콧의 지도자들br
몽고메리의 공공 버스에서 인종 분리를 철폐할 것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소송이 사법 시스템을 통과하는 데 수개월이 걸렸지만, 1956년 11월 중순에
미국 대법원은 법에 따른 평등한 보호를 보장하는 수정헌법 제14조에 근거하여
분리된 공공 버스가 위헌이라고 판결했습니다. 보이콧은 성공했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의 많은 요소(조직, 지역사회 연대, 비폭력, 연방 정부의 개입)는
1960년대 민권 운동의 기반이 되는 기반임이 입증되었습니다.

Overview
● The US government's decision to develop a hydrogen bomb,
first tested in 1952, committed the United States to an
ever-escalating arms race with the Soviet Union. The arms
race led many Americans to fear that nuclear war could
happen at any time, and the US government urged citizens to
prepare to survive an atomic bomb.
● In 1950, the US National Security Council released NSC-68, a
secret policy paper that called for quadrupling defense
spending in order to meet the perceived Soviet threat. NSC-68
would define US defense strategy throughout the Cold War.
● President Eisenhower attempted to cut defense spending by
investing in a system of "massive retaliation," hoping that the
prospect of "mutually-assured destruction" from a large
nuclear arsenal would deter potential aggressors.

The Doomsday Clock and the H-bomb


Shortly after the US dropped the atomic bomb on Japan, the
scientists who had developed the bomb formed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alerting the world
to the dangers of nuclear weaponry. Early contributors included J.
Robert Oppenheimer, the director of the Manhattan Project, and
Albert Einstein, who dedicated the final years of his life to promoting
nuclear disarmament. In 1947, they printed their first magazine,
placing on its cover what would become an iconic symbol of the
nuclear age: the Doomsday Clock. The clock purported to show
how close humanity was to nuclear annihilation, or "midnight."
When the clock first appeared, the scientists predicted that
humankind was a mere seven minutes to midnight.

Image of the cover of the June 1947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showing an abstract rendering of a clock face, with the
minute hand at 11:53pm.

Cover of the first issue of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with its rendering of the
'Doomsday Clock' at seven minutes to midnight. Image credit: Wikimedia Commons
But by 1953, the scientists had revised their estimate to just two
minutes to midnight. Their reason for this panicked prognosis was
the United States' decision to develop and test a hydrogen bomb, or
H-bomb, a nuclear weapon one thousand times more powerful than
the atomic bomb that had leveled Hiroshima at the end of World
War II. Although scientists and some government officials argued
against it, US officials ultimately reasoned that it would be
imprudent for them not to develop any weapon that the Soviet
Union might possess.

The development of the H-bomb committed the United States to an


arms race with the Soviet Union. Despite the specter of nuclear
holocaust, both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vied to build
ever more powerful nuclear weapons.

NSC-68
The development of the H-bomb was just one part of the US project
to increase its military might in this period. In 1950, the
newly-created National Security Council issued a report on the
current state of world affairs and the steps the United States should
take to confront the perceived crisis.

Their report, "United States Objectives and Programs for National


Security," or NSC-68, cast the tens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as an apocalyptic battle between good and evil.
"The issues that face us are momentous, involving the fulfillment or
destruction not only of this Republic but of civilization itself," the
report began. It went on to assert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Soviet
Union was "the complete subversion or forcible destruction of the
machinery of government and structure of society in the countries of
the non-Soviet world and their replacement by an apparatus and
structure subservient to and controlled from the Kremlin."

Read an excerpt from NSC-68

The report concluded by recommending that the United States


vastly increase its investment in national security, quadrupling its
annual defense spending to $50 billion per year. Although this
proposal seemed both expensive and impractical, the US entry into
the Korean War just two months later put NSC-68's plans in motion.

NSC-68 became the cornerstone of US national security policy


during the Cold War, but it was a flawed document in many ways.
For one thing, it assumed two "worst-case" scenarios: that the
Soviet Union had both the capacity and the desire to take over the
world—neither of which was necessarily true.
Atomic fears
With both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stockpiling nuclear
weapons, fears of nuclear warfare pervaded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in the 1950s. Schools began issuing dog tags to students so
that their families could identify their bodies in the event of an
attack. The US government provided instructions for building and
equipping bomb shelters in basements or backyards, and some
cities constructed municipal shelters. Nuclear bomb drills became a
routine part of disaster preparedness.

The civil defense film Duck and Cover, first screened in 1952,
sought to help schoolchildren protect themselves from injury during
a nuclear attack by instructing them to find shelter and cover
themselves to prevent burns. Though "ducking and covering" hardly
would have helped to prevent serious injury in a real atomic
bombing, these rehearsals for disaster gave American citizens an
illusion of control in the face of atomic warfare.

Duck and Cover, directed by Anthony Rizzo (Archer


Productions, 1951), was a civil defense film designed to help
schoolchildren react to a nuclear bomb.
Massive retaliation
One problem with the enormous military buildup prescribed by
NSC-68 was its expense. Although the economic prosperity of the
1950s seemed as if it would never end, President Eisenhower
hoped to cut government spending. Secretary of State John Foster
Dulles proposed a new plan for getting maximum defense
capabilities at an affordable cost: massive retaliation. Instead of
focusing on conventional military forces, the United States would
rely on its enormous stockpile of nuclear weapons to deter its foes
from aggression, on the principle that attacking the United States
would result in "mutually-assured destruction."

Unfortunately, massive retaliation was a sledgehammer, not a


scalpel. The strategy presented no intermediate measures between
all-out nuclear warfare and no response at all. For example, when
an uprising against Soviet control broke out in Hungary in 1956, the
United States feared to support it lest their intervention antagonize
the Soviet Union and trigger a nuclear war.

Moreover, to Eisenhower's chagrin,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


technology required to implement massive retaliation was not as
cheap as promised—in fact, it was extremely expensive. In his
farewell address, Eisenhower warned of the dangers posed by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military-industrial complex," but was
unable to slow the arms race.

개요
1952년 처음 실험된 수소폭탄 개발에 대한 미국 정부의 결정으로 인해 미국은 소련과
무기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벌이게 되었습니다. 군비경쟁으로 인해 많은 미국인들은
언제든지 핵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두려움에 빠졌고, 미국 정부는 시민들에게
원자폭탄으로부터 살아남을 준비를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1950년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비를
4배로 늘릴 것을 요구하는 비밀 정책 문서인 NSC-68을 발표했습니다. NSC-68은
냉전 기간 동안 미국의 방어 전략을 정의합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대규모 핵무기의 "상호확증파괴" 가능성이 잠재적인 공격자를
저지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대규모 보복" 시스템에 투자함으로써 국방비를
삭감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종말시계와 수소폭탄
미국이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직후, 원자폭탄을 개발한 과학자들은 전 세계에
핵무기의 위험성을 알리는 데 전념하는 조직인 원자력과학자회(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를 결성했습니다. 초기 기여자 중에는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J.
로버트 오펜하이머(J. Robert Oppenheimer)와 생애 말년을 핵 군축 촉진에 바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포함되었습니다. 1947년에 그들은 핵 시대의
상징적인 상징이 될 종말시계(Doomsday Clock)를 표지에 배치하면서 첫 번째 잡지를
인쇄했습니다. 이 시계는 인류가 핵멸종, 즉 "자정"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시계가 처음 등장했을 때 과학자들은 인류가
자정까지 7분밖에 남지 않았다고 예측했습니다.

1947년 6월호 "원자과학자 회보" 표지 이미지. 분침이 오후 11시 53분에 있는 시계


문자판의 추상적 렌더링을 보여줍니다.
1947년 6월호 "원자과학자 회보" 표지 이미지. 분침이 오후 11시 53분에 있는 시계
문자판의 추상적 렌더링을 보여줍니다.
자정 7분 전의 '지구 종말 시계'를 렌더링한 원자력 과학자 회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창간호 표지.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그러나 1953년에 과학자들은 그들의 추정치를 자정 2분 전으로 수정했습니다. 그들이
이렇게 당황한 예측을 하게 된 이유는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말 히로시마를 폭격한
원자폭탄보다 1000배 더 강력한 핵무기인 수소폭탄, 즉 H폭탄을 개발하고
시험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과학자들과 일부 정부 관리들은 이에 반대했지만,
미국 관리들은 궁극적으로 소련이 보유할 수 있는 어떤 무기도 개발하지 않는 것은
경솔한 일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수소폭탄의 개발로 인해 미국은 소련과 군비 경쟁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핵
홀로코스트의 망령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소련은 더욱 강력한 핵무기를 만들기 위해
경쟁했습니다.
NSC-68
수소폭탄 개발은 이 시기 미국의 군사력 증강 프로젝트의 일부에 불과했다. 1950년에
새로 창설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현재 세계 정세와 인지된 위기에 맞서기 위해
미국이 취해야 할 조치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그들의 보고서인 "국가 안보를 위한 미국의 목표 및 프로그램"(NSC-68)은 미국과
소련 간의 긴장을 선과 악 사이의 종말론적 전투로 묘사합니다. 보고서는 “우리가
직면한 문제는 이 공화국뿐만 아니라 문명 자체의 성취 또는 파괴와 관련된 중대한
문제”라고 시작했다. 이어서 소련의 궁극적인 목표는 "비소비에트 국가의 정부 기관과
사회 구조를 완전히 전복하거나 강제로 파괴하고 이를 종속국에 종속된 기구와
구조로 대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크렘린의 통제를 받습니다."
보고서는 미국이 국가 안보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려 연간 국방비 지출을 500억
달러로 4배 늘릴 것을 권고하며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 제안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실용적으로 보였지만 불과 두 달 후 미국이 한국전에 참전하면서 NSC-68의 계획이
실행되었습니다.

NSC-68은 냉전 시대 미국 국가 안보 정책의 초석이 되었지만 여러 면에서 결함이


있는 문서였습니다. 우선, 두 가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했습니다. 즉, 소련이
세계를 장악할 능력과 열망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둘 중 어느 것도
반드시 사실은 아니었습니다.

원자 공포
미국과 소련이 핵무기를 비축하면서 1950년대 미국 사회와 문화에는 핵전쟁에 대한
공포가 만연했다. 학교는 공격이 발생할 경우 가족이 신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인식표를 발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지하실이나 뒷마당에 폭탄
대피소를 건설하고 설치하는 지침을 제공했으며 일부 도시에서는 시립 대피소를
건설했습니다. 핵폭탄 훈련은 재난 대비의 일상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

민방위 영화 덕 앤 커버(Duck and Cover), 195년 첫 상영


2, 학생들에게 핵 공격 시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피난처를 찾아 몸을 가리도록
지시하여 부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습니다. "몸을 숙이고 덮는
것"이 실제 원자폭탄의 심각한 부상을 예방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재난 예행연습은 미국 시민들에게 핵전쟁에 직면한 통제력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었습니다.

Anthony Rizzo가 감독한 Duck and Cover(Archer Productions, 1951)는 학생들이


핵폭탄에 대응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작된 민방위 영화였습니다.
대규모 보복
NSC-68이 규정한 막대한 군사력 증강의 한 가지 문제는 비용이었습니다. 1950년대의
경제적 번영은 끝이 없을 것 같았지만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정부 지출을 삭감하기를
희망했습니다.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 국무장관은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의 방어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 즉 대규모 보복을 제안했습니다.
미국은 재래식 군사력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미국을 공격하면 "상호확증파괴"를
초래할 것이라는 원칙에 따라 적의 침략을 억제하기 위해 막대한 핵무기 비축량에
의존할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대규모 보복은 메스가 아닌 큰 망치였습니다. 이 전략은 전면적인


핵전쟁과 전혀 대응하지 않는 것 사이의 중간 조치를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1956년 헝가리에서 소련의 통제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났을 때, 미국은 그들의
개입이 소련을 적대시하고 핵전쟁을 촉발시키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더욱이 아이젠하워는 원망스럽게도 대규모 보복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것이 약속한 것만큼 저렴하지도 않았고 실제로 매우 비쌌습니다.
아이젠하워는 고별사에서 "군산복합체"의 영향력 증가로 인한 위험을 경고했지만
군비 경쟁을 늦추지는 못했습니다.

Overview
● The “space race” was a Cold War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o develop aerospace
capabilities, including artificial satellites, unmanned space
probes, and human spaceflight.
●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was created in 1958 as the federal agency with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ivilian
aerospace research.
● Early Soviet successes in the space race had a major impact
on US society and culture, altering strategic defense doctrines
and leading to new educational initiatives.

The Cold War in space


The Cold War was a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every conceivable arena – even space. When the
Soviets launched the world’s first artificial satellite, Sputnik I, in
October 1957, it set off alarm bells in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and created intense fear and anxiety among the US public that the
Soviet Union had surpassed the technological achievements of the
United States.

Sputnik orbited the earth and transmitted radio signals for


twenty-one days before burning up in the earth’s atmosphere.

Sputnik II was launched the following month, in November, carrying


a dog named Laika. In May 1958, the Soviets launched Sputnik III,
which weighed almost three thousand pounds. Continuing their run
of successful launches, the Soviets in 1959 sent a space probe,
Lunik III, to photograph the dark side of the moon.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In response to perceptions of Soviet technological success,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was
established on October 1, 1958 as the primary federal agency
responsible for aerospace research and the civilian space program.
In December, NASA took control of the Jet Propulsion Laboratory
operated by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orming
NASA-JPL. Th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which took
the lead in developing space technology for military purposes, was
also created in 1958.

Color photograph of John Glenn in astronaut gear taken inside of


the Friendship 7 spacecraft.

Astronaut John Glenn became the first American to enter Earth's orbit in 1962.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NASA’s earliest objective was to launch a manned vehicle into
Earth’s orbit as soon as possible.

It would be the Soviets, however, who would win the race to put a
man in space. In April 1961, Soviet cosmonaut Yuri Gagarin
became the first man to enter Earth’s orbit, in a single-pilot
spacecraft called Vostok I.

The Americans were not far behind, however, and one month later,
in May, Alan Shepard became the first American in space, piloting a
15-minute suborbital flight. In February 1962, John Glenn became
the first American to enter Earth’s orbit. Early Soviet successes in
the space race led US President John F. Kennedy to announce the
inauguration of the Apollo program, which pledged to put a man
on the moon by the end of the decade.

The National Defense Education Act


Soviet achievements in space were a wake-up call to Americans
convinced of their ow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One of the responses was more federal funding for math and
science education. In 1958, Congress passed the National
Defense Education Act (NDEA), which envisioned public
education as a key component of national security. The bill
appropriated $800 million for loans to college students and for
states to improve instruction in the hard sciences.

The act was divided into ten titles, which each addressed a distinct
issue. For instance, Title II dealt with provisions for student loans,
while Title VI appropriated funding for the study of foreign
languages designated as crucial “national security” languages, such
as Russian and Mandarin Chinese. Title III strengthened existing
public education programs in science and mathematics, and Title IX
established a new Science Information Service operating under the
auspices o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ll of these measures were envisioned as enhancing public


education in the interest of bolstering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The “missile gap”


More worryingly for US policymakers, Soviet achievements in space
seemed to herald a new phase of the arms race. The technology
that the Soviets used to launch satellites into space could also be
employed to construc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ICBMs),
which could deliver nuclear warheads to targets in the United
States.
Fears of nuclear warfare escalated, and U.S. officials were forced to
rethink their entire doctrine of war. As movies, television shows like
The Twilight Zone, and government-sponsored propaganda
reflected and exacerbated fears of nuclear disaster, U.S. defense
planners began to question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doctrine
of massive retaliation.

Many observers, including foreign policy analysts and Pentagon


officials, urged the United States to further develop its own ICBM
capabilities and close the so-called “missile gap.” Although these
contemporary observers probably believed that the Soviet Union
had surpassed the United States in missile technology and
capabilities, documents that were releas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showed that the missile gap never actually
existed, and that the United States had maintained a clear
superiority in missile technology even during the years of the most
spectacular Soviet achievements in space.

개요

우주경쟁은 인공위성, 무인우주탐사선, 유인우주비행 등 항공우주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미국과 소련의 냉전 경쟁이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민간 항공우주 연구 개발을 일차적으로


담당하는 연방 기관으로 1958년에 창설되었습니다.
우주 경쟁에서 초기 소련의 성공은 미국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략적 방어 교리를 바꾸고 새로운 교육 계획으로
이어졌습니다.

우주에서의 냉전

냉전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분야, 심지어 우주에서도 미국과 소련


사이의 경쟁이었습니다. 1957년 10월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을 때, 이는 아이젠하워 행정부에 경종을
울렸고, 소련이 미국의 기술적 성취를 능가했다는 미국 대중들
사이에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스푸트니크는 지구 대기에서 불타버릴 때까지 21일 동안 지구


궤도를 돌며 무선 신호를 전송했습니다.

스푸트니크 2호는 다음 달인 11월에 라이카(Laika)라는 개를


태우고 발사되었습니다. 1958년 5월, 소련은 무게가 거의
3000파운드에 달하는 스푸트니크 3호를 발사했습니다. 성공적인
발사를 계속하면서 소련은 1959년에 달의 어두운 면을 촬영하기
위해 우주 탐사선 루니크 III(Lunik III)을 보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련의 기술적 성공에 대한 인식에 부응하여 1958년 10월 1일


항공우주 연구 및 민간 우주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주요 연방
기관으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설립되었습니다. 12월,
NASA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이
운영하는 제트추진연구소(Jet Propulsion Laboratory)를 장악하여
NASA-JPL을 설립했습니다. 군사용 우주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고등연구계획국도 1958년 창설됐다.

Friendship 7 우주선 내부에서 우주비행사 장비를 착용한 John


Glenn의 컬러 사진.

Friendship 7 우주선 내부에서 우주비행사 장비를 착용한 John


Glenn의 컬러 사진.

우주비행사 존 글렌(John Glenn)은 1962년에 지구 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미국인이 되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NASA의 초기 목표는 가능한 한 빨리 유인 차량을 지구 궤도로


발사하는 것이 었습니다.

그러나 사람을 우주에 보내는 경쟁에서 승리하는 쪽은 소련이 될


것입니다. 1961년 4월, 소련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은 보스토크
1호라는 단일 조종사 우주선을 타고 지구 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인간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인들도 크게 뒤처지지 않았고, 한 달 후인 5월에 앨런


셰퍼드(Alan Shepard)는 15분 동안 준궤도 비행을 조종한 최초의
미국인이 되었습니다. 1962년 2월, 존 글렌(John Glenn)은 지구
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미국인이 되었습니다. 우주 경쟁에서 초기
소련의 성공으로 인해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10년 안에 사람을
달에 보내겠다고 약속한 아폴로 프로그램의 출범을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국방교육법

소련의 우주에서의 업적은 미국인들이 자신들의 과학적, 기술적


우월성을 확신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응답 중 하나는 수학과 과학 교육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늘리는 것이었습니다. 1958년 의회는 공교육을 국가 안보의 핵심
요소로 규정한 국방교육법(NDEA)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안은
대학생에 대한 대출과 주정부의 하드과학 교육 개선을 위해 8억
달러를 배정했습니다.

이 법은 각각 뚜렷한 문제를 다루는 10개의 제목으로


나누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Title II는 학자금 대출 조항을 다루었고,
Title VI는 러시아어 및 중국어와 같이 중요한 "국가 안보" 언어로
지정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자금을 충당했습니다. Title III는 과학 및
수학 분야의 기존 공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했으며, Title IX는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새로운 과학 정보 서비스(Science Information Service)를
설립했습니다.
이러한 모든 조치는 국가 안보와 국방 강화를 위해 공교육을
강화하는 것으로 구상되었습니다.

'미사일 격차'

미국 정책 입안자들에게 더욱 걱정스러운 점은 소련의 우주에서의


성취가 군비 경쟁의 새로운 단계를 예고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소련이 위성을 우주로 발사하는 데 사용한 기술은 미국의 목표물에
핵탄두를 전달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핵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고조되었고, 미국 관리들은 전쟁 교리


전체를 재고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영화, The Twilight Zone과
같은 TV 프로그램, 정부 후원 선전이 핵 재난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하고 악화시키자 미국 국방 계획가들은 대규모 보복 교리의
기초가 되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외교 정책 분석가와 국방부 관리를 포함한 많은 관찰자들은

미국은 자체 ICBM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고 이른바 '미사일 격차'를


좁힐 것을 촉구했습니다. 당시의 관찰자들은 아마도 소련이 미사일
기술과 능력에서 미국을 능가했다고 믿었을지 모르지만,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공개된 문서에는 미사일 격차가 실제로 존재한 적이
없으며, 미국이 미사일 격차를 유지해 왔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소련이 우주에서 가장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던 기간에도 미사일
기술의 분명한 우월성은 입증되었습니다.

Overview
● In October 1962, the Soviet provision of ballistic missiles to
Cuba led to the most dangerous Cold War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nd brought
the world to the brink of nuclear war.
● Over the course of two extremely tense weeks, US President
John F. Kennedy and Soviet Premier Nikita Khrushchev
negotiated a peaceful outcome to the crisis.
● The crisis evoked fears of nuclear destruction, revealed the
dangers of brinksmanship, and invigorated attempts to halt
the arms race.

The Cuban Revolution


After waging a successful guerrilla war against the regime of Cuban
dictator Fulgencio Batista, Fidel Castro came to power on January
1, 1959. Castro was not yet a communist, and US policymakers
initially took a cautious wait-and-see approach to his regime. Over
the course of 1959 and 1960, US-Cuban relations worsened due to
Castro’s anti-US rhetoric and radical policies, especially his refusal
to hold elections. When it became clear that Castro intended to
pursue an alliance with the Soviet Union, President Dwight
Eisenhower cut off diplomatic ties to Cuba and began preparing
contingency plans for overthrowing Castro and replacing him with
someone more amenable to the United States.

Cuban Prime Minister Fidel Castro, left, shakes hands with Soviet Premier Nikita
Khrushchev in 1961.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As US-Cuban relations deteriorated, Castro turned to the Soviet


Union for support. The Soviets signed multiple trade and aid
agreements with Cuba, provided Castro with arms and weaponry,
and also gave political support to the Cuban Revolution in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rigins of the Cuban Missile Crisis
The origins of the Cuban Missile Crisis lie in the failed Bay of Pigs
invasion, during which US-supported Cuban exiles hoping to foment
an uprising against Castro were overpowered by the Cuban armed
forces. After the invasion, Castro turned to the Soviets for protection
against future US aggression. The Soviets provided Cuba with
nuclear weapons on the condition that the deal would remain secret
until the missiles were fully operational.

Khrushchev claimed that his motivation for providing Cuba with


nuclear weaponry was to safeguard the Cuban Revolution against
US aggression and to alter the global balance of power in favor of
the Soviet Union.

In October 1962, US U-2 spy plane flights over Cuban territory


revealed the missile installation sites. This discovery inaugurated
what became known as the Cuban Missile Crisis.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se weapons were enormous: the missiles could
easily reach targets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New York City
and Washington, D.C.
Aerial view of the missile site in Cuba, 1962. Image courtesy JFK Library.

The Kennedy administration established a naval blockade to


prevent any more missiles from reaching Cuba, and in no uncertain
terms demanded the immediate removal of the missiles that had
already been delivered. The danger of this approach was that if the
Soviets refused to remove the missiles, the United States would be
forced to escalate the crisis by authorizing air strikes over Cuba to
bomb the missile sites. Contingency plans were drawn up for a
full-scale invasion of Cuba and a nuclear attack on the Soviet
Union, in the event that the Soviets responded militarily to
Kennedy’s demands.

Negotiating a peaceful outcome


Though Khrushchev initially refused to acknowledge the presence
of the missiles in Cuba and declared the US naval blockade to be
an act of war, he ordered the suspension of all weapons deliveries
currently in transit. Over the course of approximately two weeks,
Kennedy and Khrushchev negotiated a peaceful outcome to the
missile crisis. The Soviets compared their provision of nuclear
weapons to Cuba with the stationing of Jupiter missiles in Turkey,
which were in range of Soviet territory. Kennedy agreed to remove
the missiles from Turkey, and also pledged that the US government
would not undertake another invasion of Cuba.

Throughout the negotiations, Khrushchev failed to consult with


Castro. For Castro, this was humiliating and seemed to prove that
the Soviets prioritized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over relations
with their own allies. Castro hoped to negotiate the closing of the
US naval base at Guantanamo and the cessation of U-2 flights over
Cuban territory. Ultimately, Khrushchev agreed to remove all of the
nuclear missiles from Cuba, while failing to even broach the subject
of Castro’s demands.
Consequences of the Cuban Missile
Crisis
Although the Soviets attempted to portray the outcome of the
missile crisis as a victory,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e crisis was
the ouster of Khrushchev. He was forced into retirement by other
Soviet officials who claimed that the missile crisis was proof of
Khrushchev’s reckless decision-making and his inability to lead the
Soviet Union. Khrushchev’s successor, Leonid Brezhnev, came to
power and sought to reduce tensions with the United States.

John F. Kennedy came out of the crisis in a much better position.


His calm but firm stance in the negotiations was heralded as great
statesmanship, though it is often forgotten that his bungling of the
Bay of Pigs invasion had helped lead to the missile crisis in the first
place.

The Cuban Missile Crisis also convinced Kennedy of the dangers of


nuclear brinksmanship. He and Khrushchev had peered into the
abyss of nuclear destruction but had managed to pull back from it.
In order to prevent future crises, a Moscow-Washington hotline was
set up in the White House to facilitat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s of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In August 1963,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Great
Britain signed a treaty banning atmospheric and underwater nuclear
testing. Nevertheless, the test-ban treaty failed to halt the arms
race, as Kennedy simultaneously authorized a massive arms
buildup that vastly expanded the US nuclear arsenal and amplified
US strategic superiority in the Cold War.

개요

1962년 10월, 소련이 쿠바에 탄도미사일을 공급하면서 미국과 소련


사이의 가장 위험한 냉전 대결이 벌어졌고, 세계는 핵전쟁 위기에
처하게 됐다.

극도로 긴장된 2주 동안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와 소련 총리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위기에 대한 평화로운 결과를 협상했습니다.

위기는 핵 파괴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켰고, 벼랑 끝 전술의


위험성을 드러냈으며, 군비 경쟁을 중단시키려는 시도를
활성화시켰습니다.

쿠바 혁명

쿠바 독재자 풀겐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맞서 게릴라전을 성공적으로


치른 후, 피델 카스트로는 1959년 1월 1일 권력을 잡았습니다.
카스트로는 아직 공산주의자가 아니었고, 미국 정책 입안자들은
처음에는 그의 정권에 대해 신중한 관망적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1959년과 1960년에 걸쳐 미국-쿠바 관계는 카스트로의 반미 수사와
급진적인 정책, 특히 그의 선거 거부로 인해 악화되었습니다.
카스트로가 소련과 동맹을 맺으려는 것이 분명해졌을 때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쿠바와의 외교 관계를 끊고 카스트로를
타도하고 그를 미국에 더 호의적인 사람으로 교체하기 위한 비상
계획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1961년 피델 카스트로 쿠바 총리(왼쪽)가 니키타 흐루시초프 소련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미국과 쿠바의 관계가 악화되자 카스트로는 소련에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소련은 쿠바와 다수의 무역 및 원조 협정을 체결하고
카스트로에게 무기와 무기를 제공했으며 유엔과 기타 국제기구에서
쿠바 혁명에 정치적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근원

쿠바 미사일 위기의 기원은 피그스만 침공의 실패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미국이 지원한 쿠바 망명자들이
카스트로에 대항하는 봉기를 선동하려고 했으나 쿠바 군대가 이를
제압했습니다. 침공 이후 카스트로는 미래의 미국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소련에 의지했습니다. 소련은 미사일이 완전히
작동할 때까지 거래를 비밀로 유지한다는 조건으로 쿠바에 핵무기를
제공했습니다.
흐루시초프는 쿠바에 핵무기를 제공한 동기가 미국의
침략으로부터 쿠바 혁명을 보호하고 소련에 유리하게 세계 권력
균형을 바꾸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62년 10월 미국 U-2 정찰기가 쿠바 영토 상공을 비행하면서


미사일 설치 장소가 드러났습니다. 이 발견으로 인해 쿠바 미사일
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무기의 전략적 의미는 엄청났습니다.
미사일은 뉴욕시와 워싱턴 D.C.를 포함한 미국의 목표물에 쉽게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기지의 항공 사진. 이미지 제공: JFK 도서관.

케네디 행정부는 더 이상의 미사일이 쿠바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군 봉쇄를 설정했으며, 이미 전달된 미사일의 즉각적인
제거를 확실하게 요구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의 위험은 소련이
미사일 제거를 거부하면 미국이 미사일 기지를 폭격하기 위해
쿠바에 대한 공습을 승인하여 위기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련이 케네디의 요구에 군사적으로 대응할 경우 쿠바를 전면적으로
침공하고 소련에 핵 공격을 가하는 비상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평화로운 결과 협상

흐루시초프는 처음에는 쿠바에 미사일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미국의 해군 봉쇄를 전쟁 행위로 선언했지만 현재 이동 중인
모든 무기 수송을 중단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약 2주 동안 케네디와
흐루시초프는 미사일 위기에 대한 평화적인 결과를 협상했습니다.
소련은 쿠바에 핵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소련 영토 내에 있는 터키에
주피터 미사일을 배치하는 것과 비교했습니다. 케네디는 터키에서
미사일을 제거하는 데 동의했으며 미국 정부가 쿠바를 다시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협상 내내 흐루쇼프는 카스트로와 협의하지 않았다. 카스트로에게


이것은 굴욕적인 일이었고 소련이 동맹국과의 관계보다 미국과의
관계를 우선시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카스트로는
관타나모의 미 해군 기지 폐쇄와 쿠바 영토 상공의 U-2 비행 중단에
대한 협상을 희망했습니다. 결국 흐루시초프는 쿠바에서 모든 핵
미사일을 제거하는 데 동의했지만 카스트로의 요구 사항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결과

소련은 미사일 위기의 결과를 승리로 묘사하려고 시도했지만 위기의


결과 중 하나는 흐루시초프의 축출이었습니다. 그는 미사일 위기가
흐루시초프의 무모한 의사결정과 그가 소련을 이끌 수 없다는
증거라고 주장하는 다른 소련 관료들에 의해 강제로 은퇴했습니다.
흐루시초프의 후계자인 레오니드 브레즈네프가 권력을 잡았고,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

미국과의 긴장.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는 훨씬 더 나은 위치에서 위기를


극복했습니다. 협상에서 그의 차분하면서도 확고한 입장은 훌륭한
정치가로 평가받았지만, 피그스 만 침공에 대한 그의 실수가 애초에
미사일 위기를 초래하는 데 일조했다는 사실은 종종 잊혀집니다.

쿠바 미사일 위기는 또한 케네디에게 핵 벼랑 끝 전술의 위험성을


확신시켰습니다. 그와 흐루시초프는 핵 파괴의 심연을 들여다봤지만
가까스로 그 곳에서 물러났습니다. 미래의 위기를 방지하기 위해
소련과 미국 지도자 간의 직접적인 의사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백악관에 모스크바-워싱턴 핫라인이 설치되었습니다.

1963년 8월 미국, 소련, 영국은 대기 및 수중 핵실험을 금지하는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는 동시에 미국의
핵무기를 대폭 확장하고 냉전에서 미국의 전략적 우월성을
증폭시키는 대규모 무기 증강을 승인했기 때문에 시험 금지 조약은
군비 경쟁을 중단시키지 못했습니다.

Overview
● The Vietnam War was a prolonged military conflict that
started as an anticolonial war against the French and evolved
into a Cold War confrontation between international
communism and free-market democracy.
● The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DRV) in the north was
supported by the Soviet Union, China, and other communist
countries, while the United States and its anticommunist allies
backed the Republic of Vietnam (ROV) in the south.
● President Lyndon Johnson dramatically escalated US
involvement in the conflict, authorizing a series of intense
bombing campaigns and commit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US ground troops to the fight.
● After the United States withdrew from the conflict, North
Vietnam invaded the South and united the country under a
communist government.

Origins of the war in Vietnam


The origins of American involvement in Vietnam date back to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when the Vietnamese were
struggling against the continued French colonial presence in their
country. Ho Chi Minh, the leader of the Viet Minh (Vietnamese
Independence League) and the founder of Vietnam’s Communist
Party, successfully blended nationalist, anti-French sentiment with
Marxist-Leninist revolutionary ideology. In 1954, after a prolonged
guerrilla war to liberate Vietnam, the Viet Minh captured Dien Bien
Phu, and decisively routed the French.
Map showing the division between North Vietnam and South
Vietnam. The two countries were divided along the 17th Parallel,
also known as the Line of Demarcation.
Map of Vietnam. The 17th Parallel indicates the boundary separating North and South
Vietnam following the peace negotiations in Geneva in 1954.

In peace negotiations at Geneva, the decision was reached to


divide Vietnam into northern and southern halves. The communists,
headed by Ho Chi Minh, would govern the northern half, with its
capital at Hanoi, while South Vietnam, with its capital at Saigon,
would remain non-communist. The Soviet Union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upported the north, while the United States was
determined to maintain an independent, non-communist South
Vietnam.

In December 1960, the National Liberation Front, commonly


called the Viet Cong, emerged to challenge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A civil war erupted for control of South Vietnam, while
Hanoi sought to unite the country under its own communist
leadership. The Second Indochina War began in earnest with the
US commitment to prevent the communists from overrunning South
Vietnam. In spring 1961, the administration of John F. Kennedy
expanded US support for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including an increase in US military advisers, the doubling of
military assistance, and authorization of the use of napalm,
herbicides, and defoliants.
The escalating US involvement in Southeast Asia was driven by the
logic of the domino theory, which contended that the falling of one
country to communism would result in other surrounding countries
succumbing to communism, much as one toppled domino will take
down others in a row. The containment strategy, laid out by George
Kennan in the Long Telegram, dictated that the United States do
everything in its power to prevent the spread of communism. US
officials believed that if South Vietnam fell to communism, so would
the surrounding countries of Indonesia, Thailand, Burma, Malaysia,
Laos, and Cambodia.

Lyndon Johnson and the war in Vietnam


In August 1964, the US government received word that two North
Vietnamese torpedo boats attacked US destroyers in the Gulf of
Tonkin. President Lyndon Johnson requested authorization from
Congress for the use of military force, resulting in the Gulf of Tonkin
resolution, which laid the groundwork for the full-scale US military
commitment to Vietnam. The resolution declared the support of
Congress for “all necessary measures to repel any armed attack
against the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and to prevent further
aggression.”

Read the Gulf of Tonkin resolution


Johnson was motivated by both domestic political and international
balance of power considerations. He fully subscribed to the domino
theory and to the containment strategy, and also feared appearing
weak in the eyes of his domestic political opponents.

In 1965, Johnson dramatically escalated US involvement in the war.


He authorized a series of bombing campaigns, most notably
Operation Rolling Thunder, and also committed hundreds of
thousands of US ground troops to the fight. Fearful that the war
would jeopardize his domestic agenda, Johnson concealed the
extent of the military escalation from the American public.
President Lyndon Johnson awards a medal to an American soldier during a visit to
Vietnam in 1966.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The 1968 Tet Offensive, a bold North Vietnamese attack on the


south, convinced many US officials that the war could not be won at
a reasonable cost. Heightened opposition to the war wa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Johnson’s decision not to run for re-election in
1968.

Richard Nixon and Vietnam


Richard Nixon campaigned for the presidency with a “secret plan” to
end the war in Vietnam. Once in office, his administration sought to
achieve “peace with honor.” Nixon ultimately expanded the war into
neighboring Laos and Cambodia, while simultaneously encouraging
the “Vietnamization” of the war effort, which entailed the gradual
withdrawal of US troops and an increasing reliance on the South
Vietnamese armed forces. By the end of 1969, the number of
American troops in Vietnam had been cut in half.

The Paris Peace Accords established the terms according to


which the last remaining US troops in Vietnam would be withdrawn.
In 1975, the North Vietnamese finally achieved the objective of
uniting the country under one communist government.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was formally established on July 2, 1976, and
Saigon was renamed Ho Chi Minh City. Though the outcome of
the war was a clear defeat for the United States, the countries
surrounding Vietnam did not subsequently fall to communism,
demonstrating the flawed reasoning of the domino theory.

The war in Vietnam had lasting consequences for US foreign policy.


Congress passed the War Powers Act in 1973, in a clear attempt
to reassert a measure of control over the making of foreign policy
and to impose constraints on presidential power. For well over a
decade, American public opinion was hostile to the idea of foreign
interventions. This was known as the “Vietnam syndrome,” and it
entailed an unwillingness to become bogged down in foreign wars
in which American national security interests were unclear.

개요

베트남 전쟁은 프랑스에 대한 반식민 전쟁으로 시작되어 국제


공산주의와 자유 시장 민주주의 사이의 냉전 대결로 발전한
장기간의 군사적 갈등이었습니다.

북쪽의 베트남민주공화국(DRV)은 소련, 중국 등 공산국가들의


지원을 받았고, 남쪽의 베트남공화국(ROV)은 미국과 반공
동맹국들이 지원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은 일련의 강력한 폭격 작전을 승인하고 수십만


명의 미국 지상군을 전투에 투입함으로써 미국의 분쟁 개입을
극적으로 확대했습니다.

미국이 전쟁에서 철수한 후,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침공하여


공산주의 정부 하에 나라를 통일했다.

베트남 전쟁의 기원

미국이 베트남에 개입한 기원은 제2차 세계대전 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베트남인들은 자국에서 계속되는 프랑스 식민지
주둔에 맞서 싸우고 있었다. 베트민(베트남 독립 동맹)의 지도자이자
베트남 공산당의 창립자인 호치민은 민족주의, 반프랑스 정서와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이념을 성공적으로 혼합했습니다. 1954년,
베트남 해방을 위한 장기간의 게릴라전 끝에 베트민은 디엔비엔푸를
점령하고 프랑스군을 결정적으로 패주시켰습니다.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분단을 보여주는 지도. 두 나라는


분계선이라고도 알려진 17선을 따라 분단되었습니다.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분단을 보여주는 지도. 두 나라는


분계선이라고도 알려진 17선을 따라 분단되었습니다.

베트남의 지도. 17선은 1954년 제네바 평화협상 이후 남북베트남을


나누는 경계선을 가리킨다.

제네바에서 열린 평화 협상에서 베트남을 북부와 남부로 나누기로


결정했습니다. 호치민이 이끄는 공산주의자들은 하노이를 수도로
하는 북부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고, 사이공을 수도로 하는
남베트남은 비공산주의로 남게 되었다.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북부를 지지했고, 미국은 독립된 비공산 남베트남을 유지하기로
결심했다.

1960년 12월, 흔히 베트콩이라고 불리는 민족해방전선이 남베트남


정부에 도전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남베트남을 장악하기 위해
내전이 발발했고, 하노이는 공산주의 지도력 아래 국가를
통합하려고 했습니다.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공산주의자들이
남베트남을 압도하는 것을 막으려는 미국의 약속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61년 봄, 존 F. 케네디 행정부는 미군 고문의
증가, 군사 지원의 두 배 증가, 네이팜탄, 제초제, 고엽제 사용 승인
등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확대했습니다.

미국의 동남아 개입 확대는 도미노 하나가 무너지면 다른 나라도


연이어 무너지듯이, 한 나라가 공산주의로 몰락하면 주변 국가들도
공산주의에 굴복한다는 도미노 이론 논리에 따른 것이다. Long
Telegram에서 George Kennan이 제시한 봉쇄 전략은 미국이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습니다. 미국 관리들은 남베트남이 공산주의에 무너지면 주변
국가인 인도네시아, 태국, 버마, 말레이시아, 라오스, 캄보디아도
무너질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린든 존슨과 베트남 전쟁

1964년 8월, 미국 정부는 통킹 만에서 북베트남 어뢰정 2척이 미국


구축함을 공격했다는 소식을 받았습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은
군사력 사용에 대한 승인을 의회에 요청했고, 그 결과 통킹만
결의안이 도출되었고, 이는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인 군사
투입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결의안은 "미국 군대에 대한 모든 무력
공격을 격퇴하고 추가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에
대한 의회의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Johnson은 국내 정치 및 국제 세력 균형을 고려하여 동기를 부여
받았습니다. 그는 도미노 이론과 봉쇄 전략을 전적으로 신봉했으며
국내 정치적 반대자들의 눈에 약해 보일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1965년에 존슨은 미국의 전쟁 개입을 극적으로 확대했습니다. 그는


일련의 폭격 캠페인, 특히 롤링 썬더 작전(Operation Rolling
Thunder)을 승인했으며 수십만 명의 미국 지상군을 전투에
투입했습니다. 전쟁이 자신의 국내 의제를 위태롭게 할 것을
두려워한 존슨은 미국 대중에게 군사력 확대의 정도를 숨겼습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이 1966년 베트남을 방문하는 동안 미군에게


메달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68년 구정 대공세(Tet Offensive)는 북베트남의 남쪽에 대한


대담한 공격으로 많은 미국 관리들에게 전쟁이 불가능하다고
확신시켰습니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당첨되세요. 전쟁에 대한 반대가 높아진 것은


존슨이 1968년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한 주요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리처드 닉슨과 베트남

리처드 닉슨은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키려는 “비밀 계획”을 가지고


대통령 선거 운동을 벌였습니다. 그의 행정부는 취임 후 “명예로운
평화”를 추구했습니다. 닉슨은 궁극적으로 전쟁을 이웃 국가인
라오스와 캄보디아로 확대하는 동시에 전쟁 노력의 "베트남화"를
장려했으며, 이는 미군의 점진적인 철수와 남베트남 군대에 대한
의존도 증가를 수반했습니다. 1969년 말까지 베트남 주둔 미군
병력은 절반으로 줄었다.

파리 평화 협정은 베트남에 마지막으로 남은 미군을 철수한다는


조건을 확립했습니다. 1975년, 북베트남은 마침내 하나의 공산주의
정부 하에 국가를 통합하려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1976년 7월 2일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수립되었고, 사이공은
호치민시로 개칭되었다. 전쟁의 결과는 미국의 패배였지만, 베트남
주변 국가들은 이후 공산주의에 빠지지 않았으며 이는 도미노
이론의 잘못된 추론을 입증했습니다.

베트남 전쟁은 미국의 외교 정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의회는 1973년에 전쟁권한법(War Powers Act)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대외 정책 결정에 대한 통제 수단을 다시 주장하고 대통령
권력에 제약을 가하려는 분명한 시도였습니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미국 여론은 외국의 개입에 대해 적대적이었습니다. 이는
'베트남 신드롬'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이 불분명한
외국 전쟁에 휘말리려는 의지를 수반했습니다.
Overview
● John F. Kennedy narrowly won the 1960 presidential election
against Richard Nixon by carefully cultivating the news media
and crafting an effective public image.
● Once in office, Kennedy prioritized domestic economic growth,
cutting taxes and boosting federal spending.
● During Kennedy’s brief presidency, the United States
experienced both foreign policy triumphs and tragedies,
including the Bay of Pigs invasion and the Cuban Missile
Crisis.
● Kennedy was assassinated in Dallas, Texas, on November 22,
1963.

The election of 1960


The 1960 presidential election, which has been described as the
“first modern presidential campaign,” pitted Republican Richard
Nixon, who had served as Vice President under Dwight D.
Eisenhower, against Democratic Senator John F. Kennedy, scion
of the elite Kennedy clan of Massachusetts.

Kennedy ran on a strong civil rights platform, hoping to offset the


expected hostility from Southern Democrats by adding Texan
Lyndon B. Johnson to the ticket as his vice president.
Still from the first presidential debate between Kennedy and Nixon. This was the first
nationally-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and Kennedy's good looks and charming
demeanor on screen gave him an edge over Nixon. Debate footage courtesy the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Though Kennedy and Nixon often have been portrayed as


ideological opposites, they both agreed on the necessity of US
global leadership in the Cold War. Both men were firmly
anti-communis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US military supremacy.

There were, however, som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ndidates. While Kennedy pledged to revive the economy by
strengthening the public sector, Nixon promised to slash federal
spending. Kennedy rhetorically embraced the goal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while Nixon largely neglected civil rights issues.
Unlike Nixon, Kennedy was Roman Catholic, and his campaign
dealt with accusations that his loyalty to the Pope would trump his
loyalty to the United Stat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ndidates, which were magnified by their appearances on
television. The first nationally-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occurred
on September 26, 1960. Kennedy appeared charismatic and
handsome, and was very effective at crafting a likable on-screen
persona.

Nixon, on the other hand, frequently seemed sweaty, nervous, and


brooding. Those who listened to the debate on the radio thought
that Nixon had won, while those who watched on television agreed
that Kennedy was the winner.

The election was extremely close, but Kennedy ultimately


triumphed over Nixon by a slender margin.

John F. Kennedy as president


Once in office, Kennedy embraced an economic model centered on
federal tax and spending policies. Originally proffered by the
economist John Maynard Keynes, Keynesian economics
theorized that federal deficit spending could boost economic growth
and lower unemployment.
Presidential photo portrait of John F. Kennedy.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The Kennedy administration approved a series of stimulus
measures to combat the recession, including the extension of social
security and unemployment benefits, and a twenty percent increase
in military spending. The minimum wage was raised and over $4
billion was allocated for housing construction. Kennedy also
announced that he would ask Congress for a $10 billion tax cut
unaccompanied by decreases in federal spending. He argued that
an economic boom would result from such an approach, and thus
tax revenues would be higher despite lower tax rates. While such
measures did stimulate the economy and reduce unemployment,
they also led to an increase in inflation and set the stage for conflict
between corporations and labor unions over wages and prices.

Although he had campaigned on a strong civil rights platform,


Kennedy adopted a much more cautious approach once in office.
This was partly due to the power of Southern Democrats in
Congress, who were threatening to block the president’s entire civil
rights agenda. Nevertheless, Kennedy appointed several African
Americans to high-profile positions in the federal government and
judiciary.

In 1963, he introduced comprehensive civil rights legislation, which


Congress was still debating at the time of Kennedy’s assassination.
The bill he introduced eventually would be passed as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Kennedy’s
successor, Lyndon Johnson.

The Kennedy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ncluded triumphs,


tragedies, and everything in between. The Cuban Missile Crisis
brought the world to the brink of nuclear annihilation. Though
Kennedy’s vacillation and indecisiveness about the Bay of Pigs
invasion had contributed to the missile crisis in the first place, his
determined statesmanship helped defuse tensions and negotiate a
peaceful resolution to the crisis. Kennedy authorized the Alliance for
Progress, a major trade and aid initiative designed to encourage
democratic reform and prevent violent revolution in Latin America.
Kennedy also set the stage for increased US involvement in
Vietnam by supporting a military coup in South Vietnam.

Kennedy's assassination
The presidency of John F. Kennedy was tragically cut short by an
assassin’s bullet on November 22, 1963, in Dallas, Texas. Lee
Harvey Oswald, an unstable ex-Marine with ties to the Soviet
Union and to the Cuban émigré community in Miami, shot Kennedy
from the window of a book depository while the president was riding
in a convertible limousine as part of a motorcade. Oswald himself
was then murdered while in police custody, by Jack Ruby, a Dallas
nightclub owner with ties to organized crime. Because of the
peculiar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Kennedy assassination,
numerous conspiracy theories have arisen, though the
preponderance of evidence suggests that Oswald acted alone.

Kennedy was succeeded in office by his vice president, Lyndon


Baines Johnson.

개요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는 신중하게 뉴스 매체를 육성하고


효과적인 대중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을 상대로 1960년 대통령 선거에서 간신히 승리했습니다.

케네디는 취임하자마자 국내 경제 성장, 세금 감면, 연방 지출 증대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습니다.

케네디의 짧은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미국은 피그스 만 침공, 쿠바


미사일 위기 등 외교 정책의 승리와 비극을 모두 경험했습니다.

케네디는 1963년 11월 22일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암살됐다.

1960년 선거
'최초의 현대 대선'으로 평가되는 1960년 대선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밑에서 부통령을 지낸 공화당원 리처드 닉슨이
케네디 가문의 후손인 민주당 상원의원 존 F. 케네디와 맞붙었다.
매사추세츠 주.

케네디는 텍사스 출신의 린든 B. 존슨(Lyndon B. Johnson)을


자신의 부통령으로 추가함으로써 남부 민주당원들의 예상되는
적대감을 상쇄하기를 희망하면서 강력한 시민권 플랫폼에
출마했습니다.

케네디와 닉슨의 첫 번째 대선 토론에서 나온 내용입니다. 이것은


전국적으로 방송된 최초의 대통령 토론이었고, 화면 속 케네디의
멋진 외모와 매력적인 태도는 그에게 닉슨보다 우위를 점하게
해주었습니다. 토론 영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도서관 및
박물관에서 제공됩니다.

케네디와 닉슨은 종종 이념적으로 반대되는 인물로 묘사되어


왔지만, 두 사람 모두 냉전 시대에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동의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확고한
반공주의자였으며 미국의 군사적 패권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두 후보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케네디는
공공부문을 강화해 경제를 되살리겠다고 약속한 반면, 닉슨은 연방
지출을 삭감하겠다고 약속했다. 케네디는 민권 운동의 목표를
수사적으로 받아들인 반면, 닉슨은 민권 문제를 대체로
무시했습니다. 닉슨과 달리 케네디는 로마 카톨릭 신자였으며, 그의
캠페인은 교황에 대한 그의 충성심이 미국에 대한 그의 충성심을
능가할 것이라는 비난을 다루었습니다.

두 후보 사이에는 상당한 문체 차이도 있었는데, 이는 텔레비전


출연으로 인해 더욱 증폭되었습니다. 전국적으로 방송된 최초의
대통령 토론은 1960년 9월 26일에 열렸습니다. 케네디는 카리스마
있고 잘생겼으며 호감 가는 화면 인물을 만드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반면에 닉슨은 종종 땀에 젖고, 긴장하고, 우울해 보였습니다.


라디오를 통해 토론을 들은 사람들은 닉슨이 승리했다고 생각한
반면, 텔레비전을 시청한 사람들은 케네디가 승리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선거는 매우 아슬아슬했지만 결국 케네디는 근소한 차이로 닉슨을


누르고 승리했습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케네디는 취임하자마자 연방 세금과 지출 정책을 중심으로 한 경제
모델을 수용했습니다. 원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즈(John
Maynard Keynes)가 제안한 케인스주의 경제학은 연방 적자 지출이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습니다.

존 F. 케네디의 대통령 사진 초상화.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케네디 행정부는 경기침체에 맞서기 위해 사회보장과 실업수당


확대, 군비 지출 20% 증가 등 일련의 경기부양책을 승인했다. 최저
임금이 인상되었고 40억 달러 이상이 주택 건설에 할당되었습니다.
케네디는 또한 연방 지출 감소와 함께 100억 달러의 세금 감면을
의회에 요청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는 그러한 접근 방식으로
인해 경제 호황이 초래될 것이며, 따라서 낮은 세율에도 불구하고
세수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경기를
활성화하고 실업률을 낮추기는 했지만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임금과
물가를 둘러싸고 기업과 노조 간 갈등의 장을 마련하기도 했다.

케네디는 강력한 민권 강령을 바탕으로 캠페인을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취임한 후에는 훨씬 더 신중한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대통령의 민권 의제 전체를 차단하겠다고 위협하는
의회 내 남부 민주당의 힘에 기인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는 몇몇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연방 정부와 사법부 고위직에
임명했습니다.

1963년에 그는 케네디 암살 당시 의회에서 여전히 논의 중이던


포괄적인 민권법안을 발의했습니다. 그가 제출한 법안은 결국
케네디의 후계자인 린든 존슨 행정부 기간인 1964년 민권법으로
통과되었습니다.

케네디 행정부의 외교 정책에는 승리와 비극,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쿠바 미사일 위기는 세계를 핵멸망의 위기로
몰아넣었습니다. 애초에 피그스만 침공에 대한 케네디의 동요와
우유부단함이 미사일 위기의 원인이 되었지만, 그의 확고한 정치
수완은 긴장을 완화하고 위기에 대한 평화적 해결을 협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케네디는 Progr을 위한 동맹을 승인했습니다.

ess는 라틴 아메리카의 민주적 개혁을 장려하고 폭력적인 혁명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주요 무역 및 지원 계획입니다. 케네디는 또한
남베트남에서 군사 쿠데타를 지원함으로써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확대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케네디 암살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임기는 1963년 11월 22일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암살자의 총알에 의해 비극적으로 단축되었습니다.
소련과 마이애미의 쿠바 이민자 공동체와 관련이 있는 불안정한 전
해병 리 하비 오스왈드는 대통령이 자동차 행렬의 일부로 컨버터블
리무진을 타고 있는 동안 도서 보관소 창문에서 케네디를 총으로
쐈습니다. 오스왈드 자신은 경찰에 구금되어 있는 동안 조직범죄와
관련이 있는 댈러스 나이트클럽 소유주인 잭 루비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케네디 암살을 둘러싼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수많은 음모론이 제기되었지만, 증거의 우세는 오스왈드가 단독으로
행동했음을 암시합니다.

케네디의 뒤를 이어 부통령 린든 베인스 존슨이 취임했습니다.

Overview
● Lyndon Johnson becam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after
the assassination of John F. Kennedy in November 1963. He
served as president from 1963-1969.
● The Great Society, a package of programs and legislation
aimed at eradicating poverty and improving health care and
education, was President Johnson’s chief domestic policy
program and one of his permanent legacies.
● President Johnson vastly expanded the US military role in
Vietnam.
● Johnson chose not to run for re-election in 1968, largely due
to the Vietnam debacle and the disarray of the Democratic
Party. He was succeeded in office by Richard Nixon.

Lyndon Johnson ascends to power


Lyndon Baines Johnson, a New Deal Democrat from rural West
Texas, served in both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Senate
before becoming vice president to John F. Kennedy. He was the
Senate Minority Leader for two years, the Senate Majority Whip for
two years, and the Senate Majority Leader for six years, and some
historians believe he was the most effective majority leader in US
history.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Lyndon Johnson holding up one
hand as he is sworn in as president amidst a crowd of people in the
interior of the presidential plane Air Force One. Next to Johnson
stands Jacqueline Kennedy, who is still wearing the bloodstained
coat she wore earlier in the day when her husband John F. Kennedy
was shot and killed during a parade in Dallas, Texas.

Lyndon Johnson's swearing-in ceremony on Air Force One, just hours after Kennedy's
assassination. Former First Lady Jacqueline Kennedy stands next to Johnson.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On November 22, 1963, President Kennedy was felled by an
assassin’s bullet in Dallas, Texas. Two hours after the
assassination, Johnson was sworn into office aboard Air Force
One. He pledged to carry on Kennedy’s legacy and to fulfill his
political agenda, particularly concerning civil rights.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64, Johnson won in a landslide against
conservative Republican Barry Goldwater.

LBJ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Once in office, Johnson moved quickly to secure the passage of
civil rights legislation that had languished in Congress during
Kennedy’s presidency.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banned racial
segreg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facilities, and prohibited
discrimination in jobs and housing. In March 1965, Johnson
delivered a speech in which he condemned racial bigotry and
informed the nation that he was sending another civil rights bill to
Congress.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outlawed poll taxes,
literacy tests, and other devices that had been used to prevent
Southern blacks from voting.

Together, these two acts constituted the most comprehensive civil


rights legislation ever passed, and were a paramount achievement
of Johnson’s presidency.
The Great Society
Johnson’s major focus as president was the Great Society, a
package of domestic programs and legislation aimed at eradicating
pover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ll Americans. The Great
Society vastly expanded the welfare state and included initiatives
such as the War on Poverty.

Johnson signs the Medicare Bill into law, 1965. Image courtesy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Johnson launched the War on Poverty in March 1964, when he sent


the Economic Opportunity Act to Congress. The bill created the Job
Corps and the Community Action Program, which aimed to
eliminate poverty through job creation and block grants to local
communities for services such as Head Start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Office of Economic Opportunity was established
to oversee the disbursement of funds to community-based
anti-poverty programs, and the Food Stamp Act of 1964 expanded
the federal food stamp program.

President Johnson’s Great Society also established Medicare and


Medicaid, which provide healthcare to the poor and to the elderly.

The Great Society also involved education reform.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1965 authorized $1 billion in federal
funding for public education and established special programs for
schools in low-income areas. The Higher Education Act of 1965
increased federal funding for universities and extended
scholarships and low-interest loans to college students.

In sum, the Great Society was an ambitious domestic program that


expanded the scope of the federal government far beyond the limits
of the New Deal, and it constitutes one of Johnson’s most enduring
legacies.

Johnson and the war in Vietnam


In August 1964, reports that North Vietnamese torpedo boats had
attacked two US destroyers in the Gulf of Tonkin led Johnson to
request and obtain from Congress the Gulf of Tonkin Resolution,
which authorized the use of military force in Southeast Asia.
Johnson made a series of controversial decisions that dramatically
escalated military action and enlarged the US troop presence in
Vietnam.

As US casualties mounted, the conflict stalemated, and revelations


emerged that the Johnson administration had lied to the American
public about the nature and scope of the war. Anti-war sentiment
intensified and LBJ’s approval ratings plummeted.

Johnson chose not to run for re-election in 1968, largely due to the
disastrous war in Vietnam and the internecine conflicts tearing apart
the Democratic Party. He was succeeded in office by Richard M.
Nixon.

개요

린든 존슨은 1963년 11월 존 F. 케네디가 암살된 후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그는 1963년부터 1969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습니다.
빈곤 퇴치와 의료 및 교육 개선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프로그램과
법안인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는 존슨 대통령의 주요 국내 정책
프로그램이자 그의 영구 유산 중 하나였습니다.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역할을 크게 확대했다.

존슨은 베트남 사태와 민주당의 혼란 때문에 1968년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는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이
대통령직을 계승했습니다.

린든 존슨이 권력을 잡다

서부 텍사스 시골 출신의 뉴딜 민주당원인 린든 베인스 존슨(Lyndon


Baines Johnson)은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의 부통령이 되기
전에 하원과 상원을 모두 역임했습니다. 그는 2년 동안 상원 소수당
지도자, 2년 동안 상원 다수당 지도자, 6년 동안 상원 다수당
지도자였으며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미국 역사상 가장 효과적인
다수당 지도자였다고 믿습니다.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내부에 모인 군중 속에서 린든 존슨이 한


손을 들고 대통령 취임식을 하는 흑백 사진. 존슨 옆에는 재클린
케네디가 서 있는데, 케네디는 남편 존 F. 케네디가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열린 퍼레이드 도중 총에 맞아 사망했을 때 입었던 피
묻은 코트를 아직도 입고 있습니다.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내부에 모인 군중 속에서 린든 존슨이 한
손을 들고 대통령 취임식을 하는 흑백 사진. 존슨 옆에는 재클린
케네디가 서 있는데, 케네디는 남편 존 F. 케네디가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열린 퍼레이드 도중 총에 맞아 사망했던 그날 일찍
입었던 피묻은 코트를 아직도 입고 있습니다.

케네디가 암살된 지 불과 몇 시간 뒤, 린든 존슨의 에어포스원


선서식. 전 영부인 재클린 케네디(Jacqueline Kennedy)가 존슨 옆에
서 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63년 11월 22일, 케네디 대통령은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암살자의


총탄에 쓰러졌습니다. 암살 2시간 후 존슨은 에어포스원(Air Force
One)에 탑승해 취임 선서했습니다. 그는 케네디의 유산을 계승하고
특히 시민권과 관련된 정치적 의제를 이행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1964년 대통령 선거에서 존슨은 보수적인 공화당원 배리
골드워터(Barry Goldwater)를 압도적으로 누르고 승리했다.

LBJ와 민권 운동

취임 후 존슨은 케네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의회에서 시달렸던


민권 법안의 통과를 확보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습니다. 1964년
민권법은 공교육과 시설에서 인종 차별을 금지하고 직업과 주거에
있어서 차별을 금지했습니다. 1965년 3월 존슨은 연설을 통해
인종적 편견을 비난하고 또 다른 시민권 법안을 의회에 보낼
것이라고 국민에게 알렸습니다. 1965년 투표권법은 남부 흑인들의
투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인두세, 읽기 쓰기 능력 테스트 및
기타 장치를 불법화했습니다.

이 두 법안은 지금까지 통과된 가장 포괄적인 민권법을 구성했으며


존슨 대통령 임기의 가장 중요한 성취였습니다.

위대한 사회

대통령으로서 존슨의 주요 초점은 빈곤 퇴치와 모든 미국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국내 프로그램 및 법안의 패키지인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였습니다. 위대한 사회는 복지 국가를 크게
확장하고 빈곤과의 전쟁과 같은 계획을 포함했습니다.

존슨은 1965년 메디케어 법안에 서명합니다. 이미지 제공: Harry S.


Truman 도서관 및 박물관.

존슨은 1964년 3월 경제기회법(Economic Opportunity Act)을


의회에 제출하면서 빈곤과의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이 법안은
일자리 창출을 통해 빈곤을 퇴치하고 유아 발달을 위한 헤드
스타트(Head Start)와 같은 서비스에 대한 지역 사회에 대한
보조금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직업 봉사단(Job Corps)과
지역 사회 행동 프로그램(Community Action Program)을
만들었습니다. 지역사회 기반 빈곤 퇴치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출을 감독하기 위해 경제 기회국(Office of Economic
Opportunity)이 설립되었으며, 1964년 푸드 스탬프법(Food Stamp
Act)은 연방 푸드 스탬프 프로그램을 확대했습니다.

존슨 대통령의 Great Society는 또한 가난한 사람들과 노인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Medicare와 Medicaid를 설립했습니다.

Great Society에는 교육 개혁도 포함되었습니다. 1965년


초중등교육법은 공교육을 위한 연방 자금 10억 달러를 승인하고
저소득 지역 학교를 위한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1965년
고등교육법은 대학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늘리고 대학생들에게
장학금과 저리 대출을 확대했습니다.

요약하면, Great Society는 뉴딜 정책의 한계를 훨씬 넘어 연방


정부의 범위를 확장한 야심찬 국내 프로그램이었으며 Johnson의
가장 오래 지속되는 유산 중 하나입니다.

존슨과 베트남 전쟁

1964년 8월, 통킹만에서 북베트남 어뢰정이 미국 구축함 2척을


공격했다는 보도가 조를 이끌었다.

Nson은 동남아시아에서의 군사력 사용을 승인하는 통킹만 결의안을


의회에 요청하고 획득해야 합니다. 존슨은 군사 행동을 극적으로
확대하고 베트남에서 미군 주둔을 확대하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일련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미국의 사상자가 늘어나면서 갈등은 교착상태에 빠졌고, 존슨
행정부가 전쟁의 성격과 범위에 대해 미국 대중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반전 정서가 심화되고 LBJ의 지지율이
급락했습니다.

존슨은 1968년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그 이유는 주로


베트남에서의 비참한 전쟁과 민주당을 분열시킨 내부 분쟁
때문이었습니다. 그의 뒤를 이어 Richard M. Nixon이 취임했습니다.

Overview
● The March on Washington, which took place on August 28,
1963, was one of the largest civil rights rallies in US history,
and one of the most famous examples of non-violent mass
direct action.
● At the march, Martin Luther King, Jr. delivered his inspirational
“I Have a Dream” speech, which envisioned a world where
people were judged not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 The March on Washington was highly publicized in the news
media, and helped to gather momentum for the passage of the
Civil Rights Act in 1964.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March
on Washington
The March on Washington brought together many different civil
rights groups, labor union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NAACP),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SNCC), the 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FL-CIO), and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SCLC).
View from the Lincoln Memorial in Washington, DC, on August 28, 1963, where more than
a quarter of a million protestors gathered to hear Dr. Martin Luther King deliver his 'I Have
a Dream' speech.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Nevertheless, not all civil rights activists were in favor of the march.
Bayard Rustin, though one of the main organizers of the march,
was concerned that it would turn violent and damage the
international reputation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Others, like
Malcolm X, who helped popularize the militant Black Power
Movement, derided the March on Washington because of its
nonviolent, integrationist approach. Calling it the “Farce on
Washington,” Malcolm X condemned black civil rights activists for
collaborating with whites and accepting donations from whites.

On August 28, 1963, 250,000 protestors converged on the National


Mall in Washington, DC to demonstrate in favor of full civil, political,
and economic rights for African Americans. The March on
Washington was one of the largest demonstrations for human rights
in US history, and a spectacular example of the power of
non-violent direct action. 1963 was the 100th anniversary of
Abraham Lincoln’s Emancipation Proclamation, and one of the
major themes of the rally was that the promises of emancipation
remained unfulfilled. The march began at the Washington
monument and ended at the Lincoln Memorial, where
representatives of the sponsoring organizations delivered
speeches.

The last speaker of the day was Dr. Martin Luther King, Jr., who
delivered what became the most famous speech of the entire civil
rights era, the “I Have a Dream” speech, which envisioned a world
in which people were judged not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Read an excerpt from King's 'I Have a Dream' speech

Because of this, a popular misconception has arisen that it was Dr.


King who initiated the rally. In fact, the idea for a march on
Washington belonged to A. Philip Randolph, a black labor leader
who headed the Negro American Labor Council at the time of the
march, and had previously organized the Brotherhood of Sleeping
Car Porters, the first African American labor union in US history.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Martin Luther King waving to the
crowd from the Lincoln Memorial during the March on Washington.

Dr. Martin Luther King Jr. at the March on Washington.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African American demands for economic


justice
The sole purpose of the March on Washington was not to eliminate
Jim Crow laws, though the protestors certainly desired to bring a
swift end to the segregation that had been institutionalized in the
South after the Civil War.

Though the organizers of the rally demanded the desegregation of


all schools, the majority of the demands revolved around issues of
economic justice – like equal access to public facilities and
accommodations, housing, education, and jobs.

Many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had come to believe that the
economic deprivation and exploitation of African Americans was
just as significant a problem as racism. At the time of the March on
Washington, Congress was debating civil rights legislation, and
widespread news coverage of the rally helped to draw the nation’s
attention to these issues and to attain broad public support for the
protestors’ demand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mands was for a federal Fair


Employment Practices Act, which would ban discriminatory hiring
practices. This demand would be realized the following year, with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which create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The demand for the enforcement of the
Fifteenth Amendment, moreover, would finally be realized with the
passage of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which eliminated the
barriers to black enfranchisement that had been erected as part of
Jim Crow.

개요

1963년 8월 28일에 열린 워싱턴 행진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민권


집회 중 하나였으며, 비폭력적인 대중 직접 행동의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였습니다.

행진에서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영감을 주는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을 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피부색이 아니라 성격에
따라 평가받는 세상을 상상한 것입니다.

워싱턴 행진은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1964년 민권법 통과의


추진력을 모으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민권 운동과 워싱턴 행진

워싱턴 행진에는 NAACP(전국 유색인종 발전 협회), SNCC(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 미국 노동 연맹( AFL-CIO),
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SCLC) 등이 있다.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DC의 링컨 기념관에서 바라본 마틴 루터


킹 박사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을 듣기 위해 25만 명
이상의 시위대가 모였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민권 운동가들이 행진을 지지한 것은
아닙니다. 행진의 주요 조직자 중 한 명인 Bayard Rustin은 행진이
폭력적으로 변하고 민권 운동의 국제적 명성이 손상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전투적인 흑인 권력 운동의 대중화를 도운 말콤 X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워싱턴 행진의 비폭력적이고 통합주의적인 접근
방식을 비웃었습니다. Malcolm X는 이를 "워싱턴에 대한
희극"이라고 부르며 백인과 협력하고 백인으로부터 기부를 받는
흑인 민권 운동가를 비난했습니다.

1963년 8월 28일, 250,000명의 시위자들이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에 모여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완전한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권리를 옹호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 워싱턴 행진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인권 시위 중 하나였으며, 비폭력 직접 행동의 힘을 보여주는
놀라운 사례였습니다. 1963년은 에이브러햄 링컨의 노예해방 선언
100주년이 되는 해였으며, 집회의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노예해방
약속이 아직 이행되지 않았다는 것이었습니다. 행진은 워싱턴
기념비에서 시작되어 후원 단체 대표들이 연설한 링컨 기념관에서
끝났습니다.

이날 마지막 연사는 시민권 시대 전체를 통틀어 가장 유명한 연설이


된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이었습니다. 사람이 평가받지 않는
세상을 상상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이 있었습니다.
피부색이 아니라 성격의 내용에 따라 다릅니다.
이 때문에 집회를 주도한 사람이 킹 박사였다는 오해가 대중적으로
생겨났다. 실제로 워싱턴 행진에 대한 아이디어는 행진 당시 미국
흑인 노동 협의회 의장이었던 흑인 노동 지도자 A. 필립 랜돌프(A.
Philip Randolph)의 것이었으며, 이전에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잠자는 차 포터 형제단(Brotherhood of Sleeping Car Porters)을
조직했습니다. 미국 역사상 노동조합.

워싱턴 행진 동안 링컨 기념관에서 군중에게 손을 흔드는 마틴 루터


킹의 흑백 사진.

워싱턴 행진 동안 링컨 기념관에서 군중에게 손을 흔드는 마틴 루터


킹의 흑백 사진.

워싱턴 행진에 참석한 마틴 루터 킹 목사.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제 정의 요구

워싱턴 행진의 유일한 목적은 짐 크로우 법을 철폐하는 것이


아니었지만, 시위자들은 확실히 남북전쟁 이후 남부에서
제도화되었던 인종차별을 조속히 종식시키길 원했습니다.
집회 주최자는 모든 학교의 인종 차별 철폐를 요구했지만 대부분의
요구는 공공 시설과 숙박 시설, 주택, 교육 및 일자리에 대한 평등한
접근과 같은 경제 정의 문제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민권 운동의 많은 사람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제적 박탈과


착취가 인종차별만큼이나 심각한 문제라고 믿게 되었습니다. 워싱턴
행진 당시 의회는 시민권 법안에 대해 토론 중이었고, 집회에 대한
광범위한 뉴스 보도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국가의 관심을 끌고
시위대의 요구에 대한 광범위한 대중의 지지를 얻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요구 중 하나는 차별적인 채용 관행을 금지하는 연방


공정 고용 관행법(Fair Employment Practices Act)이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이듬해 평등고용기회위원회(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를 창설한 1964년 민권법을 통해
실현되었습니다. 더욱이 수정헌법 제15조의 시행에 대한 요구는 짐
크로우(Jim Crow)의 일부로 세워졌던 흑인 선거권에 대한 장벽을
제거한 1965년 투표권법의 통과로 마침내 실현되었습니다.

Overview
●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was the most comprehensive
civil rights legislation ever enacted by Congress. It contained
extensive measures to dismantle Jim Crow segregation and
combat racial discrimination.
●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removed barriers to black
enfranchisement in the South, banning poll taxes, literacy
tests, and other measures that effectively prevented African
Americans from voting.
● Segregationists attempted to prevent the implementation of
federal civil rights legislation at the local level.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After years of activist lobbying in favor of comprehensive civil rights
legislation,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was enacted in June 1964.
Though President John F. Kennedy had sent the civil rights bill to
Congress in 1963, before the March on Washington, the bill had
stalled in the Judiciary Committee due to the dilatory tactics of
Southern segregationist senators such as James Eastland, a
Democrat from Mississippi.

After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Kennedy in November 1963,


his successor, Lyndon Baines Johnson, gave top priority to the
passage of the bill.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contained provisions barring


discrimination and segregation in education, public facilities, jobs,
and housing. It create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to ensure fair hiring practices, and established a
federal Community Relations Service to assist local communities
with civil rights issues. The bill also authorized the US Office of
Education to distribute financial aid to communities struggling to
desegregate public schools.

After a coalition of religious groups, labor unions, and civil rights


organizations mounted an intense grassroots effort to lobby support
for the bill, the Senate finally passed it on June 11, by a vote of 73
to 27.

Popular resistance to civil rights


legislation
The period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witnessed resistance to the implementation of its measures.
George Wallace, the segregationist governor of Alabama, made a
strong showing in the 1964 presidential primaries in Indiana,
Maryland, and Wisconsin. His campaign relied heavily on
anti-integration rhetoric and bemoaned the loss of “traditional”
American values, prefiguring the rise of the new social
conservatism.

There was also some confusion about whether the provisions of the
act applied to the private sector. Some public venues attempted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private clubs rather than desegregate
and open their doors to African Americans. The Supreme Court
declared such actions illegal, thereby uphol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equal access provisions of the Civil Rights Act.

Though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included provisions to


strengthen the voting rights of African Americans in the South,
these measures were relatively weak and did not prevent states
and election officials from practices that effectively continued to
deny southern blacks the vote. Moreover, in their attempts to
expand black voter registration, civil rights activists met with the
fierce opposition and hostility of Southern white segregationists,
many of whom were entrenched in positions of authority.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civil rights activists marching from
Selma to Montgomery, Alabama. Many marchers are carrying
American flags.

Civil rights activists marching from Selma to Montgomery, Alabama, in March 1965.

The vicious beatings and murders of civil rights workers after the
passage of the Civil Rights Act radicalized some black activists,
who became skeptical of nonviolent, integrationist tactics and
began to adopt a more radical approach. On March 7, 1965, six
hundred activists set out on a march from Selma, Alabama to
Montgomery to peacefully protest the continued violations of African
Americans’ civil rights. When they reached the Edmund Pettus
Bridge over the Alabama River, hundreds of deputies and state
troopers attacked them with tear gas, nightsticks, and electric cattle
prods. The event, which the press dubbed “Bloody Sunday,” was
broadcast over television and splashed across the front page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stunning and horrifying the American
public. Bloody Sunday galvanized civil rights activists, who
converged on Selma to demand federal intervention and express
solidarity with the marchers. President Johnson quickly became
convinced that additional civil rights legislation was necessary.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A week after Bloody Sunday, on March 15, 1965, President
Johnson delivered a nationwide address in which he declared that
“all Americans must have the privileges of citizenship regardless of
race.”

Read an excerpt from Johnson's speech

Johnson informed the nation that he was sending a new voting


rights bill to Congress, and he urged Congress to vote the bill into
law. Congress complied, and President Johnson signed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on August 6, 1965.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Lyndon Johnson extending a hand to
Martin Luther King Jr. They are surrounded by a crowd of onlookers,
both black and white.

President Lyndon Johnson shakes hands with civil rights activists, including Dr. Martin
Luther King Jr., after signing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Image courtesy the LBJ
Presidential Library.

The bill outlawed poll taxes, literacy tests, and other practices that
had effectively prevented southern blacks from voting. It authorized
the US attorney general to send federal officials to the South to
register black voters in the event that local registrars did not comply
with the law, and it also authorized the federal government to
supervise elections in districts that had disfranchised African
Americans.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transformed patterns of
political power in the South. By the middle of 1966, over half a
million Southern blacks had registered to vote, and by 1968, almost
four hundred black people had been elected to office.

As African Americans joined the Democratic Party, many white


southerners began to defect to the Republicans. (Richard Nixon’s
“Southern strategy,” designed to shift white Southerners to the
Republican Party, accelerated this trend.) With African Americans
voting en masse, some Southern Democrats, like George Wallace,
began to shed their segregationist rhetoric and attempt to appeal to
black voters. At the federal level, President Johnson appointed the
first black cabinet member, Robert C. Weaver, as head of the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and in 1967
appointed Thurgood Marshall as the first African American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개요

1964년 민권법은 의회에서 제정된 가장 포괄적인


민권법이었습니다. 여기에는 짐 크로우(Jim Crow) 인종 차별을
철폐하고 인종 차별에 맞서기 위한 광범위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1965년의 투표권법은 남부의 흑인 선거권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여


인두세, 읽고 쓰는 능력 테스트 및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투표를
효과적으로 방해하는 기타 조치를 금지했습니다.

인종차별주의자들은 지방 수준에서 연방 민권법이 시행되는 것을


막으려고 시도했습니다.

1964년 민권법

포괄적인 시민권 법안을 지지하는 활동가들의 수년간의 로비 끝에


1964년의 시민권법이 1964년 6월에 제정되었습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워싱턴 행진 이전인 1963년에 시민권 법안을 의회에
보냈습니다. 미시시피주 출신의 민주당원인 제임스
이스트랜드(James Eastland)와 같은 남부 분리주의 상원의원들의
지연 전술로 인해 사법위원회에서 정체 상태에 있었습니다.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된 후, 그의 후임자인 린든


베인스 존슨(Lyndon Baines Johnson)은 법안 통과에 최우선 순위를
두었습니다.

1964년 민권법(Civil Rights Act)에는 교육, 공공 시설, 일자리 및


주택에서 차별과 분리를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정한 채용 관행을 보장하기 위해 평등 고용 기회 위원회(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를 창설했으며, 민권 문제가
있는 지역 사회를 지원하기 위해 연방 지역 사회 관계
서비스(Community Relations Service)를 설립했습니다. 이 법안은
또한 미국 교육청이 공립학교의 인종차별 철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에 재정 지원을 제공하도록 승인했습니다.

종교 단체, 노동 조합, 민권 단체 연합이 이 법안에 대한 지지를 위해


로비 활동을 벌인 끝에 상원은 마침내 6월 11일 법안을 73대 27로
통과시켰습니다.

민권법안에 대한 대중의 저항

1964년 민권법 제정 이후 기간 동안 해당 법안의 시행에 대한 저항이


목격되었습니다. 인종차별주의자인 앨라배마 주지사 조지
월리스(George Wallace)는 1964년 인디애나, 메릴랜드,
위스콘신에서 열린 대통령 예비선거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그의 캠페인은 반통합 수사에 크게 의존하고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가 상실된 것을 한탄하며 새로운 사회 보수주의의 부상을
예고했습니다.

이 법의 조항이 민간 부문에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혼란도


있었습니다. 일부 공공 장소에서는 인종차별을 철폐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문을 개방하는 대신 개인 클럽으로 변신하려고
시도했습니다. 대법원은 그러한 행위가 불법이라고 판결하여
민권법의 평등한 접근 조항의 합헌성을 유지했습니다.

1964년 민권법에는 남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투표권을 강화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조치는 상대적으로 약했고 주와
선거 공무원이 남부 흑인의 투표를 효과적으로 계속 거부하는
관행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더욱이, 흑인 유권자 등록을 확대하려는
시도에서 민권 운동가들은 남부 백인 인종차별주의자들의 맹렬한
반대와 적대감에 부딪혔는데, 그들 중 다수는 권위 있는 위치에
확고히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셀마에서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까지 행진하는 민권 운동가들의 흑백


사진. 많은 행진 참가자들이 성조기를 들고 있습니다.

셀마에서 앨라배마주 몽고메리까지 행진하는 민권 운동가들의 흑백


사진. 많은 행진 참가자들이 성조기를 들고 있습니다.

1965년 3월 셀마에서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까지 행진하는 민권


운동가들.

민권법이 통과된 후 민권 운동가에 대한 잔혹한 구타와 살인은 일부


흑인 운동가들을 급진화시켰고, 이들은 비폭력적이고 통합주의적인
전술에 회의를 품고 보다 급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기
시작했습니다. 1965년 3월 7일, 600명의 활동가들이 계속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민권 침해에 평화적으로 항의하기 위해
앨라배마주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 행진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이
앨라배마강을 가로지르는 에드먼드 페터스 다리에 도착했을 때 수백
명의 의원과 주 경찰이 최루탄, 야간봉, 전기 소 찌르기 등으로
그들을 공격했습니다. 언론이 '블러디 선데이(Bloody Sunday)'라고
명명한 이 행사는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되었고 신문과 잡지의 첫
페이지를 장식해 미국 대중을 놀라게 하고 소름끼쳤습니다. 블러디
선데이(Bloody Sunday)는 연방정부의 개입을 요구하고
행진자들과의 연대를 표명하기 위해 셀마에 모인 민권 운동가들을
자극했습니다. 존슨 대통령은 추가적인 시민권 법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빨리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1965년 투표권법

블러디 선데이(Bloody Sunday) 일주일 후인 1965년 3월 15일, 존슨


대통령은 전국적인 연설에서 "모든 미국인은 인종에 관계없이
시민권의 특권을 가져야 한다"고 선언했습니다.

존슨은 자신이 새로운 투표권 법안을 의회에 보낼 것이라고


국민에게 알리고 의회가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의회에
촉구했습니다. 의회는 이에 따랐고 존슨 대통령은

1965년 8월 6일에 1965년 투표권법이 제정되었습니다.


린든 존슨이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 손을 내밀고 있는 흑백 사진.
그들은 흑백 구경꾼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린든 존슨이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 손을 내밀고 있는 흑백 사진.


그들은 흑백 구경꾼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이 1965년 투표권법에 서명한 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박사를 포함한 민권 운동가들과 악수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제공: LBJ 대통령 도서관.

이 법안은 남부 흑인들의 투표를 효과적으로 방해했던 인두세,


문해력 테스트 및 기타 관행을 불법화했습니다. 이는 지역
등록기관이 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흑인 유권자를 등록하기 위해
미국 법무장관이 연방 공무원을 남부로 보낼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으며, 또한 연방 정부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선거권을
박탈한 지역의 선거를 감독할 권한도 부여했습니다. 1965년의
투표권법은 남부 정치권력의 패턴을 변화시켰습니다. 1966년
중반에는 50만 명 이상의 남부 흑인이 유권자 등록을 했고,
1968년에는 거의 400명의 흑인이 공직에 선출되었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민주당에 합류하면서 많은 남부 백인들이


공화당으로 탈북하기 시작했습니다. (백인 남부인을 공화당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고안된 리처드 닉슨의 "남부 전략"은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했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집단 투표를 하게 되면서
조지 월리스와 같은 일부 남부 민주당원은 인종차별주의적 수사를
버리고 흑인에게 호소하려고 시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유권자. 연방
차원에서 존슨 대통령은 최초의 흑인 내각 구성원인 로버트 C.
위버(Robert C. Weaver)를 주택 및 도시 개발부 장관으로
임명했으며, 1967년에는 서굿 마샬(Thurgood Marshall)을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법원 판사로 임명했습니다.

Overview
● The Congress for Racial Equality (CORE) was formed in
1942 as an interracial organization committed to achieving
integration through nonviolent direct action and civil
disobedience.
●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SNCC),
formed in 1960, focused on mobilizing local communities in
nonviolent protests to expose injustice and demand federal
action.
● CORE and SNCC—together with other organizations such as
the NAACP and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led the Civil Right Movement’s campaigns of the
early 1960s, which included sit-ins, Freedom Rides, voter
registration drives, and the 1963 March on Washington.
● By the late 1960s both CORE and SNCC became
disillusioned with the slow rate of progress associated with
nonviolence and turned toward the growing Black Power
movement.

CORE
CORE was founded by a group of white and black students on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in 1942. Its founders had been
active in the interfaith, pacifist Fellowship of Reconciliation, and
drew inspiration from Mahatma Gandhi’s practice of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CORE sent some of its members to help in the Montgomery Bus


Boycott, and supported student sit-ins at lunch counters across the
South.

James Farmer, co-founder of the Congress of Racial Equality and president during the
Freedom Rides of 1961.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In 1961, CORE's national director James Farmer organized an
effort to integrate interstate bus stations and buses in the Deep
South with a series of Freedom Rides. Freedom Riders were
groups of white and black civil rights activists who rode buses to
challenge segregation in interstate transportation in southern states.

Learn more about the origin of the Freedom Rides

The first Freedom Riders left Washington, D.C. on two buses that
traveled into southern states. Freedom Riders were met with brutal
violence by whites opposed to racial integration. An unidentified
white person threw a fire bomb through an open bus window
outside Anniston, Alabama, and Freedom Riders were beaten by a
white mob after exiting the burning bus. One rider suffered
permanent brain damage from a beating. In Birmingham, Alabama
another rider required more than fifty stitches after being struck by a
metal pipe.

The first two Freedom Ride buses were terminated after ten days.
But during the summer of 1961, the Freedom Rides were carried on
by more than a thousand Americans. John Lewis, who would soon
become a celebrated civil rights leader, wrote at the time that he
would “give up all if necessary for the Freedom Ride, that Justice
and Freedom might come to the Deep South.” The Freedom Rides
were widely covered in the press, and remain one of the most
memorable events in Civil Rights Movement history.

John Lewis was chairman of SNCC from 1963-1966. He later served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for more than 30 years. Image credit: Wikimedia Commons
CORE activists also contributed to the voter registration drives in
the Deep South that became the focu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late 1961, and contributed to the voter education and registration
drives during 1963 and 1964 in Mississippi and elsewhere. CORE
cosponsored the 1963 March on Washington for Jobs and
Freedom, the gathering of some 250,000 Americans at which
Martin Luther King, Jr. delivered his “I Have a Dream” speech.

By 1966 CORE increasingly embraced black separatism and black


power, and lent its support to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SNCC
SNCC—pronounced “snick”—grew out of student sit-ins at lunch
counters that had begun in February 1960 in Greensboro, North
Carolina. Read more about the lunch counter sit-ins

In April, Ella Baker, the executive secretary of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SCLC) and students from the
sit-ins met on the campus of Shaw University in Raleigh, North
Carolina and founded SNCC.
SNCC, as its name suggests, endeavored to coordinate efforts
among students—both black and white—in direct action, nonviolent
efforts in the movement for civil rights. SNCC conducted
lunch-counter sit-ins, contributed participants to the 1961 Freedom
Rides, cosponsored the 1963 March on Washington, and
contributed to voter education and registration drives across the
South. During the 1964 Mississippi Freedom Summer three young
SNCC activists were murdered in their efforts to register black
voters.

Ella Baker, civil rights activist and grassroots organizer who helped to found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In 1966 Stokely Carmichael was elected to head SNCC.


Carmichael embraced the Black Power Movement, which included
black separatism and the use of violence in self-defense. In June
1966, Carmichael declared at a rally that “1966 is the year of the
concept of Black Power. The year when black men realized their full
worth in society—their dignity and their beauty—and their
power—the greatest power on the earth—the power of the right.”

With its commitment to nonviolence dropped, Carmichael renamed


the organization the Student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In
1967, H. Rap Brown took over as SNCC chairman and moved the
organization further toward black separatism.

By the late 1960s, the broader Civil Rights Movement fragmented in


the wake of the April 1968 assassination of Martin Luther King, Jr.
and rioting in major American cities. By the early 1970s, SNCC had
dissolved.

개요

인종평등회의(CORE)는 비폭력 직접 행동과 시민 불복종을 통해


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종 간 조직으로 1942년에
결성되었습니다.

1960년에 결성된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는 불의를


폭로하고 연방 조치를 요구하기 위해 지역 사회를 비폭력 시위로
동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CORE 및 SNCC는 NAACP 및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와 같은 다른 조직과 함께 1960년대 초 연좌 농성, 자유
승마 운동, 유권자 등록 운동, 1963년 워싱턴 행진을 포함한 민권
운동의 캠페인을 주도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에 CORE와 SNCC는 모두 비폭력과 관련된 느린


진행 속도에 환멸을 느끼고 성장하는 블랙 파워 운동으로
전환했습니다.

핵심

CORE는 1942년 시카고 대학교 캠퍼스에서 백인과 흑인 학생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창립자들은 종교 간 평화주의 화해
모임에서 활동했으며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시민 불복종 실천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CORE는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돕기 위해 일부 회원을


파견했으며 남부 전역의 점심 카운터에서 학생 연좌 농성을
지원했습니다.

James Farmer, 인종 평등 회의의 공동 창립자이자 1961년 Freedom


Rides 당시 회장.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61년 CORE의 전국 이사인 James Farmer는 일련의 Freedom


Rides를 통해 Deep South의 주간 버스 정류장과 버스를 통합하려는
노력을 조직했습니다. 프리덤 라이더(Freedom Riders)는 남부
주에서 주간 교통의 인종 차별에 맞서기 위해 버스를 탔던 백인과
흑인 민권 운동가들의 그룹이었습니다.

최초의 Freedom Riders는 남부 주로 여행하는 두 대의 버스를 타고


워싱턴 D.C.를 떠났습니다. Freedom Riders는 인종 통합에
반대하는 백인들의 잔인한 폭력에 직면했습니다. 신원을 알 수 없는
백인이 앨라배마주 애니스턴 외곽의 열린 버스 창문을 통해
화염병을 던졌고, 프리덤 라이더스는 불타는 버스에서 내린 후 백인
폭도들에게 구타당했습니다. 한 라이더는 구타로 인해 영구적인 뇌
손상을 입었습니다. 앨라배마 주 버밍엄에서는 또 다른 라이더가
금속 파이프에 맞아 50바늘 이상을 꿰매야 했습니다.

처음 두 대의 Freedom Ride 버스는 10일 후에 종료되었습니다.


그러나 1961년 여름에는 1000명이 넘는 미국인이 Freedom Rides를
진행했습니다. 곧 유명한 시민권 운동가가 될 존 루이스(John
Lewis)는 당시에 "Freedom Ride를 위해 필요하다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정의와 자유가 남부 남부에 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썼습니다. Freedom Rides는 언론에 널리 보도되었으며 민권 운동
역사상 가장 기억에 남는 행사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존 루이스(John Lewis)는 1963년부터 1966년까지 SNCC의
회장이었습니다. 그는 나중에 30년 이상 미국 하원의원으로
일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CORE 활동가들은 또한 1961년 말 민권 운동의 초점이 된 Deep


South의 유권자 등록 운동에 기여했으며, 1963년과 1964년 동안
미시시피 및 기타 지역에서 유권자 교육 및 등록 운동에
기여했습니다. CORE는 1963년 워싱턴에서 열린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을 공동 후원했습니다. 이 행진은 약 250,000명의
미국인이 모인 자리에서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을 했습니다.

1966년까지 CORE는 점점 더 흑인 분리주의와 흑인 권력을


수용하고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지원했습니다.

SNCC

"스닉(snick)"으로 발음되는 SNCC는 1960년 2월 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즈버러에서 시작된 점심 카운터의 학생 연좌 농성을 통해
성장했습니다.

지난 4월, 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SCLC) 사무총장 엘라 베이커와


연좌농성 학생들이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에 있는 쇼대학교
캠퍼스에서 만나 SNCC를 설립했다.
SNCC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흑인과 백인 학생들 사이의 노력을
조정하여 민권 운동에 대한 직접적인 행동, 비폭력적인 노력을
기울이려고 노력했습니다. SNCC는 점심 카운터 연좌 농성을
실시하고, 1961년 Freedom Rides에 참가자를 기부했으며, 1963년
워싱턴 행진을 공동 후원했으며, 남부 전역의 유권자 교육 및 등록
운동에 기여했습니다. 1964년 미시시피 프리덤 서머 기간 동안 세
명의 젊은 SNCC 활동가가 흑인 유권자 등록을 하려다
살해당했습니다.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설립을 도운 민권 운동가이자 풀뿌리 조직자인 엘라
베이커(Ella Baker).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66년 Stokely Carmichael이 SNCC의 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카마이클은 흑인 분리주의와 자기 방어를 위한 폭력의 사용을
포함하는 블랙 파워 운동을 받아들였습니다. 1966년 6월 카마이클은
집회에서 “1966년은 블랙 파워 개념의 해이다. 흑인들이 사회에서
자신의 모든 가치, 즉 존엄성과 아름다움, 그리고 그들의 힘, 즉
지구상에서 가장 큰 힘인 권리의 힘을 깨달은 해입니다.”
비폭력에 대한 헌신이 사라지자 카마이클은 조직의 이름을 S로
변경했습니다.

학생 전국조정위원회. 1967년 H. Rap Brown이 SNCC 회장직을


맡아 조직을 흑인 분리주의 방향으로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1960년대 말, 1968년 4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과 미국 주요


도시에서의 폭동으로 인해 광범위한 시민권 운동이 분열되었습니다.
1970년대 초에 SNCC는 해체되었습니다.

Overview
● “Black Power” refers to a militant ideology that aimed not at
integration and accommodation with white America, but rather
preached black self-reliance, self-defense, and racial pride.
● Malcolm X was the most influential thinker of what became
known as the Black Power movement, and inspired others like
Stokely Carmichael of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and Huey P. Newton and Bobby Seale of the
Black Panther Party.
● The Black Panther Party in Oakland, California, operated as
both a black self-defense militia and a provider of services to
the black community.

The origins of Black Power


Though the actual phrase “Black Power” did not come into
widespread usage until 1966, the ideas underlying Black Power
were not new. As early as the 1940s, A. Philip Randolph, an African
American labor activist, called for a march on Washington to
pressure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to outlaw racial
discrimination in federal employment. Randolph envisioned the
march as “an all-Negro movement” that would inculcate “a sense of
self-reliance” and “break down the slave psychology and
inferiority-complex in Negroes which comes and is nourished with
Negroes relying on white people for direction and support.”

Though Randolph himself eschewed black nationalism, the goals


of self-reliance and racial pride would become key components of
the Black Power ideology.

The author Richard Wright had also published a book called Black
Power in 1954, a non-fiction chronicle of his travels to Africa’s Gold
Coast, the country that would become Ghana.

Wright’s journey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ties between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and the centrality of decolonization
in black power ideology. In the 1950s and 1960s, African countries
were becoming independent after decades of European colonial
rule. African American thinkers like Richard Wright and later,
Malcolm X, drew a connection between the struggles of Africans to
overthrow the remaining vestiges of colonial oppression and the
struggles of African Americans to overcome the white power
structure in the United States.

Malcolm X and the Nation of Islam


Led by Elijah Muhammad, born Elijah Poole, the Nation of Islam,
also known as the Black Muslims, had existed since the 1930s.
Malcolm X, born Malcolm Little, became acquainted with Elijah
Muhammad and the teachings of the Nation of Islam while serving
time for burglary at the Norfolk Prison Colony in Massachusetts.
After the expiration of his parole, he became involved with the
Nation of Islam, serving as its emissary on a visit to the Middle East
and Africa in 1959, and becoming the minister of Mosque No. 7 in
Harlem. Malcolm X’s fiery rhetoric and charismatic presence gained
the Nation of Islam many new adherents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The Nation of Islam advocated black self-empowerment and
self-reliance, as well as cultural and racial pride. The most famous
Black Muslim was undoubtedly the heavyweight boxer Cassius
Clay, who changed his name to Muhammad Ali after converting.
Malcolm X, Black Power advocate and founder of the Organization of Afro-American Unity.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In 1964, Malcolm X again traveled to the Middle East and Africa,
and made his Hajj (Islamic pilgrimage) to Mecca in Saudi Arabia.
Upon his return to the United States, he publicly repudiated the
Nation of Islam and the teachings of Elijah Muhammad, choosing
instead to adhere to a more conventional version of Sunni Islam. He
founded the Organization of Afro-American Unity, which embrac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black freedom struggle and continued
to emphasize black self-determination and self-defense. On
February 21, 1965, after months of receiving death threats, Malcolm
X was assassinated at the Audubon Ballroom in Manhattan by
members of the Nation of Islam.

His autobiography was published shortly after his death and quickly
became a bestseller.

The Black Panther Party


In June 1966, Stokely Carmichael of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shouted the words “black power” in an
address to a freedom rally in Greenwood, Mississippi.
The incident reflected the increased militancy of groups like SNCC
and CORE, which had previously adhered to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The Black Panther Party of Self-Defense was
founded in 1966 in Oakland, California, by Huey P. Newton and
Bobby Seale, who issued a ten-point program demanding, among
other things, freedom, employment, and an immediate end to police
brutality.

Read an excerpt from the Black Panther Party's Ten-Point Program

The Black Panthers gained notoriety when in the spring of 1967,


its gun-toting members staged a protest at the state capitol against
a gun control bill then being debated by the California state
legislature. The Black Panthers espoused a militant form of black
self-defense and functioned as a local militia, taking advantage of
open-carry gun laws to patrol black neighborhoods in Oakland in
order to prevent police harassment and brutality. The Panthers also
provided community services, such as free breakfasts for children,
drug and alcohol rehabilitation programs, self-defense classes, and
free medical clinics and childcare centers.

Largely due to the Panthers’ militant rhetoric and armed


self-defense, the state of California imposed strictures on
open-carry gun laws, and the FBI employed its counter-intelligence
program (COINTELPRO) to combat what it perceived as the Black
Panther Party’s subversive threat to American democracy.

개요

'블랙 파워'는 백인 미국과의 통합과 화해를 목표로 하지 않고 오히려


흑인의 자립, 자기 방어, 인종적 자부심을 설파하는 전투적 이념을
가리킨다.

Malcolm X는 블랙 파워 운동으로 알려진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였으며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의 Stokely Carmichael, Black
Panther Party의 Huey P. Newton 및 Bobby Seale과 같은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Black Panther Party는 흑인 자기 방어


민병대이자 흑인 커뮤니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으로
활동했습니다.

블랙 파워의 기원

"블랙 파워"라는 실제 문구는 1966년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블랙 파워의 기초가 되는 아이디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1940년대 초,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동 운동가인 A. 필립 랜돌프(A.
Philip Randolph)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연방 고용에서
인종 차별을 금지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해 워싱턴 행진을
촉구했습니다. Randolph는 행진을 "자립심"을 고취하고 "노예
심리와 흑인의 열등감 콤플렉스를 무너뜨리는" 흑인 전체 운동으로
상상했습니다. 지원하다."

랜돌프 자신은 흑인 민족주의를 피했지만, 자립과 인종적


자부심이라는 목표는 흑인 권력 이데올로기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습니다.

작가 Richard Wright는 1954년에 나중에 가나가 될 국가인


아프리카의 골드 코스트를 여행한 논픽션 연대기인 Black
Power라는 책도 출판했습니다.

Wright의 여정은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간의 유대의


중요성과 흑인 권력 이데올로기에서 탈식민지화의 중심성을
강조합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수십
년간의 유럽 식민 통치를 마치고 독립을 이루었습니다. Richard
Wright와 이후 Malcolm X와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상가들은
남아 있는 식민지 억압의 잔재를 타도하려는 아프리카인의 투쟁과
미국의 백인 권력 구조를 극복하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투쟁을
연관지었습니다.
말콤 X와 이슬람 국가

엘리야 풀(Elijah Poole)로 태어난 엘리야 무하마드(Elijah


Muhammad)가 이끄는 이슬람 국가, 흑인 무슬림으로도 알려진
이슬람 국가는 1930년대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말콤 리틀(Malcolm
Little)에서 태어난 말콤 X(Malcolm X)는 매사추세츠의 노퍽
교도소에서 강도죄로 복역하는 동안 엘리야 무하마드(Elijah
Muhammad)와 이슬람 국가의 가르침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석방
기간이 만료된 후 그는 이슬람 국가에 참여하여 1959년 중동 및
아프리카 방문에서 특사로 봉사했으며 할렘에 있는 7번 모스크의
장관이 되었습니다. Malcolm X의 맹렬한 수사와 카리스마 넘치는
존재감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이슬람 국가에 많은
새로운 지지자를 얻었습니다. 이슬람 국가는 문화적, 인종적
자부심뿐만 아니라 흑인의 자립과 자립을 옹호했습니다. 가장
유명한 흑인 무슬림은 의심할 여지 없이 헤비급 복서인 캐시우스
클레이(Cassius Clay)였으며, 개종 후 이름을 무하마드
알리(Muhammad Ali)로 바꿨습니다.

말콤 X(Malcolm X)는 블랙 파워(Black Power) 옹호자이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통일 조직(Organization of Afro-American
Unity)의 창립자입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1964년 말콤 X는 다시 중동과 아프리카를 여행했고,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로 하지(Hajj)(이슬람 순례)를 했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공개적으로 이슬람 국가와 엘리야 무하마드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대신 수니파 이슬람의 보다 전통적인 버전을
고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는 흑인 자유 투쟁의 국제화를
수용하고 흑인 자결과 자기 방어를 계속 강조하는 Afro-American
Unity 조직을 설립했습니다. 1965년 2월 21일, 몇 달 동안 살해
위협을 받은 후, 말콤 X는 맨해튼의 오듀본 볼룸에서 이슬람 국가
회원들에 의해 암살되었습니다.

그의 자서전은 그가 죽은 직후에 출판되었고, 곧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블랙 팬서 파티

1966년 6월,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의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미시시피 주 그린우드에서 열린 자유 집회 연설에서 "블랙 파워"라는
말을 외쳤습니다.

이 사건은 이전에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고수했던 SNCC 및


CORE와 같은 단체의 전투성이 증가했음을 반영했습니다. Black
Panther Party of Self-Defense는 Huey P. Newton과 Bobby Seale에
의해 1966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창설되었습니다. 이들은
무엇보다도 자유, 고용, 경찰 폭력의 즉각적인 종식을 요구하는
10개항 강령을 발표했습니다. .

Black Panthers는 1967년 봄에 총기 소지 회원들이 주 의사당에서


총기 규제 법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인 후 캘리포니아 주 의회에서
논의되면서 악명을 얻었습니다. Black Panthers는 전투적인 형태의
흑인 자기 방어를 옹호하고 경찰의 괴롭힘과 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형 총기 소지법을 활용하여 오클랜드의 흑인 동네를 순찰하는
지역 민병대 역할을 했습니다. Panthers도 제공했습니다.

어린이를 위한 무료 아침 식사, 약물 및 알코올 재활 프로그램,


호신술 수업, 무료 진료소 및 보육 센터와 같은 지역 사회 서비스.

주로 Panthers의 호전적인 수사 및 무장 자기 방어로 인해


캘리포니아 주는 공개 총기 소지법에 엄격한 규제를 가했으며 FBI는
Black Panther Party의 전복적인 행위에 맞서 싸우기 위해 반첩보
프로그램(COINTELPRO)을 사용했습니다.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Overview
● During the 1960s, influenced and inspired by the Civil Rights
Movement, women of all ages began to fight to secure a
stronger role in American society.
● As members of groups like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NOW) asserted their rights and strove for equality for
themselves and others, they upended many accepted norms
and set groundbreaking social and legal changes in motion.
● Title VII is the section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hat
prohibited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n the basis of
gender.

From the Civil Rights Movement to


Women's Liberation
In the 1950s and 1960s, the Civil Rights Movement was creating a
climate of protest as activists claimed rights and new positions in
society for people of color.

Women filled significant roles in organizations fighting for civil rights


like the Student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SNCC) and
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SDS). However, women often
found that those organizations—enlightened as they might have
been about racial issues or the war in Vietnam—could still be
influenced by patriarchal ideas of male superiority.

Two members of SNCC, Casey Hayden and Mary King, presented


some of their concerns about their organization’s treatment of
women in a document entitled “On the Position of Women in
SNCC,” which argued that SNCC practice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imilar to the discrimination practiced against African
Americans by whites. Stokely Carmichael, field organizer and future
chairman of SNCC, joked that the position for women in the
movement was “prone.”

Photograph of Casey Hayden and an unidentified man at the


Freedom Summer training in 1964.

1964 photo of Casey Hayden (right), who joined colleague Mary King in critiquing the
Student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s treatment of women. Image credit: SNCC Digital
Gateway

Nevertheless, the Civil Rights Movement contributed materially to


women's rights.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which prohibited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n the basis of race, color, national
origin, and religion, also prohibited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sex in Title VII. Ironically, protection for women had been included
at the suggestion of a Virginia congressman in an attempt to
prevent the act’s passage; his reasoning seemed to be that, while a
white man might accept that African Americans needed and
deserved protection from discrimination, the idea that women
deserved equality with men would be far too radical for any of his
male colleagues to contemplate. Nevertheless, the act passed,
granting broad workplace protections to women and minorities.

The Feminine Mystique and NOW


Just as the abolitionist movement made nineteenth-century women
more aware of their lack of power and encouraged them to form the
first women’s rights movement--sometimes called first-wave
feminism--the protest movements of the 1960s inspired many white
and middle-class women to create their own organized movement
for greater rights--known as second-wave feminism. Many were
older, married women who found the traditional roles of housewife
and mother unfulfilling.

In 1963, writer and feminist Betty Friedan published The Feminine


Mystique, a nonfiction book in which she contested the post-World
War II belief that it was women’s destiny to marry and bear children.
Friedan’s book was a best-seller and began to raise the
consciousness of many women who agreed that homemaking in the
suburbs sapped them of their individualism and left them
unsatisfied.
Photograph of Betty Friedan.

Betty Friedan was the author of The Feminine Mystique, a book that critiqued the popular
1950s notion that a woman's highest satisfaction was to be found in life as a homemaker.
Friedan went out to become the first president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In 1966,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NOW), formed


and proceeded to set an agenda for the feminist movement.
Framed by a statement of purpose written by Friedan, the agenda
began by proclaiming NOW’s goal to make possible women’s
participation in all aspects of American life and to gain for them all
the rights enjoyed by men. Among the specific goals set was the
passage of the Equal Rights Amendment (ERA), a proposed
Constitutional Amendment guaranteeing equal rights for women.
First introduced in Congress in 1923, the ERA was passed in 1972
but failed to receive the 38 state ratifications necessary to become
part of the Constitution. It has yet to be adopted today.

A photograph shows Betty Friedan and three other women engaged


in conversation.

Early members of NOW discuss the problems faced by American women. Betty Friedan is
second from the left. Image credit: Smithsonian Institution Archives

The Pill
Medical science also contributed a tool to assist women in their
liberation. In 1960,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pproved
the birth control pill, freeing women from the restrictions of
pregnancy and childbearing. Women who were able to limit, delay,
and prevent reproduction were freer to work, attend college, and
delay marriage. Within five years of the pill’s approval, some six
million women were using it.

The pill was the first medicine ever intended to be taken by people
who were not sick. Even conservatives saw it as a possible means
of making marriages stronger by removing the fear of an unwanted
pregnancy and improving the health of women. Its opponents,
however, argued that it would promote sexual promiscuity,
undermine the institutions of marriage and the family, and destroy
the moral code of the nation. By the early 1960s, 30 states had
made it a criminal offense to sell contraceptive devices.

Radical feminism
More radical feminists, like their colleagues in other movements,
were dissatisfied with merely redressing economic issues. They
devised their own brand of consciousness-raising events and
symbolic attacks on women’s oppression.

The most famous of these was an event staged in September 1968


by New York Radical Women. Protesting stereotypical notions of
femininity and rejecting traditional gender expectations, the group
demonstrated at the Miss America Pageant in Atlantic City, New
Jersey, to bring attention to the contest’s—and
society’s—exploitation of women. The protestors crowned a sheep
Miss America and then tossed instruments of women’s oppression,
including high-heeled shoes, curlers, girdles, and bras, into a
“freedom trash can.” News accounts famously, and incorrectly,
described the protest as a “bra burning."

개요

1960년대에는 민권 운동의 영향과 영감을 받아 모든 연령대의


여성들이 미국 사회에서 더 강력한 역할을 확보하기 위해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전국여성기구(NOW)와 같은 단체의 회원들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자신과 타인의 평등을 위해 노력하면서 기존의 많은
규범을 뒤집고 획기적인 사회적, 법적 변화를 촉발했습니다.

Title VII는 성별에 따른 고용 차별을 금지하는 1964년 민권법


조항입니다.

민권운동에서 여성해방까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민권 운동은 활동가들이 유색 인종의


권리와 사회에서의 새로운 지위를 주장하면서 항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었습니다.

여성들은 SNCC(학생전국조정위원회), SDS(민주사회를 위한 학생)


등 민권을 위해 싸우는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여성들은 인종 문제나 베트남 전쟁에 대해 계몽된 조직이 여전히
남성 우월주의에 대한 가부장적 사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종종 발견했습니다.

SNCC의 두 회원인 케이시 헤이든(Casey Hayden)과 메리 킹(Mary


King)은 "SNCC에서 여성의 지위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조직의 여성 대우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SNCC가 여성에 대해 행해지는 차별과 유사한 차별을 행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백인에 의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현장 조직자이자
차기 SNCC 회장인 스토클리 카마이클(Stokely Carmichael)은 이
운동에서 여성의 입장이 "경향적"이라고 농담을 했습니다.

1964년 Freedom Summer 훈련에 참석한 케이시 헤이든과 신원


미상의 남자의 사진.

1964년 Freedom Summer 훈련에 참석한 케이시 헤이든과 신원


미상의 남자의 사진.

1964년 동료 Mary King과 함께 학생 전국 조정 위원회의 여성


대우를 비판한 Casey Hayden(오른쪽)의 사진. 이미지 출처: SNCC
디지털 게이트웨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권 운동은 여성의 권리에 실질적으로


기여했습니다. 인종, 피부색, 국적, 종교에 따른 고용 차별을
금지하는 1964년 민권법(Civil Rights Act)은 Title VII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별을 금지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법의 통과를 막기
위해 버지니아 의원의 제안으로 여성 보호가 포함되었습니다. 그의
추론은 백인 남성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차별로부터 보호받을
필요가 있고 차별로부터 보호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여성이 남성과 평등할 자격이 있다는 생각은 그의 남성
동료가 고려하기에는 너무 급진적이라는 것 같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법안은 통과되어 여성과 소수자에게 광범위한 직장
보호를 제공했습니다.

여성의 신비와 지금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이 19세기 여성들이 자신의 권력 부족을 더 잘


인식하게 하고 최초의 여성 권리 운동(때때로 제1의 물결
페미니즘이라고도 함)을 형성하도록 장려했던 것처럼, 1960년대의
항의 운동은 많은 백인과 중산층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여성들은
더 큰 권리를 위해 자신만의 조직화된 운동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제2물결 페미니즘이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주부와 어머니의
전통적인 역할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생각하는 나이 많은 기혼
여성이었습니다.

1963년 작가이자 페미니스트인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은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것이 여성의 운명이라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믿음에 이의를 제기하는 논픽션 책인 The Feminine
Mystique를 출판했습니다. 프리단의 책은 베스트셀러였으며
교외에서의 가사 생활이 그들의 개인주의를 약화시키고
불만족스럽게 만든다는 데 동의하는 많은 여성들의 의식을
고양시키기 시작했습니다.

베티 프리단의 사진.
베티 프리단의 사진.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은 여성의 가장 큰 만족은 주부로서의


삶에서 찾을 수 있다는 1950년대 대중적인 관념을 비판한 책인 The
Feminine Mystique의 저자입니다. 프리단은 전국여성기구(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의 초대 회장이 되기 위해 나섰습니다.

1966년에는 전국여성기구(NOW)가 결성되어 페미니즘 운동의


의제를 설정하기 시작했다. 프리단이 작성한 목적 선언문에 따라
의제는 미국 생활의 모든 측면에 여성의 참여를 가능하게 하고
남성이 누리는 모든 권리를 여성이 얻을 수 있도록 하려는 NOW의
목표를 선언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목표 중에는
여성의 평등한 권리를 보장하는 헌법 개정안인 평등권
수정안(ERA)의 통과도 있었습니다. 1923년 의회에서 처음 도입된
ERA는 1972년에 통과되었지만 헌법의 일부가 되기 위해 필요한
38개의 주 비준을 받지 못했습니다. 오늘은 아직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사진에는 베티 프리단과 다른 세 명의 여성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사진에는 베티 프리단과 다른 세 명의 여성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NOW의 초기 회원들은 미국 여성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합니다.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은 왼쪽에서 두 번째입니다. 이미지
크레디트: 스미소니언 협회 기록 보관소
알약

의학은 또한 여성의 해방을 돕는 도구에 기여했습니다. 1960년

,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여성이 임신과 출산의 제한에서 해방되는


피임약을 승인했습니다. 생식을 제한, 지연, 방지할 수 있는 여성은
더 자유롭게 일하고, 대학에 진학하고, 결혼을 지연할 수 있었습니다.
피임약이 승인된 지 5년 이내에 약 600만 명의 여성이 피임약을
사용했습니다.

피임약은 아프지 않은 사람이 복용하도록 고안된 최초의


약이었습니다. 심지어 보수주의자들도 이를 원치 않는 임신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여성의 건강을 향상시켜 결혼 생활을 더욱
튼튼하게 만드는 가능한 수단으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반대자들은
그것이 성적인 난잡함을 조장하고 결혼 제도와 가족 제도를
약화시키며 국가의 도덕률을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60년대 초까지 30개 주에서는 피임 장치 판매를 형사 범죄로
규정했습니다.

급진적 페미니즘

다른 운동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더 급진적인 페미니스트들은


단순히 경제 문제를 시정하는 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의식 고양 행사와 여성 억압에 대한 상징적 공격이라는
자신들만의 브랜드를 고안했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1968년 9월 뉴욕 급진적 여성(New York
Radical Women)이 주최한 행사였습니다. 여성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항의하고 전통적인 성별에 대한 기대를 거부하는 이 그룹은
뉴저지주 애틀랜틱시티에서 열린 미스 아메리카 대회에서 시연을
통해 대회와 사회의 여성 착취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시위자들은 미스 아메리카 양에게 왕관을 쓴 뒤 하이힐, 컬러, 거들,
브래지어 등 여성 억압 도구를 '자유 쓰레기통'에 던졌습니다. 뉴스
기사에서는 이 시위를 "브래지어 불타기"라고 묘사했지만
부정확하게 보도되었습니다.

Key points
● In the late 1960s and 1970s, Native Americans, gay men,
lesbians, and women organized to change discriminatory laws
and pursue government support for their interests, a strategy
known as identity politics.
● These groups, whose aims and tactics posed a challenge to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often met with hostility from
individuals, local officials, and the US government.
● Identity politics describes political movements or actions
intended to further the interests of a particular group, based on
culture, race, ethnicity, religion, sex, gender, or sexual
orientation.

Identity politics in a fractured society


The political divisions that plagued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were reflected in the rise of identity politics in the 1970s. As
people lost hope of reuniting as a society with common interests
and goals, many focused on issues of significance to the subgroups
to which they belonged, based on culture, ethnicity, sexual
orientation, gender, and religion.

Native American protest


During this period, many Native Americans were seeking to
maintain their culture or retrieve cultural elements that had been
lost. In 1968, a group of Native American activists, including Dennis
Banks, George Mitchell, and Clyde Bellecourt, convened a
gathering of two hundred people in Minneapolis, Minnesota, and
formed the American Indian Movement, or AIM.

The organizers were urban dwellers frustrated by decades of


poverty and discrimination. In 1970, the average life expectancy for
a Native American person was 46 years compared to the national
average of 69. The Native American suicide rate was twice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the highest
in the country. Half of all Native Americans lived on reservations,
where unemployment reached 50 percent. Of Native Americans
living in cities, 20 percent lived below the poverty line.

On November 20, 1969, a small group of Native American activists


landed on Alcatraz Island—the former site of a notorious federal
prison—in San Francisco Bay. They announced plans to build a
Native American cultural center, including a history museum, an
ecology center, and a spiritual sanctuary. People on the mainland
provided supplies by boat, and celebrities visited Alcatraz to
publicize the cause. More people joined the protestors until they
numbered about four hundred.

Photograph of a wall at Alcatraz Island featuring a notice that it is a


United States penitentiary. Graffiti on the wall says: "Indians
Welcome" and "Indian Land."
Photograph of graffiti on Alcatraz Island proclaiming 'Indians Welcome' and 'Indian Land.'
Visitors to the island can still see the graffiti today. Image credit: Wikimedia Commons

From the beginning, the federal government negotiated with them to


persuade them to leave. They were reluctant to give in, but over
time, they began to drift away of their own accord. Government
forces removed the final holdouts on June 11, 1971, 19 months
after the occupation began.

Read the proclamation issued by Native Americans occupying


Alcatraz Island

The next major demonstration came in 1972 when AIM members


and others marched on Washington, DC—a journey they called the
Trail of Broken Treaties—and occupied the offices of the Bureau of
Indian Affairs (BIA). The group presented a list of demands, which
included improved housing, education, and economic opportunities
in Native American communities; the drafting of new treaties; the
return of Native American lands; and protections for native religions
and culture.

The most dramatic event staged by AIM was the occupation of the
Native American community of Wounded Knee, South Dakota, in
February 1973. Wounded Knee, on the Pine Ridge Indian
Reservation, had historical significance: it was the site of an 1890
massacre of members of the Lakota tribe by the US Army. The
federal government surrounded the area with US marshals, FBI
agents, and other law enforcement forces. A siege ensued, which
lasted for 71 days. There was frequent gunfire from both sides; two
Native Americans were killed, and a US marshal and an FBI agent
were wounded.

The US government did very little to meet the protesters’ demands.


Two AIM leaders, Dennis Banks and Russell Means, were arrested,
but charges were later dismissed. The Nixon administration had
already halted the federal policy of termination and restored millions
of acres of tribal lands. Increased funding for Native American
education, healthcare, legal services, housing, and economic
development followed, along with the hiring of more Native
American employees in the BIA.

Gay rights
During this era, the struggle for gay and lesbian rights intensified as
well. Many gay rights groups were founded in Los Angeles and San
Francisco. The first postwar organization for gay civil rights, the
Mattachine Society, was launched in Los Angeles in 1950. The
first national organization for lesbians, the Daughters of Bilitis,
was founded in San Francisco five years later. In 1966, the city
became home to the National Transsexual Counseling Unit, the
world’s first organization for transgender people (transsexual is an
older term that was used by doctors and psychologists to describe
transgender people). In 1967, the Sexual Freedom League of San
Francisco was born.

Through these organizations and others, gay, lesbian and


transgender activists fought against the criminalization of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ir sexual and gender identities on a
number of occasions throughout the 1960s. They employed
strategies of both protests and litigation.

The most famous event in the gay rights movement, however,


took place not in San Francisco but in New York City. Early in the
morning of June 28, 1969, police raided a Greenwich Village gay
bar called the Stonewall Inn. Although such raids were common,
the response of the Stonewall patrons was anything but. As the
police prepared to arrest many of the customers, especially
transgender people and cross-dressers—who were particular
targets for police harassment—a crowd began to gather. Angered
by the brutal treatment of the prisoners, the crowd attacked. Beer
bottles and bricks were thrown. The police barricaded themselves
inside the bar and waited for reinforcements. The riot continued for
several hours and resumed the following night. Shortly thereafter,
the Gay Liberation Front and Gay Activists’ Alliance were formed;
these organizations began to protest discrimination, homophobia,
and violence against gay people, and promoted gay liberation and
gay pride.
Photograph of the Stonewall Inn in 1969.
The Stonewall Inn in 1969. Image credit: Wikimedia Commons

As advocacy organizations called for gay men and lesbians to come


out—reveal their sexual orientation—gay and lesbian communities
moved from the urban underground into the political sphere. Gay
rights activists protested strongly against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hich categorized homosexuality
as a mental illness. This classification often resulted in job loss, loss
of custody, and other serious personal consequences for people in
the LGBT—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community.
By 1974, the APA had ceased to classify homosexuality as a form
of mental illness but continued to consider it a “sexual orientation
disturbance.”

Nevertheless, in 1974, Kathy Kozachenko became the first openly


lesbian woman voted into office in Ann Arbor, Michigan. In 1977,
Harvey Milk became California’s first openly gay man elected to
public office. His service on San Francisco’s board of supervisors,
along with that of San Francisco mayor George Moscone, was
tragically cut short by the bullet of disgruntled former city supervisor
Dan White.

Women's liberation in the 1970s


The feminist push for greater rights continued through the 1970s.
Feminists opened battered women’s shelters and successfully
fought for protection from employment discrimination for pregnant
women, reform of rape laws—such as the abolition of laws requiring
a witness to corroborate a woman’s report of rape—criminaliza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funding for schools that sought to counter
sexist stereotypes of women. In 1973, the US Supreme Court in
Roe v. Wade affirmed a number of state laws under which
abortions obtained during the first three months of pregnancy were
legal. This made nontherapeutic abortion a legal medical procedure
nationwide.

A photograph shows a protest march of women on a city street.


Participants hold signs with messages such as “Women Demand
Equality;” “I’m a Second Class Citizen;” and “GWU Women’s
Liberation. Students Employees Faculty Wives Neighbors.”
In 1970, supporters of equal rights for women marched in Washington, DC. Image credit:
OpenStax

Many advances in women’s rights were the result of women’s


greater engagement in politics. For example, Patsy Mink, the first
Asian American woman elected to Congress, was the coauthor of
the Education Amendments Act of 1972, Title IX of which
prohibits sex discrimination in education. Mink had been interested
in fighting discrimination in education since her youth, when she
opposed racial segregation in campus housing while a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 She went to law school after being
denied admission to medical school because of her gender. Like
Mink, a number of other women sought and won political office,
many with the help of the National Women’s Political Caucus, or
NWPC. In 1971, the NWPC was formed by Bella Abzug, Gloria
Steinem, Shirley Chisholm, and other leading feminists to
encourage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al parties, elect women to
office, and raise money for their campaigns.

The ultimate political goal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or NOW, was the passage of an Equal Rights Amendment, or
ERA. The amendment passed Congress in March 1972, and was
sent to the states for ratification with a deadline of seven years for
passage; if the amendment was not ratified by 38 states by 1979, it
would die. Twenty-two states ratified the ERA in 1972, and eight
more ratified it in 1973. In the next two years, only four states voted
for the amendment. In 1979, still four votes short, the amendment
received a brief reprieve when Congress agreed to a three-year
extension, but the amendment never passed due to the opposition
of socially conservative grassroots organizations.

키 포인트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아메리카 원주민, 게이 남성,


레즈비언, 여성들은 차별적 법률을 바꾸고 그들의 이익을 위해 정부
지원을 추구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며, 이는 정체성 정치로 알려진
전략이었습니다.

기존 상황에 도전하는 목표와 전술을 가진 이들 그룹은 종종 개인,


지역 공무원, 미국 정부로부터 적대감을 느꼈습니다.

정체성 정치는 문화, 인종, 민족, 종교, 성별, 성적 지향을 기반으로


특정 집단의 이익을 증진하려는 정치적 움직임이나 행동을
말합니다.

분열된 사회의 정체성 정치

1960년대 미국을 괴롭혔던 정치적 분열은 1970년대 정체성 정치의


부상으로 반영되었습니다. 사람들이 공통의 이익과 목표를 가진
사회로 재결합할 희망을 잃어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문화, 민족,
성적 취향, 성별, 종교를 기반으로 자신이 속한 하위 집단에 중요한
문제에 집중했습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시위

이 기간 동안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은 자신의 문화를 유지하거나


잃어버린 문화적 요소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968년 데니스
뱅크스(Dennis Banks), 조지 미첼(George Mitchell), 클라이드
벨쿠르(Clyde Bellecourt)를 포함한 아메리카 원주민 활동가 그룹이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에서 200명의 사람들이 모인 모임을 열고
아메리칸 인디언 운동(AIM)을 결성했습니다.

주최측은 수십 년간의 빈곤과 차별에 좌절한 도시


거주자들이었습니다. 1970년 아메리카 원주민의 평균 기대 수명은
전국 평균 69세에 비해 46세였습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자살률은
일반 인구의 두 배였으며, 영아 사망률은 미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전체 아메리카 원주민의 절반이 보호구역에 살았으며 실업률은
50%에 달했습니다. 도시에 거주하는 아메리카 원주민 중 20%는
빈곤선 이하로 살았습니다.

1969년 11월 20일, 소수의 아메리카 원주민 활동가들이


샌프란시스코 만에 있는 악명 높은 연방 교도소였던 알카트라즈
섬에 상륙했습니다. 그들은 역사 박물관, 생태 센터, 영적 성소를
포함한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센터를 건립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본토 사람들은 보트로 물자를 공급했고, 유명인사들도 알카트라즈를
방문해 그 이유를 알렸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약 400명에 이를
때까지 시위대에 합류했습니다.

미국 교도소라는 표시가 있는 알카트라즈 섬의 벽 사진. 벽에는


"Indians Welcome"과 "Indian Land"라는 낙서가 적혀 있습니다.
미국 교도소라는 표시가 있는 알카트라즈 섬의 벽 사진. 벽에는
"Indians Welcome"과 "Indian Land"라는 낙서가 적혀 있습니다.

'인디언 환영'과 '인디언 땅'을 선포하는 알카트라즈 섬의 낙서 사진.


섬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낙서를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처음부터 연방정부는 그들이 떠나도록 설득하기 위해 그들과 협상을


벌였습니다. 그들은 포기하기를 꺼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멀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정부군은 점령이 시작된 지 19개월 후인
1971년 6월 11일에 최종 저항군을 제거했습니다.

다음 주요 시위는 1972년에 AIM 회원들과 다른 사람들이 워싱턴


DC에서 행진하여 '파기된 조약의 길'이라고 부르는 여정이었으며
인디언 문제국(BIA) 사무실을 점거했을 때였습니다. 그룹은
아메리카 원주민 공동체의 주택, 교육 및 경제적 기회 개선을
포함하는 요구 사항 목록을 제시했습니다. 새로운 조약 초안 작성;
아메리카 원주민 땅의 귀환; 원주민 종교와 문화에 대한 보호.

AIM이 기획한 가장 극적인 사건은 1973년 2월 사우스다코타주


운디드니(Wounded Knee)에 있는 아메리카 원주민 공동체의
점령이었습니다. 파인 리지 인디언 보호구역(Pine Ridge Indian
Reservation)에 있는 운디드니(Wounded Knee)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이곳은 1890년 원주민 학살이 일어난
장소였습니다. 미군에 의해 라코타 부족의. 연방 정부는 미국 보안관,
FBI 요원 및 기타 법 집행 기관으로 해당 지역을 포위했습니다. 포위
공격이 이어졌고, 이는 71일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양쪽에서 총격이
자주 발생했습니다. 아메리카 원주민 2명이 사망하고 미 보안관과
FBI 요원 1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를 거의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두 명의


AIM 리더인 Dennis Banks와 Russell Means가 체포되었지만 혐의는
나중에 기각되었습니다. 닉슨 행정부는 이미 연방정부의 종료
정책을 중단하고 수백만 에이커의 부족 토지를 복원했습니다.
아메리카 원주민 교육, 의료, 법률 서비스, 주택 및 경제 개발에 대한
자금이 증가하고 BIA에서 더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직원을
고용했습니다.

동성애자의 권리

이 시대에는 게이와 레즈비언의 권리를 위한 투쟁도 더욱


격렬해졌습니다.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에는 많은 동성애자
권리 단체가 설립되었습니다. 게이 시민권을 위한 전후 최초의
조직인 매터신 소사이어티(Mattachine Society)는 195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범했습니다. 레즈비언을 위한 최초의 전국 조직

ns, Daughters of Bilitis는 5년 후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되었습니다.


1966년에 이 도시는 트랜스젠더를 위한 세계 최초의 조직인 전국
트랜스젠더 상담 유닛(National Trans sexual Counseling Unit)의
본거지가 되었습니다(트랜스섹슈얼은 트랜스젠더를 설명하기 위해
의사와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오래된 용어입니다). 1967년에는
샌프란시스코 성자유연맹(Sexual Freedom League)이
탄생했습니다.
게이,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활동가들은 이러한 조직과 다른 단체를
통해 1960년대 내내 여러 차례 자신의 성적, 성별 정체성에 대한
범죄화와 차별에 맞서 싸웠습니다. 그들은 항의와 소송이라는
전략을 모두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동성애자 권리 운동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은 샌프란시스코가


아니라 뉴욕에서 일어났다. 1969년 6월 28일 이른 아침, 경찰은
Stonewall Inn이라는 그리니치 빌리지의 게이 바를 급습했습니다.
이러한 습격은 흔한 일이었지만 Stonewall 후원자들의 반응은 전혀
달랐습니다. 경찰이 많은 고객, 특히 경찰 괴롭힘의 특정 대상이었던
트랜스젠더와 여장남자를 체포할 준비를 함에 따라 군중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수감자들에 대한 잔인한 처우에 분노한 군중은
공격을 가했다. 맥주병과 벽돌이 던져졌습니다. 경찰은 술집 안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지원군을 기다렸다. 폭동은 몇 시간 동안
계속되었고 다음날 밤에 재개되었습니다. 그 직후 게이 해방 전선과
게이 활동가 연합이 결성되었습니다. 이들 조직은 차별, 동성애 혐오,
동성애자에 대한 폭력에 항의하기 시작했고 동성애자 해방과
동성애자 자부심을 장려했습니다.

1969년 스톤월 인(Stonewall Inn)의 사진.

1969년 스톤월 인(Stonewall Inn)의 사진.

1969년의 스톤월 인(Stonewall Inn).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옹호 단체들이 게이 남성과 레즈비언의 커밍아웃(성적 지향을
드러냄)을 요구하면서 게이와 레즈비언 커뮤니티는 도시 지하에서
정치 영역으로 이동했습니다. 동성애를 정신질환으로 분류한
미국정신의학회의 공식입장에 대해 동성애자 권리 운동가들이
강력하게 항의했다. 이러한 분류는 종종 LGBT(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의 사람들에게 실직, 양육권 상실 및
기타 심각한 개인적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1974년까지 APA는
동성애를 정신 질환의 한 형태로 분류하는 것을 중단했지만
계속해서 이를 “성적 지향 장애”로 간주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4년 캐시 코자첸코(Kathy Kozachenko)는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투표로 선출된 최초의 공개 레즈비언 여성이
되었습니다. 1977년에 Harvey Milk는 공직에 선출된 캘리포니아
최초의 공개 게이 남성이 되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시장 조지
모스콘(George Moscone)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감독위원회에서의
그의 봉사는 불만을 품은 전직 시 감독관 댄 화이트(Dan White)의
총알에 의해 비극적으로 중단되었습니다.

1970년대 여성 해방

더 많은 권리를 추구하는 페미니스트의 노력은 1970년대까지


계속되었습니다. 페미니스트들은 폭행당한 여성 보호소를 열고
임신한 여성을 고용 차별로부터 보호하고, 여성의 강간 신고를
입증하기 위해 증인을 요구하는 법률을 폐지하는 등 강간법을
개정하고, 가정 폭력을 범죄화하고, 이를 추구하는 학교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싸웠습니다.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고정관념에 맞서기 위해. 1973년 미국 대법원은 Roe v. Wade
사건에서 임신 첫 3개월 동안의 낙태를 합법화하는 여러 주법을
확인했습니다. 이로 인해 비치료적 낙태가 전국적으로 합법적인
의료 절차가 되었습니다.

사진은 도시 거리에서 여성들의 항의 행진을 보여줍니다.


참가자들은 “여성은 평등을 요구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습니다. “저는 2등 시민입니다.” 그리고 “GWU 여성해방. 학생
직원 교수 아내 이웃.”

사진은 도시 거리에서 여성들의 항의 행진을 보여줍니다.


참가자들은 “여성은 평등을 요구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습니다. “저는 2등 시민입니다.” 그리고 “GWU 여성해방. 학생
직원 교수 아내 이웃.”

1970년, 여성 평등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워싱턴 DC에서


행진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OpenStax

여성 권리의 많은 발전은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의 결과였습니다.


예를 들어, 의회에 당선된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인 Patsy
Mink는 1972년 교육 개정법(제9장)의 공동 작성자였으며, 이 법의
제목은 교육에서 성차별을 금지합니다. Mink는 네브래스카 대학에
재학 중일 때 캠퍼스 기숙사에서 인종 차별에 반대하면서 어릴
때부터 교육 차별에 맞서 싸우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성별
때문에 의과대학 입학이 거부된 후 로스쿨에 진학했습니다.
밍크처럼 다른 많은 여성들이 전국 여성 정치 간부회(National
Women's Political Caucus, NWPC)의 도움으로 공직을 구하고
승리했습니다. 1971년 NWPC는 Bella Abzug, Gloria Steinem,
Shirley Chisholm 및 기타 주요 페미니스트에 의해 구성되어 여성의
정당 참여를 장려하고 여성을 공식적으로 선출했습니다.

Overview
● The student movement arose to demand free speech on
college campuses, but as the U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expanded, the war became the main target of student-led
protests.
● News coverage of the war, which included graphic visual
testimonies of the death and destruction in Vietnam, turned
US public opinion increasingly against the war.
● Revelations that the Johnson and Nixon administrations had
lied to the American people about the war undermined the
public’s trust in government.

Origins of the student movement


The student movement aros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in 1964, when students involved in civil rights activism
chafed at the university’s sudden attempt to prevent them from
organizing politically on campus. The Free Speech Movement
arose to challenge the university’s restrictions on political speech
and assembly.
Soon, other student groups were springing up across the nation
with similar demands. 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SDS)
formed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issued the Port Huron
Statement, which criticized US foreign policy and attacked the Cold
War assumptions underlying it.

Read an excerpt from the Port Huron Statement

Some of these student groups became a major part of the New


Left, a broad-based political movement that challenged existing
forms of authority, while others embraced a counterculture that
promoted sexual liberation and unabashed drug use.
Black and white photograph, taken from the stage, showing Swami
Satchidananda addressing a crowd of thousands at Woodstock.

Swami Satchidananda giving the invocation at the opening ceremony of Woodstock, a


three-day-long music festival held in August 1969 on a farm in upstate New York. 400,000
people attended the festival, which featured popular performing artists like Joan Baez,
Jimi Hendrix, and The Who. Image courtesy Mark Goff.

Vietnam and the rise of the antiwar


movement
As the U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intensified, so did
antiwar sentiment. Especially after 1965, when President Lyndon
Johnson dramatically escalated the US troop presence and
bombing campaigns in Vietnam, the war became the focal point for
student political activism.
Black and white photograph showing a group of young men and
women marching and carrying signs protesting the Vietnam War.

Students protesting the Vietnam War in 1965.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Student groups held protests and demonstrations, burned draft


cards, and chanted slogans like “Hey, hey LBJ, how many kids did
you kill today?” Massive US spending on the war effort contributed
to skyrocketing deficits and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s at
home, which turned more segments of the American public,
including religious groups, civil rights organizations, and eventually
even some Vietnam veterans, against the war.

Although antiwar activism constrained the president’s ability to


further escalate the war effort after 1965, it also lent credence to the
conservative portrayal of a chaotic society desperately in need of
“law and order.”

In 1968, Richard Nixon successfully campaigned for the presidency


on the basis of such rhetoric, which implied a harsh approach to
dealing with antiwar activists and other challengers of the status
quo.

Once in office, Nixon attempted to quash domestic dissent by


reducing the US troop presence in Vietnam and reforming the draft.
The elimination of the draft and its replacement with an all-volunteer
professional army was a major lasting consequence of the antiwar
movement. At the same time, Nixon authorized the FBI and the CIA
to expand their surveillance and harassment of antiwar protest
groups.
The role of the media in the antiwar
movement
The role of the news media in the antiwar movement increased both
antiwar sentiment and hostility towards antiwar activists. As
investigative journalists began digging into the official version of the
US war effort, they began to uncover the truth of conditions in
Southeast Asia. Graphic images of death and destruction displayed
on the nightly news turned the American public ever more sharply
against the war. At the same time, news media coverage was
frequently hostile to the activists themselves, and thus contributed
to the conservative backlash against the antiwar movement.

In 1971, the New York Times broke the story of the Pentagon
Papers, a Department of Defense report that concluded that the
Johnson and Nixon administrations had systematically lied to the
American people and Congress about the extent of U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Together with the Watergate scandal, which involved Nixon’s


authorization of the illegal wiretapping of his political enemies, the
Pentagon Papers undermined the trust of the American people in its
president and government.
개요

대학 캠퍼스에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는 학생운동이 일어났으나,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이 확대되면서 전쟁은 학생 주도 시위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

베트남의 죽음과 파괴에 대한 생생한 시각적 증언을 포함하는


전쟁에 대한 뉴스 보도는 미국 여론을 점점 전쟁에 반대하게
만들었습니다.

존슨과 닉슨 행정부가 전쟁에 관해 미국 국민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폭로로 인해 정부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약화되었습니다.

학생운동의 기원

학생 운동은 196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시민권


운동에 참여했던 학생들이 캠퍼스에서 정치적 조직을 막으려는
대학의 갑작스러운 시도에 분노하면서 일어났습니다. 언론의 자유
운동은 대학의 정치적 발언과 집회에 대한 제한에 도전하기 위해
일어났습니다.

곧, 비슷한 요구를 가진 다른 학생 그룹이 전국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민주사회를 위한 학생(SDS)은 미시간 대학에서
결성되어 미국의 외교정책을 비판하고 그 밑에 깔린 냉전적 가정을
공격하는 포트 휴런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학생 그룹 중 일부는 기존 형태의 권위에 도전하는 광범위한
정치 운동인 신좌파의 주요 부분이 되었고, 다른 일부는 성 해방과
노골적인 마약 사용을 장려하는 반문화를 수용했습니다.

무대에서 찍은 흑백 사진. 스와미 사치다난다가 우드스톡에서 수천


명의 군중에게 연설하는 모습.

무대에서 찍은 흑백 사진. 스와미 사치다난다가 우드스톡에서 수천


명의 군중에게 연설하는 모습.

1969년 8월 뉴욕 북부의 한 농장에서 열린 3일간의 음악 축제인


우드스톡(Woodstock) 개막식에서 기도하는 스와미
사치다난다(Swami Satchidananda). 조앤 바에즈(Joan Baez),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 더 후(The Who) 등 인기 공연예술가들이
출연한 페스티벌에는 40만 명이 참석했다. 이미지 제공 마크 고프.

베트남과 반전운동의 발흥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이 심화되면서 반전 감정도 커졌습니다.


특히 1965년 이후 린든 존슨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미군 주둔과 폭격
캠페인을 극적으로 확대하자 전쟁은 학생 정치 활동의 초점이
되었습니다.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는 팻말을 들고 행진하는 젊은 남녀 그룹을


보여주는 흑백 사진.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는 팻말을 들고 행진하는 젊은 남녀 그룹을
보여주는 흑백 사진.

1965년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는 학생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학생 단체들은 항의와 시위를 벌이고 징병 카드를 불태우며 “야,


LBJ야, 오늘 애들 몇 명이나 죽였어?”와 같은 구호를 외쳤다. 전쟁
노력에 대한 미국의 막대한 지출은 적자를 급증시키고 국내 경제
상황을 악화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이로 인해 종교 단체, 민권 단체,
심지어 일부 베트남 참전 군인을 포함하여 더 많은 미국 대중이
전쟁에 반대하게 되었습니다.

반전 운동이 1965년 이후 전쟁 노력을 더욱 확대하는 대통령의


능력을 제한했지만, 이는 또한 "법과 질서"가 절실히 필요한
혼란스러운 사회에 대한 보수적 묘사에 신뢰를 부여했습니다.

1968년 리처드 닉슨은 반전 활동가와 현상 유지에 대한 다른


도전자들을 다루는 데 있어 가혹한 접근 방식을 암시하는 그러한
수사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대통령 선거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취임 후 닉슨은 베트남 주둔 미군을 줄이고 징병 제도를 개혁하여


국내 반대 의견을 진압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징병제를 철폐하고
자원봉사자로만 구성된 전문군으로 대체한 것은 반전 운동의
주요하고 지속적인 결과였습니다. 동시에 닉슨은 FBI와 CIA에 반전
시위 단체에 대한 감시와 괴롭힘을 확대하도록 승인했습니다.

반전 운동에서 언론의 역할

반전 운동에서 언론 매체의 역할은 반전 운동가에 대한 반전 정서와


적대감을 모두 증가시켰습니다. 탐사 언론인들은 미국의 전쟁
노력에 대한 공식 버전을 파헤치기 시작하면서 동남아시아 상황의
진실을 밝히기 시작했습니다. 야간 뉴스에 게재된 죽음과 파괴의
생생한 이미지는 미국 대중을 전쟁에 더욱 날카롭게 반대하게
만들었습니다. 동시에, 뉴스 매체 보도는 종종 활동가들 자신에게
적대적이었고, 따라서 반전 운동에 대한 보수적 반발에
기여했습니다.

1971년 뉴욕 타임즈는 존슨과 닉슨 행정부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정도에 대해 미국 국민과 의회에 조직적으로 거짓말을
했다고 결론지은 국방부 보고서인 펜타곤 페이퍼(Pentagon
Papers)의 기사를 파기했습니다.
닉슨이 자신의 정치적 적들에 대한 불법 도청을 승인한 워터게이트
스캔들과 함께, 펜타곤 문서는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미국 국민의
신뢰를 약화시켰습니다.

Overview
● Richard Nixon was elected president in 1968, a tumultuous
year that witnessed the assassinations of Martin Luther King,
Jr. and Robert F. Kennedy, as well as the splintering of the
Democratic Party.
● Nixon’s presidential campaign sought to appeal to what it
deemed the “silent majority,” those middle-class white
Americans who defended the status quo against radical social
change.
● Nixon’s campaign successfully employed the “Southern
strategy,” an attempt to appeal to Southern racists resentful
of civil rights activism and federal antipoverty programs.

1968: A momentous year


1968 was in many ways a watershed year. The Reverend Martin
Luther King, Jr. was assassinated in Memphis, Tennessee by
James Earl Ray, an ex-convict and avowed white supremacist. The
news of King’s assassination sparked a conflagration of urban riots
and protests.
A mere two months later, Robert F. Kennedy, the younger brother
of President John F. Kennedy who was campaigning for the
Democratic presidential nomination in California, was assassinated
by Sirhan Sirhan, a Palestinian incensed by Kennedy’s pro-Israel
stance.

The assassinations contributed to the perception among many


Americans that the social fabric of the nation was ripping apart.

The Democratic Party in disarray


The 1968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in Chicago was a
stark demonstration of just how divided the Democratic party had
become. Students and members of the counterculture, known
collectively as the “New Left” made up one faction, while the older
generation of New Deal Democrats, which became known as the
“Old Left,” constituted another. The convention descended into utter
chaos as thousands of antiwar activists converged on the streets of
Chicago, where law enforcement officers clubbed them with
nightsticks and doused them in tear gas.

Dismayed with the lack of progress in the Vietnam War and


disturbed by the factionalism rupturing the Democratic Party,
Lyndon Johnson chose not to run for reelection. The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nominated Johnson’s vice president, Hubert
Humphrey. He ran in a three-way race against Republican Richard
Nixon and Alabama Governor George Wallace, a Southern
segregationist who ran as an independent and sought to capitalize
on white backlash against the gain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Richard Nixon’s presidential campaign


Into the chaos of 1968 stepped Richard Nixon with a pledge to
restore law and order, end the war in Vietnam, and restore
traditional American values. Richard Nixon’s 1968 presidential
campaign was notable for a number of reasons. He emphasized the
theme of “law and order,” which he understood would appeal to
the “silent majority,” those white middle-class Americans anxious
and fearful of radical social change. Nixon used “law and order”
rhetoric to signal his intention to crack down on student protesters,
activists, and virtually anyone who sought to challenge the status
quo of American society.

Nixon also embraced the “Southern strategy,” which sought to


appeal to Southern racists resentful of civil rights gains and
President Johnson’s federal antipoverty programs.
Photograph of Richard Nixon holding up his arms and making "V for
Victory" symbols with his hands amidst a large crowd of people.

Campaign rally for Richard Nixon in 1968.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Nixon won the presidency in a close race, garnering 43.4 percent of


the popular vote compared to Humphrey’s 42.7 percent. For an
independent candidate, George Wallace made a strong showing,
securing 13.5 percent of the popular vote.
The 1968 election inaugurated a conservative shift in American
politics.

Apart from the one-term presidency of Jimmy Carter, Republicans


would dominate the White House until the election of Democrat Bill
Clinton in 1992.

개요

리처드 닉슨이 1968년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이 해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로버트 F. 케네디가 암살되고 민주당이 분열되는
격동의 해였습니다.

닉슨의 대선 캠페인은 급진적인 사회 변화에 맞서 현상 유지를


옹호하는 중산층 백인 미국인들, 즉 "침묵하는 다수"라고 간주되는
사람들에게 호소하려고 했습니다.

닉슨의 캠페인은 민권 운동과 연방 빈곤 퇴치 프로그램에 분개하는


남부 인종차별주의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시도인 "남부
전략"을 성공적으로 활용했습니다.

1968년: 중요한 해
1968년은 여러 면에서 분수령이 되는 해였습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테네시 주 멤피스에서 전과자이자 백인 우월주의자라고
공언한 제임스 얼 레이에 의해 암살되었습니다. 킹 목사의 암살
소식은 도시 폭동과 시위를 촉발시켰습니다.

불과 두 달 뒤, 캘리포니아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을 벌이던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동생 로버트 F. 케네디가 케네디의 친이스라엘
입장에 분노한 팔레스타인 출신 시르한 시르한에게 암살당했다.

암살은 많은 미국인들 사이에서 국가의 사회 구조가 와해되고


있다는 인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혼란에 빠진 민주당

1968년 시카고 민주당 전당대회는 민주당이 얼마나 분열되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었습니다. 집합적으로 "신좌파"로 알려진 학생들과
반문화 구성원들이 하나의 파벌을 구성했고, "구좌파"로 알려지게 된
구세대 뉴딜 민주당원들이 또 다른 파벌을 구성했습니다. 수천 명의
반전 운동가들이 시카고 거리에 집결하면서 대회는 완전히 혼란에
빠졌고, 그곳에서 법 집행관은 그들을 나이트봉으로 곤봉으로
휘두르고 최루탄을 뿌렸습니다.
베트남 전쟁의 진전이 없는 것에 실망하고 민주당을 분열시키는
종파주의에 불안을 느낀 린든 존슨은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존슨의 부통령 휴버트
험프리를 지명했습니다. 그는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과 무소속으로 출마해 시민권 운동의 성과에 대한 백인
반발을 이용하려던 남부 인종차별주의자인 앨라배마 주지사 조지
월리스(George Wallace)를 상대로 삼자 경쟁에 나섰습니다.

리처드 닉슨의 대선 캠페인

1968년의 혼란 속으로 리처드 닉슨은 법과 질서를 회복하고, 베트남


전쟁을 종식하고,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를 회복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Richard Nixon의 1968년 대선 캠페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주목할 만했습니다. 그는 “법과 질서”라는 주제를
강조했는데, 이는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불안하고 두려워하는 백인
중산층 미국인인 “침묵하는 다수”에게 호소력이 있을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닉슨은 "법과 질서"라는 수사를 사용하여 학생
시위대, 활동가, 그리고 미국 사회의 현상 유지에 도전하려는 사실상
모든 사람을 단속하겠다는 의도를 표시했습니다.

닉슨은 또한 시민권 향상과 존슨 대통령의 연방 빈곤 퇴치


프로그램에 분개하는 남부 인종차별주의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는 “남부 전략”을 수용했습니다.
많은 사람들 속에서 리처드 닉슨이 팔을 들고 "승리를 위한 V"
기호를 손으로 만드는 사진.

많은 사람들 속에서 리처드 닉슨이 팔을 들고 손으로 "승리를 위한


V" 기호를 만드는 사진.

1968년 리처드 닉슨을 위한 캠페인 집회.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닉슨은 일반투표에서 43.4%를 얻어 험프리가 42.7%를 얻은 데 비해


접전 끝에 대통령에 당선됐다. 무소속 후보로는 조지 월리스(George
Wallace)가 일반 득표율 13.5%를 확보하며 강력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1968년 선거는 미국 정치에 보수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지미 카터의 단임 대통령직과는 별도로 1992년 민주당 빌 클린턴이


당선될 때까지 공화당이 백악관을 장악했습니다.

Overview
● In the early 1970s, the post-World War II economic boom
began to wane,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
expense of the Vietnam War, and the decline of manufacturing
jobs.
● Unemployment rates rose, while a combination of price
increases and wage stagnation led to a period of economic
doldrums known as stagflation. President Nixon tried to
alleviate these problems by devaluing the dollar and declaring
wage- and price-freezes.
● The crisis was compounded when oil-rich nations in the
Middle East declared an embargo against the United States in
retaliation for its support of Israel. The oil embargo had a
lasting effect on energy prices.

Economic woes of the 1970s


During the twenty-five years after World War II, the economic power
of the United States was unparalleled. Indeed, contemporary
observers commented that the postwar United States was in the
midst of "the greatest prosperity the world has ever known."

The American gross national product (GNP), a measure of all


goods and services produced by a country's citizens, increased
from $200,000-million in 1940 to more than $500,000-million in
1960 to nearly a trillion dollars by 1970. Thanks to increases in
productivity, the American standard of living had doubled between
1945 and 1970. With just six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the
United States enjoyed 40% of the world's wealth.

But troubling signs began to emerge in the late 1960s.


Unemployment rose by 33% between 1968 and 1970, while the
consumer price index went up by 11%. At the same time, real
wages began to stagnate. Simultaneous inflation and stagnation,
nicknamed stagflation, puzzled economic analysts: usually, when
wages fell, prices fell, and when wages increased, prices increased.
But not in the 1970s. As a result, Americans had less purchasing
power, and increasingly expensive American exports were at a
disadvantag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1971, the United States
experienced its first unfavorable international trade balance since
1893.

What caused this slump? The massive cost of the war in Vietnam
and the expansion of social programs at home without
commensurate tax increases helped to drive inflation (the price of
goods and services). Meanwhile, US manufacturing (especially
automotive manufacturing) had become less competitive over time
compared to efficient overseas rivals, particularly in Germany and
Japan. More and more American jobs were in the service sector,
which had lower wages and fewer benefits than manufacturing jobs.
Individuals born on the tail end of the baby boom found themselves
competing in a very crowded labor market, especially as more
women and immigrants entered the workforce.

The oil embargo


In 1971, Richard Nixon attempted to remedy inflation by imposing a
90-day wage and price freeze. At the same time, he attempted to
boost American exports by taking the dollar off the gold standard,
devaluing the currency. These measures resulted in a short-term
improvement (just long enough to get Nixon reelected in 1972) but
did nothing to address the tangled roots of the problem.

Then the energy crisis hit. In October 1973, the United States
supported Israel after a surprise attack by Egypt and Syria in the
Yom Kippur War. The oil-rich nations of the Middle East, already
angry with the United States for devaluing the dollar (the currency
used to purchase oil) determined to exact their revenge with an oil
embargo. Led by Saudi Arabia, the 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PEC) announced an oil shipping embargo
against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srael's European allies.
The effects were immediate and dire. The price of oil shot up to
$11.65 per barrel, an increase of 387%. Lines miles-long formed at
gas stations. The United States consumed one third of the world's
oil, and its citizens quickly discovered just how much of daily life
depended on cheap oil. Families living in far-flung suburbs
depended on automobiles to get everywhere. Even after the
embargo ended in March 1974, prices for oil remained about 33%
higher than they had been before the crisis.

Black and white photograph showing cars in line for gas.


Line at a gas station in 1979. Image courtesy Library of Congress Prints and Photographs
Division.

The end of the postwar economic boom


Stagflation and the oil embargo both seemed to suggest that the
American golden age that had followed on the heels of World War II
was at an end. First Vietnam and then the Middle East had revealed
the limits of US power abroad.

The complex forces which led to the downturn of the 1970s have
continued to shape the American economy, particularly
globalization (international interdependence of business and
culture), which has accelerated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mad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easier. For example, many
companies have moved manufacturing jobs out of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save on labor costs. Today, 80% of all American jobs are
in the service industry.

Since the oil embargo, the United States also has worked to reduce
its dependence on foreign oil through a variety of means, including
reducing energy usage, improving vehicle fuel-efficiency, investing
in renewable energy, and increasing domestic oil production.
The quarter century after World War II was a time of incredible
growth in the United States which produced the richest nation in
human history, as well as a sense of unbridled optimism about the
future. By the early 1970s, that chapter of the American adventure
had ended. A new, altogether more uncertain era had begun.

개요

1970년대 초, 국제 경쟁 심화, 베트남 전쟁 비용 증가, 제조업 일자리


감소 등으로 인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 호황이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업률이 상승한 반면, 물가 상승과 임금 정체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알려진 경기 침체 기간이 이어졌습니다. 닉슨
대통령은 달러 가치를 떨어뜨리고 임금 및 물가 동결을
선언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중동의 석유 부유국들이 미국의 이스라엘 지원에 대한 보복으로


금수 조치를 선언하면서 위기는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석유 금수
조치는 에너지 가격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1970년대의 경제적 어려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25년 동안 미국의 경제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습니다. 실제로 동시대 관찰자들은 전후 미국이 "세계가
지금까지 경험한 것 중 가장 큰 번영"을 누리고 있다고
논평했습니다.

한 국가의 시민이 생산한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측정하는 미국의


국민총생산(GNP)은 1940년 2억 달러에서 1960년 5억 달러 이상,
1970년에는 거의 1조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생산성 증가 덕분에
1945년에서 1970년 사이에 미국의 생활 수준은 두 배로
향상되었습니다. 세계 인구의 단 6%로 미국은 세계 부의 40%를
누렸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불안한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실업률은 33% 증가했고, 소비자
물가지수는 11% 상승했습니다. 동시에 실질임금도 정체되기
시작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불리는 동시적인 인플레이션과
침체는 경제 분석가들을 당혹스럽게 만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금이 떨어지면 물가가 하락하고, 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상승합니다. 하지만 1970년대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미국인들은 구매력이 떨어졌고, 점점 더 비싸지는 미국산 수출품은
국제 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1971년에 미국은
1893년 이후 처음으로 불리한 국제 무역 수지를 경험했습니다.
이번 슬럼프의 원인은 무엇일까? 베트남 전쟁의 막대한 비용과 그에
상응하는 세금 인상 없이 국내 사회 프로그램 확대가
인플레이션(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편, 미국 제조업(특히 자동차 제조업)은 시간이 지나면서 효율적인
해외 경쟁자, 특히 독일과 일본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졌습니다. 점점
더 많은 미국 일자리가 서비스 부문에 있었는데, 이는 제조업
일자리보다 임금이 낮고 혜택도 적었습니다. 베이비 붐의 말기에
태어난 개인들은 특히 더 많은 여성과 이민자들이 노동 시장에
진입하면서 매우 혼잡한 노동 시장에서 경쟁하게 되었습니다.

석유 금수 조치

1971년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은 90일 임금과 물가 동결을


시행하여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려고 시도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달러를 금본위제에서 제외하고 통화 가치를 떨어뜨려 미국 수출을
늘리려고 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단기적인 개선(1972년 닉슨이
재선될 만큼의 기간)을 가져왔지만 문제의 얽힌 뿌리를 해결하는
데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에너지 위기가 닥쳤습니다. 1973년 10월, 욤 키푸르


전쟁에서 이집트와 시리아의 기습 공격 이후 미국은 이스라엘을
지원했습니다. 석유가 풍부한 중동 국가들은 이미 미국이 달러(석유
구입에 사용하는 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린 것에 분노하여 석유
금수조치로 보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유럽 동맹국에 대한
석유 운송 금지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그 효과는 즉각적이고 끔찍했습니다. 석유 가격은 배럴당


11.65달러로 387%나 올랐다. 주유소에는 수 마일 길이의 줄이
형성되었습니다. 미국은 전 세계 석유의 3분의 1을 소비했고, 미국
시민들은 일상생활의 상당 부분이 값싼 석유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금방 깨닫게 되었습니다. 멀리 떨어진 교외 지역에 사는
가족들은 어디든 이동하기 위해 자동차에 의존했습니다. 1974년 3월
금수 조치가 종료된 후에도 석유 가격은 위기 이전보다 약 33%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주유를 위해 줄을 서 있는 자동차를 보여주는 흑백 사진.

주유를 위해 줄을 서 있는 자동차를 보여주는 흑백 사진.

1979년 주유소의 줄. 이미지 제공: 의회 도서관 인쇄 및 사진 부서.

전후 경제 호황의 종말

스태그플레이션과 석유 금수 조치는 모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어진 미국의 황금기가 끝났음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처음에는 베트남, 그다음에는 중동이 미국의 해외 권력의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1970년대의 경기 침체를 가져온 복잡한 힘은 계속해서 미국 경제를


형성해 왔으며, 특히 정보 기술로 인해 의사소통과 조정이 더
쉬워지면서 세계화(비즈니스와 문화의 국제적 상호의존성)가
가속화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기업들은 인건비를 절약하기
위해 제조업 일자리를 미국 밖으로 이전했습니다. 토다

Overview
● Richard M. Nixon served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from 1969 to 1974.
● Nixon attempted to extricate the United States from the
ongoing war in Vietnam with limited success. Although his
administration negotiated a cease-fire in 1973, in 1975 North
Vietnam overran the South and united the country under a
communist government.
● Nixon's chief victories were in the arena of foreign policy, as
he reopened American relations with China and relaxed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 Nixon resigned in disgrace in 1974 after revelations that he
had directed the FBI to cover up an investigation of his
supporters' illegal activities at the Watergate office complex.

Richard Nixon, the politician's politician


Richard M. Nixon was a career politician, whose all-consuming
passion was getting and holding onto power. As one historian put it,
"Political maneuvering was the great game of Richard Nixon's life.
He played it grimly and with pride in his expertise at it. He had no
other hobbies."

A native Californian, Nixon had been vice president to Republican


Dwight D. Eisenhower from 1952-1960, but he had lost his first
crack at winning the presidency in 1960 to the youthful and
charming John F. Kennedy.
Official White House portrait of Richard Nixon.

Richard M. Nixon served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from 1969-1974.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Eight years later, with the Democratic Party in disarray amidst the
quagmire of Vietnam, Nixon had a second chance at the highest
office in the land. He won the election of 1968 against the
uninspiring Democratic challenger Hubert Humphrey, but
Democrats still controlled both houses of Congress. Although Nixon
was no fan of the Democratic social programs that had taken root
during Johnson's presidency, he initially did little to roll them back,
choosing to spend what political capital he had on achieving his
vision for US foreign policy.

Thus, Nixon focused his attentions mainly outside of the United


States, promising that he would bring "peace with honor" after years
of bloodshed in Vietnam.

Nixon and Vietnam


During the election of 1968, Nixon had promised he had a "secret
plan" to get the United States out of Vietnam. His plan turned out to
be twofold: first, the United States would undertake a plan of
Vietnamization, slowly replacing the more than 500,000 American
soldiers on the ground with South Vietnamese soldiers. Second, the
United States would carry the war into the neighboring country of
Cambodia, which was officially neutral but had served as a conduit
for North Vietnamese and Viet Cong troops.
The American people were hardly enthusiastic about either of these
plans; by that time, the war in Vietnam was so unpopular that any
course of action other than an immediate end to the conflict was
greeted with hostility. Although Vietnamization did reduce the
number of American troops in Vietnam to just 50,000 by 1973, it
brought morale among the remaining soldiers to the lowest point yet
as their reason for fighting became even more uncertain. The
incursion into Cambodia set off a wave of protests around the
nation and on university campuses in particular. In Ohio, the
governor called out the National Guard to put down riots at Kent
State University. The guards shot and killed four young people and
wounded nine others on May 4, 1970, in an incident that sparked
rage across the nation.

Nixon's administration negotiated a ceasefire in Vietnam in 1973,


but gained few key concessions. In 1975, the North Vietnamese
succeeded in conquering the southern capital, achieving their war
aims of uniting Vietnam under a communist government. The cause
for which so many Americans had fought and lost their lives was
lost.
A group of South Vietnamese citizens, including children, adults,
and the elderly, carries their meager belongings on the deck of a US
carrier. An American man in military uniform and a helicopter are in
the background.

South Vietnamese citizens being evacuated by the American military after the fall of
Saigon, April 1975. Image courtesy Wikimedia Commons.
Nixon's foreign policy
Despite the debacle in Vietnam, Nixon did achieve a few key
foreign policy victories during his time in office. Notably, Nixon
reopened the American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the United States had refused to
recognize since its communist revolution in 1949. The president
and first lady Pat Nixon took a two-week-long public relations trip to
China in 1972.

Astutely judging that a closer US relationship with China would


make the Soviet Union very anxious, Nixon took a trip to the USSR
shortly thereafter. He and Soviet Premier Leonid Brezhnev agreed
to a policy of détente (relaxed tensions between the two nations)
and signed the Strategic Arms Limitation Treaty (SALT),
reducing the number of nuclear missiles in their arsenals.

Domestic policy under Nixon


With Democrats dominating both the House and the Senate,
legislation in the early 1970s looked a lot like legislation in the
1960s. Spending for social programs actually increased in the first
years of Nixon's presidency, with expansions to Social Security,
increases in food stamps and Medicaid benefits, and new funding
for the arts and for cancer research. During these years, Congress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to combat
pollution, as well as protection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itle IX.

Although Nixon hoped that appointing right-leaning Supreme Court


Justices like Warren Burger and William Rehnquist would
counteract the liberal rulings of the 1950s and 1960s, the increasing
conservative court largely upheld earlier decisions and even ruled
that abortion was a private matter between a woman and her doctor
in the landmark Roe v. Wade case. The Burger court had a mixed
record on racial issues, however, extending affirmative action
protections but ruling against busing students to combat de facto
segregation.

Economically, Nixon tried and failed to cope with the growing issue
of stagflation, an unprecedented combination of wage stagnation
and price inflation. In 1971, Nixon announced a ninety day wage
and price freeze, and in a bid to increase American exports he took
the dollar off the gold standard. Neither of these solutions did much
to resuscitate the struggling American economy.
Nixon's fall from grace
A secretive and paranoid man, Nixon believed everyone was
plotting against him. In reality, he was his own worst enemy. In
1972, allegations emerged that Nixon loyalists had wiretapped the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office in Washington's Watergate
building in order to spy on Democratic nominee George McGovern.
Tapes of Nixon's conversations in the Oval Office revealed that he
had forbidden the FBI from investigating the incident, a clear
obstruction of justice.

Facing the threat of impeachment, Nixon resigned in 1974. He was


succeeded by Vice President Gerald Ford, who immediately
pardoned Nixon on all charges.

개요

리처드 M. 닉슨(Richard M. Nixon)은 1969년부터 1974년까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습니다.

닉슨은 현재 진행 중인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을 구출하려고


시도했지만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의 행정부는
1973년에 휴전 협상을 펼쳤지만, 1975년 북베트남은 남부를
침공하고 공산주의 정부 하에 국가를 통합했습니다.
닉슨의 주요 승리는 중국과의 미국 관계를 재개하고 미국과 소련
간의 긴장을 완화함으로써 외교 정책 분야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닉슨은 자신이 워터게이트 사무실 단지에서 지지자들의 불법 활동에


대한 조사를 은폐하도록 FBI에 지시했다는 사실이 폭로된 후 1974년
불명예를 안고 사임했습니다.

정치인의 정치인 리처드 닉슨

Richard M. Nixon은 권력을 장악하고 유지하는 데 온 힘을 쏟는 직업


정치인이었습니다. 한 역사가가 말했듯이, "정치적 책략은 리처드
닉슨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게임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전문
지식에 자부심을 갖고 엄숙하게 이 일을 했습니다. 그에게는 다른
취미가 없었습니다."

캘리포니아 출신인 닉슨은 1952년부터 1960년까지 공화당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밑에서 부통령을 지냈지만, 1960년
대통령 선거에서 젊고 매력적인 존 F. 케네디에게 첫 기회를
잃었습니다.

리처드 닉슨의 백악관 공식 초상화.

리처드 닉슨의 백악관 공식 초상화.


Richard M. Nixon은 1969년부터 1974년까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습니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8년 후, 베트남의 수렁 속에서 민주당이 혼란에 빠진 가운데 닉슨은


이 땅에서 가장 높은 직책을 맡을 두 번째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는
1968년 선거에서 무감각한 민주당 도전자 휴버트 험프리(Hubert
Humphrey)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여전히 민주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닉슨은 존슨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뿌리를
내린 민주당 사회 프로그램의 팬이 아니었지만 처음에는 이를
철회하기 위해 거의 노력하지 않았으며 미국 외교 정책에 대한
비전을 달성하는 데 정치적 자본을 지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닉슨은 베트남에서 수년간의 유혈 사태 이후 "명예로운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약속하면서 주로 미국 이외의 지역에
관심을 집중했습니다.

닉슨과 베트남

1968년 선거에서 닉슨은 미국을 베트남에서 빼내기 위한 "비밀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약속했습니다. 그의 계획은 두 가지로
드러났습니다. 첫째, 미국은 베트남화 계획을 수행하여 지상에 있는
50만 명 이상의 미군을 남베트남군으로 서서히 교체하는
것이었습니다. 둘째, 미국은 공식적으로 중립국이지만 북베트남과
베트콩 군대의 통로 역할을 했던 이웃 국가인 캄보디아에 전쟁을
수행할 것입니다.
미국 국민은 이들 계획 중 어느 것에도 별로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
당시 베트남 전쟁은 너무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분쟁의 즉각적인
종료 이외의 모든 조치는 적대감으로 환영 받았습니다. 베트남화로
인해 1973년까지 베트남 주둔 미군 병력은 5만 명으로
줄어들었지만, 전투 이유가 더욱 불확실해지면서 남은 병사들의
사기는 최악으로 떨어졌습니다. 캄보디아 침공은 전국적으로, 특히
대학 캠퍼스에서 시위의 물결을 촉발시켰습니다. 오하이오주에서는
주지사가 켄트 주립대학교에서 발생한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방위군을 소집했습니다. 1970년 5월 4일 경비원들이 총격을 가해
젊은이 4명을 살해하고 9명에게 부상을 입힌 이 사건은 전국적으로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닉슨 행정부는 1973년 베트남에서 휴전 협상을 펼쳤지만 핵심적인


양보를 거의 얻지 못했습니다. 1975년 북베트남은 남부 수도를
정복하는 데 성공하여 베트남을 공산주의 정부 하에 통합하려는
전쟁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그토록 많은 미국인들이 싸우고 목숨을
잃은 대의는 사라졌습니다.

어린이, 성인, 노인을 포함한 일단의 남베트남 시민이 미국


항공모함의 갑판에 자신들의 빈약한 소지품을 운반하고 있다.
배경에는 군복을 입은 미국인 남성과 헬리콥터가 있습니다.
어린이, 성인, 노인을 포함한 일단의 남베트남 시민이 미국
항공모함의 갑판에 자신들의 빈약한 소지품을 운반하고 있다.
배경에는 군복을 입은 미국인 남성과 헬리콥터가 있습니다.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 이후 미군에 의해 대피하는 남베트남


시민들. 이미지 제공: Wikimedia Commons.

닉슨의 외교정책

베트남의 대실패에도 불구하고 닉슨은 재임 기간 동안 몇 가지 주요


외교 정책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닉슨은 1949년 공산혁명
이후 미국이 인정하기를 거부했던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의
외교관계를 재개했다. 1972.

미국과 중국의 긴밀한 관계가 소련을 매우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예리하게 판단한 닉슨은 그 직후 소련을 방문했습니다. 그와 소련
총리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데탕트(두 국가 간의 긴장 완화) 정책을 고수하고 전략 무기 제한


조약(SALT)에 서명하여 무기고에 있는 핵 미사일의 수를
줄였습니다.

닉슨의 국내 정책
민주당이 하원과 상원을 모두 장악하면서 1970년대 초의 법안은
1960년대의 법안과 매우 유사해 보였습니다. 실제로 닉슨 대통령
임기 첫 해에 사회보장 확대, 푸드 스탬프 및 메디케이드 혜택 증가,
예술 및 암 연구를 위한 새로운 자금 지원 등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지출이 증가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의회는 오염을 방지하고 Title
IX의 여대생을 보호하기 위해 환경 보호국을 설립했습니다.

닉슨은 워렌 버거(Warren Burger)와 윌리엄 렌퀴스트(William


Rehnquist) 같은 우파 대법관을 임명함으로써 1950년대와 1960년대
자유주의 판결에 대응할 수 있기를 바랐지만, 점점 늘어나는
보수적인 법원은 대부분 이전 판결을 지지했으며 낙태는 여성과
여성 사이의 사적인 문제라고 판결하기도 했습니다. 획기적인 Roe v.
Wade 사건의 의사. 버거 법원은 인종 문제에 대해 엇갈린 기록을
갖고 있지만 차별 철폐 조치 보호를 확대했지만 사실상의 인종
차별에 맞서기 위해 학생을 버스에 태우는 것은 반대했습니다.

경제적으로 닉슨은 임금 정체와 물가 인플레이션이 전례 없이


결합된 스태그플레이션 문제에 대처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했습니다. 1971년 닉슨은 90일간의 임금과 물가 동결을
발표했고, 미국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달러를 금본위제에서
떼어냈습니다. 이들 해결책 중 어느 것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
경제를 소생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닉슨의 은혜에서 추락

비밀스럽고 편집증적인 사람인 닉슨은 모든 사람이 자신에 대한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최악의
적이었습니다. 1972년, 닉슨 충성파들이 민주당 후보 조지 맥거번을
염탐하기 위해 워싱턴 워터게이트 건물에 있는 민주당 전국위원회
사무실을 도청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대통령 집무실에서 닉슨이
나눈 대화 테이프에는 그가 FBI의 사건 조사를 금지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는데, 이는 명백한 사법 방해 행위였다.

탄핵 위협에 직면한 닉슨은 1974년 사임했습니다. 제럴드 포드


부통령이 뒤를 이어 닉슨의 모든 혐의를 즉시 사면했습니다.

Overview
● In June 1972 a group of spies with ties to President Richard
Nixon was caught while attempting to place listening devices
in the office of the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in
Washington's Watergate building.
● After a lengthy investigation, which Nixon attempted to
undermine by refusing to turn over tapes of his conversations
in the Oval Office, the House Judiciary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mpeach
Nixon for obstruction of justice and abuse of power.
● Rather than face impeachment, Nixon resigned in August
1974, succeeded by Vice President Gerald Ford.
● Watergate, as the scandal came to be known, added to a
general sense that the golden age of the postwar era in the
United States had ended.

Nixon
Richard Nixon had not clawed his way up to the presidency without
scratching a few people along the way. From early in his career,
Nixon had made an art of employing "dirty tricks" to win elections,
and by the time he made it into the White House he had many
enemies. After a military analyst leaked the Pentagon
Papers—documents that revealed that the US government had lied
to Congress and the American people about the scope of the
Vietnam War—Nixon became obsessed with maintaining secrecy in
his administration. He employed a group of aides that he called
"plumbers" in order to plug any further leaks.

The plumbers helped Nixon's fundraising organization, the


Committee to Re-elect the President (CREEP), with a series of
illegal activities aimed at maintaining the president's power and
harassing individuals on an internally-circulated "enemy list."
CREEP and the plumbers undertook a variety of dirty tricks during
the election of 1972,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orging documents
that might incriminate or embarrass Democratic opponents,
conducting illegal surveillance, breaking into a psychiatrist's office in
order to steal information to discredit a political enemy, placing
spies undercover in Democratic campaigns and press corps, and
renting facilities and ordering campaign supplies in the name of
Democratic challengers and sticking them with the bill.

The Watergate break-in


CREEP eventually made a fatal blunder. On June 17, 1972, a
security guard caught a group of five "burglars" in Washington, DC's
Watergate office complex, home of the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DNC) headquarters. The incident seemed fairly
innocuous until the FBI discovered that the burglars had ties with
the CIA. Over time, it became clear that the burglary was in fact a
botched attempt at wiretapping the phones at the DNC
headquarters in order to spy on the presidential campaign of
George McGovern.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the Watergate office complex.

The Watergate office complex in Washington, DC. Image courtesy the Gerald Ford Library
and Museum.

During the election of 1972, McGovern accused Nixon and the


Republicans of breaking in to his office, but at that time there was
little solid information tying the men involved with the break-in to the
president. Nixon won the election handily, with 520 electoral votes
compared to McGovern's 17.

By early 1973, however, the truth was beginning to trickle out. Bob
Woodward and Carl Bernstein, reporters for the Washington Post,
had reported on the Watergate story since the break-in. They
received tips from a highly-placed anonymous source known only
as Deep Throat (revealed in 2005 to have been FBI Deputy
Director Mark Felt) and kept the story alive by publishing their
research into the break-in and alleged cover-up.

Although several of the Watergate burglars cracked and pointed


fingers at Nixon in their testimony before the Senate Judiciary
Committee, there was no hard evidence connecting the president to
any wrongdoing on the part of his subordinates. Perhaps the
investigation would have ground to a halt had the existence of a
voice-recording device in the Oval Office not emerged: all of Nixon's
conversations had been taped. The Senate Judiciary Committee
subpoenaed the tapes.

Denial and "executive privilege"


Nixon refused to hand over the tapes, citing "executive privilege," or
the right of the president not to respond to certain subpoenas or
reveal confidential White House information. After the revelations
from the Pentagon Papers that the president secretly had carried
the Vietnam War into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Cambodia and
Laos, it began to seem as though Nixon believed he was above the
law. His administration was further compromised when Vice
President Spiro Agnew was forced to resign after federal
prosecutors charged him with taking bribes. Nixon appointed
Gerald Ford as Agnew's successor.

In July 1974, the House Judiciary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mpeach Nixon for obstruction of
justice and abuse of power. Nixon finally handed over the tapes
after a Supreme Court order in August 1974.

Revelations and resignation


Photograph of Richard Nixon standing behind a podium at the
White House, surrounded by his family, while giving his resignation
speech.

Nixon's resignation speech, August 9, 1974. Image courtesy National Archives.

The tapes confirmed that Nixon had been involved in covering up


the Watergate affair; in what has been called the "smoking gun"
tape, Nixon ordered the FBI not to investigate the break-in any
further, a clear obstruction of justice.
What does 'smoking gun' mean?

On August 8, 1974 Nixon resigned rather than face impeachment.


His successor, Gerald Ford, immediately pardoned Nixon for all
crimes, discovered and undiscovered. Ford became the first and
only person to have served as both vice president and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ithout having been elected to either office.
Ford's connection with the disgraced Nixon ensured that he would
not be elected to a second term.

The Pentagon Papers, the Watergate scandal and Nixon's


subsequent fall from grace contributed to a growing sense in the
United States that the government was unprincipled and
untrustworthy.

개요

1972년 6월,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관련이 있는 일단의 스파이들이


워싱턴 워터게이트 건물에 있는 민주당 전국위원회 사무실에 청취
장치를 설치하려다가 체포되었습니다.
닉슨이 대통령 집무실에서 자신의 대화가 담긴 테이프를 넘기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훼손을 시도한 오랜 조사 끝에 하원
사법위원회는 하원이 정의 방해와 직권 남용으로 닉슨을 탄핵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탄핵을 당하는 대신 닉슨은 1974년 8월 사임하고 제럴드 포드


부통령이 뒤를 이었습니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은 전후 시대의 황금기가


끝났다는 인식이 더해졌다.

닉슨

리처드 닉슨은 도중에 몇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고는 대통령직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경력 초기부터 닉슨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더러운 수법"을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백악관에 들어갈
무렵에는 많은 적들이 있었습니다. 군사 분석가가 미 국방부
문서(미국 정부가 베트남 전쟁의 범위에 대해 의회와 미국 국민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을 폭로한 문서)를 유출한 후 닉슨은 행정부의
비밀 유지에 집착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추가 누출을 막기 위해
"배관공"이라고 부르는 보좌관 그룹을 고용했습니다.

배관공들은 대통령의 권력을 유지하고 내부적으로 유포되는 "적


목록"에 있는 개인을 괴롭히기 위한 일련의 불법 활동을 통해 닉슨의
기금 모금 조직인 대통령 재선 위원회(CREEP)를 도왔습니다.
CREEP과 배관공들은 1972년 선거 동안 민주당 반대자들을
비난하거나 당혹스럽게 할 수 있는 문서 위조, 불법 감시 수행,
정치적 적을 불명예스럽게 하기 위해 정보를 훔치기 위해 정신과
의사 사무실에 침입하는 것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더러운 속임수를 저질렀습니다. , 민주당 캠페인 및 기자단에
스파이를 잠복 배치하고, 민주당 도전자의 이름으로 시설을
임대하고 캠페인 용품을 주문하고 법안을 고수합니다.

워터게이트 침입

CREEP은 결국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1972년 6월 17일,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본부가 있는 워싱턴 DC의 워터게이트
사무실 단지에서 경비원이 5명의 "강도" 그룹을 체포했습니다. FBI가
강도들이 CIA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때까지 이 사건은
상당히 무해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강도
사건은 사실 조지 맥거번(George McGovern)의 대선 캠페인을
염탐하기 위해 DNC 본부에서 전화를 도청하려는 잘못된
시도였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워터게이트 사무실 단지의 흑백 사진.

워터게이트 사무실 단지의 흑백 사진.


워싱턴 DC의 워터게이트 사무실 단지. 이미지 제공: 제럴드 포드
도서관 및 박물관

1972년 선거에서 McGovern은 Nixon과 공화당이 자신의 사무실에


침입했다고 비난했지만 당시에는 침입에 연루된 사람들을 대통령과
연결하는 확실한 정보가 거의 없었습니다. 닉슨은 선거인단
투표에서 520표를 얻었고 맥거번은 17표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1973년 초가 되자 진실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의 기자인 밥 우드워드(Bob
Woodward)와 칼 번스타인(Carl Bernstein)은 침입 이후 워터게이트
이야기를 보도했습니다. 그들은 Deep Throat(2005년에 FBI 부국장
Mark Felt로 밝혀짐)로만 알려진 익명의 소식통으로부터 정보를
얻었고 침입 및 은폐 혐의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여 이야기를
생생하게 유지했습니다.

워터게이트 강도 중 몇몇이 상원 법사위원회에서 증언하면서 닉슨을


비난하고 손가락질했지만, 대통령이 부하 직원의 범죄와 연관되어
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었습니다. 아마도 대통령 집무실에 음성
녹음 장치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지 않았다면 조사는
중단되었을 것입니다. 닉슨의 모든 대화는 녹음되었습니다. 상원
사법위원회는 테이프를 소환했습니다.
거부 및 "행정 특권"

닉슨은 "행정 특권"이나 특정 소환장에 응답하지 않거나 백악관 기밀


정보를 공개하지 않을 대통령의 권리를 이유로 테이프 인도를
거부했습니다. 대통령이 이웃 국가인 캄보디아와 라오스에 베트남
전쟁을 비밀리에 전파했다는 사실이 미 국방부 문서를 통해 폭로된
이후, 닉슨은 자신이 법 위에 있다고 믿는 것처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행정부는 연방 검찰이 그를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한 후 스피로 애그뉴 부통령이 사임하도록 강요당하면서 더욱
위태로워졌습니다. Nixon은 Gerald Ford를 Agnew의 후임자로
임명했습니다.

1974년 7월, 하원 법사위원회는 하원에 닉슨을 사법 방해와 직권


남용 혐의로 탄핵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닉슨은 1974년 8월 대법원
명령 이후 마침내 테이프를 넘겨주었다.

폭로와 사임

리처드 닉슨의 사진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백악관 연단 뒤에 서서 사임 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백악관 연단 뒤에 서서 가족들과 함께 사임 연설을 하는 리처드


닉슨의 사진.
1974년 8월 9일 닉슨의 사임 연설. 이미지 제공: 국립 문서 보관소.

테이프는 Nixon이 Watergate 사건을 은폐하는 데 관여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스모킹 건"이라고 불리는 테이프에서 닉슨은 FBI에
침입 사건을 더 이상 조사하지 말라고 명령했는데, 이는 명백한 사법
방해입니다.

1974년 8월 8일 닉슨은 탄핵을 앞두고 사임했다. 그의 후계자인


제럴드 포드(Gerald Ford)는 발견된 범죄와 발견되지 않은 모든
범죄에 대해 닉슨을 즉시 사면했습니다. 포드는 두 직책에 선출되지
않은 채 미국 부통령과 대통령을 모두 역임한 최초이자 유일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불명예스러운 닉슨과 포드의 관계는 그가 두
번째 임기로 선출되지 않도록 보장했습니다.

펜타곤 페이퍼, 워터게이트 스캔들, 그리고 그에 따른 닉슨의 몰락은


미국 내에서 정부가 원칙이 없고 신뢰할 수 없다는 인식을 키우는 데
기여했습니다.

Overview
● Democrat Jimmy Carter served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from 1977 to 1981.
● Carter was unable to solve most of the problems plaguing the
country during his administration, including an ailing economy
and a continuing energy crisis.
● Although Carter brokered the historic Camp David Accords
between Israel and Egypt, relations with the Middle East broke
down after the Iranian Revolution in 1979. Iranian extremists
seized the American embassy in Tehran and held 52
American hostages captive there for over a year.

The election of Jimmy Carter


The election of 1976 fell on the bicentennial of the United States,
but few people felt much like celebrating. The economy was in bad
shape, and the Watergate scandal had eroded Americans' trust in
their elected officials. Incumbent president Gerald Ford, who had
ascended to the highest office in the land after Nixon's resignation,
had little chance of retaining his position given his association with
the disgraced ex-president.

Into this bleak political landscape stepped James Earl "Jimmy"


Carter Jr., former peanut farmer and governor of Georgia. Carter
was such a long shot at the start of the race that when he told his
mother he planned to run for president, she asked, "President of
what?" But strategic victories in early primaries led Carter to win the
1976 Democratic nomination, along with running mate Walter
Mondale.
Photograph of President Jimmy Carter.
Official White House portrait of Jimmy Carter. Image courtesy National Archives.

Carter campaigned as a Washington outsider, a pious and forthright


man who promised voters that he would never lie to them. His
message resonated just enough to put him in office by a narrow
margin, 50.1% of the popular vote to Ford's 48%.

The Carter years (1977-1981)


Carter, as a breath of fresh air after the Nixon and Ford years,
enjoyed an initial burst of popularity in 1977, but his ratings slipped
as it became increasingly clear that Carter was unwilling to work
with Washington to achieve results. He surrounded himself with
advisers from his native Georgia and refused to delegate any
authority whatsoever: in the first six months of his presidency Carter
even personally reviewed requests for use of the White House
tennis court.

Carter crafted legislation packages concerning crucial fixes to the


energy crisis and the economy in secret, and then rained them
down upon an increasingly hostile Congress. As a fiscal
conservative, he alienated the liberal wing of the Democratic party
by refusing to spend much money to invigorate the economy or to
fund social programs. He alienated conservatives by pardoning
some 10,000 Vietnam War draft evaders, negotiating the return of
control of the Panama Canal to Panama, resum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halting the
construction of new nuclear weapons.

The economy continued to slump in the late 1970s. Inflation soared


to a staggering 13% and gas shortages once again plagued the
country after violence erupted in the Middle East. After cloistering
himself with advisers for days in summer 1979 in order to determine
a solution to these woes, Carter emerged offering nothing more
than a highly-critical speech that blamed Americans for causing the
present 'malaise' through a loss of moral virtue.

Read an excerpt from Carter's 'Crisis of Confidence' speech

Foreign policy and the Iran Hostage


Crisis
As a president deeply committed to human rights around the world,
Carter achieved some victor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ignificantly, Carter brought Israel's Menachem Begin and Egypt's
Anwar Sadat together at the presidential retreat in Maryland to
negotiate the Camp David Accords, which stipulated that Egypt
would recognize the state of Israel in return for regaining control of
the Sinai peninsula.

But elsewhere, things took a turn for the worse. US-Soviet relations,
which seemed on the verge of a breakthrough when Carter and
Soviet leader Leonid Brezhnev announced their agreement to a
second Strategic Arms Limitation Treaty (SALT II), broke down
yet again when the USSR invaded Afghanistan in 1979.
Consequently, the US Senate never ratified SALT II, and the United
States even boycotted the 1980 Summer Olympics in Moscow.

Meanwhile,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rapidly destabilized in


January 1979 when followers of Ayatollah Ruhollah Khomeini
overthrew Mohammed Reza Pahlevi, the shah of Iran. The shah
had been installed as dictator with the help of the CIA in 1953, and
Khomeini's Muslim fundamentalist followers sought to purge Iran of
secular, Western influences.
In November 1979, Iranian militants seized the US Embassy in
Tehran, taking 66 Americans hostage. They demanded that the
United States return the shah (who had fled to New York for
medical treatment) and his assets to Iran and issue an apology.
Though 14 hostages were released within a few months of the
siege, negotiations to free the 52 others dragged on for over a year.
A complex rescue attempt failed, killing eight American soldiers in a
helicopter crash. Finally, the United States agreed to pay the
captors nearly $8 billion to end the hostage crisis. To add insult to
injury, Ayatollah Khomeini did not release the hostages until
January 20, 1981: Ronald Reagan's inauguration day.

Republican challenger Ronald Reagan defeated Carter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80, making him the first elected president
to be unseated by the American people since Herbert Hoover in
1932.

Although Carter's years in office were rocky, his post-presidential


career as a diplomat and human-rights advocate earned him the
Nobel Peace Prize in 2002.

개요
민주당 지미 카터(Jimmy Carter)는 1977년부터 1981년까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카터는 재임 기간 동안 침체된 경제와 계속되는 에너지 위기 등


국가를 괴롭히는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카터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의 역사적인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중개했지만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중동과의 관계는 무너졌습니다.
이란 극단주의자들은 테헤란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고
그곳에서 52명의 미국 인질을 1년 넘게 인질로 잡았습니다.

지미 카터의 당선

1976년 선거는 미국 건국 200주년을 기념하는 날이었지만 이를


축하하고 싶은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경제 상황은 나빴고,
워터게이트 스캔들은 선출된 공무원에 대한 미국인들의 신뢰를
약화시켰습니다. 닉슨의 사임 이후 최고위직에 오른 제럴드 포드 현
대통령은 불명예를 안은 전 대통령과의 관계로 인해 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이 암울한 정치적 환경에 전직 땅콩 농부이자 조지아 주지사였던


James Earl "Jimmy" Carter Jr.가 들어섰습니다. 카터는 경주가
시작될 때 매우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어머니에게 대통령 출마
계획을 밝혔을 때 어머니는 "무슨 대통령이요? "라고 물었습니다.
그러나 초기 예비선거에서의 전략적 승리로 인해 카터는
러닝메이트인 월터 먼데일과 함께 1976년 민주당 후보로
지명되었습니다.

지미 카터 대통령의 사진.

지미 카터 대통령의 사진.

지미 카터의 백악관 공식 초상화. 이미지 제공: 국립 문서 보관소.

카터는 유권자들에게 결코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경건하고


솔직한 워싱턴 아웃사이더로서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그의 메시지는
포드의 48%에 대한 대중 투표의 50.1%라는 근소한 차이로 그를
대통령으로 선출할 만큼 충분히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카터 시절(1977-1981)

닉슨과 포드 시대 이후 신선한 공기를 마신 카터는 1977년에


처음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지만, 카터가 결과를 얻기 위해
워싱턴과 협력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지면서 그의
평가는 하락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모국인 조지아 출신의 고문들로
둘러싸여 있었고 어떤 권한도 위임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대통령
임기 첫 6개월 동안 카터는 백악관 테니스 코트 사용 요청을
개인적으로 검토하기도 했습니다.
카터는 에너지 위기와 경제에 대한 중요한 해결책에 관한 법안
패키지를 비밀리에 작성한 다음 점점 더 적대적인 의회에
쏟아부었습니다. 재정적 보수주의자로서 그는 경제 활성화나 사회
프로그램 자금 조달을 위해 많은 돈을 지출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민주당의 진보파를 소외시켰습니다. 그는 약 10,000명의 베트남
전쟁 징병 기피자들을 사면하고, 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파나마에
반환하는 협상을 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재개하고,
새로운 핵무기 건설을 중단함으로써 보수세력을 소외시켰습니다.

1970년대 후반에도 경제는 계속 침체되었다. 인플레이션은 13%나


치솟았고, 중동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한 이후 다시 한번 가스 부족이
국가를 괴롭혔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결정하기 위해
1979년 여름 며칠 동안 고문들과 함께 은둔한 후 카터는 미국인들이
도덕적 미덕의 상실로 인해 현재의 '불편함'을 야기했다고 비난하는
매우 비판적인 연설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외교정책과 이란 인질 위기

전 세계 인권에 깊이 헌신한 대통령으로서 카터는 국제 관계에서


어느 정도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의미심장하게도 카터는 메릴랜드의
대통령 휴양지에 이스라엘의 메나헴 베긴과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를 불러 모아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협상했는데, 이 협정은
이집트가 시나이 반도의 통제권을 되찾는 대가로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할 것이라고 규정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는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카터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레오니드 브레즈네프가 제2차 전략무기제한조약(SALT
II)에 합의하면서 돌파구를 찾을 듯했던 미-소 관계는 1979년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면서 또다시 결렬됐다. 미국 상원은 SALT
II를 비준하지 않았으며 미국은 심지어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중동 정세는 1979년 1월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의


추종자들이 이란의 샤 모하메드 레자 팔레비를 몰아내면서 급속히
불안정해졌다. 샤는 1953년 CIA의 도움으로 독재자로 취임했고,
호메이니의 무슬림 근본주의 추종자들은 이란에서 세속적이고
서구적인 영향을 제거하려고 했습니다.

1979년 11월 이란 무장세력이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해


미국인 66명을 인질로 잡았다. 그들은 미국이 치료를 위해 뉴욕으로
도피한 샤와 그의 자산을 이란에 반환하고 사과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포위 공격이 있은 지 몇 달 만에 14명의 인질이
풀려났지만 나머지 52명의 인질을 구출하기 위한 협상은 1년 넘게
계속되었습니다. 복잡한 구조 시도가 실패했습니다

, 헬리콥터 추락으로 미군 8명이 사망했습니다. 마침내 미국은 인질


위기를 종식시키기 위해 납치범들에게 거의 80억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아야톨라 호메이니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취임식인 1981년 1월 20일까지 인질들을 석방하지
않았습니다.

공화당의 도전자 로널드 레이건은 1980년 대통령 선거에서 카터를


꺾고 1932년 허버트 후버 이후 미국 국민에 의해 자리를 빼앗긴 첫
번째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카터의 재임 기간은 험난했지만, 대통령 이후 외교관이자 인권


옹호자로 활동하며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