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tineo는 지원자의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 영상 데이터 등 다양한 자료를 AI 기반 자연어 모델로 분석하여, 개인의 학습 능력(X축), 직무 적합성(Y축), 수행 역량(Z축) 을 종합 평가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입니다.
기존의 2D 평가(지식 또는 기술 중심)를 넘어 3D 평가 모델을 활용하여, 성장 마인드셋, 직무 요구 역량,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홍승표 | 곽병민 | 김원진 |
|---|---|---|
| Back-End Developer | Front-End Developer | LLM Engineer |
| 김양수 | 김효림 |
|---|---|
| TTS커리어그룹 대표 경희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오픈랩 책임 연구원 |
UI/UX 디자이너 |
- AI 기반 자동 분석
- NLP(자연어 처리), 딥러닝 등을 활용하여 자기소개서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정량화
- 결과를 3D 그래프 및 대시보드 형태로 시각화하여 한눈에 강·약점 파악 가능
- 미래 직업 동향 반영
- WEF(세계경제포럼) 보고서, LinkedIn 등의 최신 채용 트렌드를 바탕으로 평가 기준 자동 업데이트
- 맞춤형 피드백 및 실행 계획 제공
- X축(학습 능력) 부족 시: 추천 강의, 학습 플랫폼 안내 (Coursera, edX 등)
- Y축(직무 적합성) 부족 시: 직무 맞춤형 프로젝트·멘토링 프로그램 연결
- Z축(수행 역량) 부족 시: Kaggle, 해커톤, 실무 프로젝트 참여 기회 제공
- 재평가 루프
- 3~6개월 간격으로 재평가하여 역량 변화 추이를 분석
- 다음 목표치를 제시하여 지속적인 성장 지원
- AI 기반 자동 분석을 통해 수백~수천 명의 지원자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고, 최적의 인재 선별
-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여 추가 학습 기회 제공
- 지원자의 자기소개서·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X, Y, Z 점수화
- 부족한 부분에 대한 맞춤형 피드백과 개선 방안 제공
- 재직자의 역량을 주기적으로 평가·분석하여 인재 배치 최적화
- 프로젝트 성과 향상을 위한 맞춤형 개발 기회 제공
pertineo의 3D 역량 평가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연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Kolb(1984): 경험학습 이론(Experiential Learning) → 학습 경험과 반성적 사고가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 Dweck(2006):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 → 학습 태도와 성장 가능성이 중요한 성공 요소
- Holland, Boyatzis: 직무 적합성과 리더십·성과를 평가하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제시
- 성장 마인드셋, 신기술 학습 속도, 학습 이력 등을 측정
- 예) AI,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얼마나 빠르게 습득하고 적용하는지
- 특정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개인 역량 간 매칭도를 평가
- 예)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경우 통계, 프로그래밍, 도메인 이해도, 협업 역량 등 분석
- 실제 성과(KPI), 프로젝트 완성도, 문제 해결 능력, 리더십 등 측정
- 예) 프로젝트 성과, 협업 환경에서의 리더십·팔로워십 발휘 정도
- 다중 모달 데이터 분석: 자기소개서 텍스트, 포트폴리오(코드, 디자인 시안 등), 영상 데이터를 NLP, 텍스트 마이닝, 컴퓨터 비전 기술로 분석하여 정량화
- 데이터베이스 연동: 직무별 필수 역량 지표 및 기존 합격자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 평가
- 시각화: 3D 그래프, 레이더 차트, 대시보드 등을 통해 직관적인 피드백 제공
- 입체적 역량 분석: 단순 필기·면접 평가가 아닌 학습 태도, 직무 핏, 성과 역량을 복합적으로 측정하여 높은 신뢰도 확보
- 학습 동기 부여 및 리스크 최소화: 지원자 및 재직자가 현재 수준과 잠재력을 정확히 파악하여 맞춤형 보완 학습 가능
- DX(디지털 전환) 시대 대비: 지속적인 기술 학습과 역량 개발을 통한 미래 업무 환경 대응
pertineo는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한 3D 역량 분석 솔루션으로, 채용·취업·조직 내 인재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의 평가 및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AI 기반 정량 분석 + 최신 채용 트렌드 반영 + 맞춤형 피드백 제공 = 차별화된 인재 성장 솔루션 🚀